소개글
"자궁근종 배뇨곤란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연구 방법 및 기간
2. 본론
2.1. 자궁근종의 정의
2.2. 자궁근종의 원인
2.3. 자궁근종의 증상
2.4. 자궁근종의 치료
2.4.1. 고식적 요법
2.4.2. 호르몬 요법
2.4.3. 자궁절제술
2.5. 자궁근종과 임신과의 관계
2.6. 자궁근종 간호
3. 결론
3.1. 연구 결과 요약
3.2. 추후 관리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자궁근종의 치료를 위해서는 사례에 따른 적절한 방법이 필요하다. 자궁근종은 대부분 증상이 없이 지내지만 약 25%에서는 증상을 나타낸다. 근종의 크기, 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방치하여 크기가 커지면 주변 장기와 유착되어 수술 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자궁근종 수술은 비교적 심각성이 적고 예후가 좋지만 자궁을 절제해야 하는 과정에서 여성성을 잃었다는 생각에 신체적, 정서적 상실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와 가족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심리적 간호를 포함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대상자의 수술 후 건강회복과 심리적 간호를 위해 더욱 정확하고 체계적인 간호계획을 세워 대상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되찾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1]
1.2. 연구 목적
자궁근종은 자궁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종양이다. 최근 30세 이상의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자궁근종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자궁근종은 증상 없이 발현되는 경우도 많지만, 약 25%는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에 자궁근종의 원인, 증상, 치료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 자궁근종 환자의 간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자궁근종과 임신과의 관계도 함께 검토하여 임신을 희망하는 환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여성건강간호학 분야에서 자궁근종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1.3. 연구 방법 및 기간
이번 연구는 2024년 00월 00일부터 00월 00일 까지 산부인과 병동에서 EMR을 확인하고 근층 내 자궁근종으로 입원하게 된 김OO님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 간호정보 조사, 신체검진 등을 통한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하며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자궁근종의 증상과 치료, 자궁근종 환자에 대한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궁근종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 적용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EMR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상세히 사정하고 기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궁근종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본론
2.1. 자궁근종의 정의
자궁근종은 자궁 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이다. 자궁근종은 자궁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가장 흔하며,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4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다. 이는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 가능하지만 30~45세에 호발되며 폐경기 이후에는 대개 크기가 줄어든다.
2.2. 자궁근종의 원인
자궁근종은 단일 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근종의 성장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성장호르몬의 영향을 받는다.
첫째,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자궁근종은 유전인자와 관련이 있으며, 흑인 등 유색인종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호르몬 요인도 근종 발생의 주된 원인으로 여겨진다....
참고 자료
김정애 외 5명,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 p.49~127, p.280
원종순 외 4명,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P.220 ~ p.221
원종순 외 4명,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P.322 ~ P.324
킴스온라인(www.kimsonline.co.kr)
최연순 외 7명, 「여성간호학Ⅰ」, 수문사, 2018년, p. 336 ~ p. 338
「자궁근종 치료사례_극심한 생리통」,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대한의학회
두산백과, 「자궁」,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7256&cid=40942&categoryId=32319
자궁근종, 자궁선근종센터, 「자궁근종」, 은병원, http://www.eunhospital.co.kr/document/female_1_1
에스엠영상의학과의원, 「X선 검사」, http://www.smradiology.com/home/info/2013
에스카사 SCASA, 「방사선에 대한 이해」, 닥터스영상의학과의원 drrad.co.kr/
자궁근종,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23).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23).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이은희 외 공저(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양선희 외 공저(2020). 기본간호학. 현문사.
Linda Lane Lilley (2021). 알기쉬운 임상약리학. 학지사 메디컬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공저, 고문사, p.217~]
[간호관리학, 정면숙 외 공저, 현문사, p.502~555]
[여성건강간호학,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 편, 수문사 ]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서울아산병원 – 복강경 자궁절제술 ]
http://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04
[자궁 적출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통증 자가 조절기 관련 구체적 정보 제공의 효과]
https://www.kjwhn.org/upload/pdf/kjwhn-20-204.pdf
[전자간호기록 적용 전후 복식자궁절제술 환자의 간호기록 비교]
https://s-space.snu.ac.kr/handle/10371/17852
[거대자궁근종 수술시 복강경하 질식 자궁 절제술과 복식 자궁절제술의 임상적 비교]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e90b611d93bfc79cffe0bdc3ef48d419
https://www.mayoclinic.org/tests-procedures/abdominal-hysterectomy/about/pac-20384559
https://www.health.harvard.edu/a_to_z/fibroids-a-to-z
https://sonoworld.com/fetus/page.aspx?id=2141
https://sono.gallery/videos/unassigned/imp_133/
https://radiopaedia.org/cases/calcified-uterine-fibroid-2?lang=us
https://fertilitypedia.org/therapy/diag/uterine-fibroids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Total-abdominal-hysterectomy-bilateral-salpingectomy-with-upper-vaginectomy_fig3_316675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