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보건의료계획 포항 치매사업

  • 1
  • 2
  • 3
  • 4
  • 5
  • 6
  • 7
>
최초 생성일 2025.02.08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보건의료계획 포항 치매사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현황 분석
1.1. 지역적 특성
1.2. 인구학적 특성
1.3. 건강상태
1.4. 지역사회 주민의 요구도
1.5. 지역사회 보건의료자원

2. 건강문제 선정 및 우선순위 선정
2.1. 주요 건강문제 및 위험요인
2.2. 우선순위 선정

3. 지역사회 간호계획 수립
3.1. 추진과제 선정 및 목표 설정
3.2. 보건사업 계획
3.2.1. 사업 세부 추진 계획
3.2.2. 평가계획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현황 분석
1.1. 지역적 특성

포항시는 경상북도 동남부 동해안에 위치한 도·농 통합도시이다. 포항시의 면적은 1,129.87㎢로 경상북도 면적의 5.94%이며, 그중 69%가 임야이다. 포항시의 인구는 511,298명(2018.5월말)으로 경북 최대의 도시이다. 포항시는 세계적인 철강산업으로 국가 경제발전을 견인하였으나, 최근 철강산업의 경쟁력 약화와 인력감축, 농어촌지역 고령화, 시내 지역 주민 대단위 아파트단지 주거이동 등으로 도시 공동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2017년에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으로 인해 포항시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다.

포항시는 남구와 북구로 구분되어 있다. 남구는 3읍 4면 7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스코와 포항시철강공단이 위치하여 근로자 집중 거주지역과 전형적인 농어촌지역이 함께 존재한다. 농어촌 지역인 구룡포읍, 장기면, 호미곶면은 민간의료시설이 취약하고 기초생활수급자, 독거노인 비율이 높으며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38% 이상인 초고령 사회이다. 한편 시내지역 주민 대단위 주거단지 이동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 및 보건기관 이용의 불편함으로 찾아가는 보건관리서비스가 요구된다.

지역사회 간호사는 이러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도시지역과 농어촌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보건사업을 계획하고 제공해야 한다. 또한 2017년 발생한 지진으로 인한 재난 대응을 위한 보건의료 서비스 마련도 필요할 것이다.


1.2. 인구학적 특성

포항시의 총 인구는 503,489명이며, 이 중 여성이 259,167명, 남성이 244,332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령별로는 0-4세가 7.2%, 5-9세가 4.6%, 10-14세가 4.6%, 15-19세가 4.5%, 20-24세가 5.6%, 25-29세가 5.6%, 30-34세가 5.1%, 35-39세가 6.5%, 40-44세가 7.3%, 45-49세가 8.0%, 50-54세가 8.9%, 55-59세가 8.8%, 60-64세가 9.3%, 65-69세가 6.9%, 70-74세가 4.5%, 75-79세가 3.0%, 80-84세가 2.1%, 85-89세가 1.1%, 90세 이상이 0.6%를 차지한다. 즉, 전체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어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18.1%에 달하며, 이는 전국 평균 16.8%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편, 합계출산율은 점차 하락하여 2020년에는 0.956명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저출산과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다문화가정도 2,153가구로 파악되어 이들에 대한 지원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1.3. 건강상태

포항시의 연령 표준화 사망률은 전국 대비 25.5명 높으며, 경북 대비 2.7명 높다. 포항시 남구의 경우 전국 대비 39.8명 높고, 경북 대비 17명 높게 나타난다. 포항시 남구는 알츠하이머병, 만성하기도질환, 뇌혈관질환이 상위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포항시 북구의 경우 알츠하이머병, 고혈압, 당뇨병이 상위 순위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포항시는 전국 대비 높은 사망률을 보이며, 특히 남구의 경우 알츠하이머병, 만성하기도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포항시의 주요 사망원인은 1순위 암, 2순위 외상, 3순위 순환기질환이며, 전국 순위와 달리 외상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포항이 공업도시의 특성으로 인해 외상에 의한...


참고 자료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1차년도(2019년~2022년) 시행계획
포항시 남구 보건소 홈페이지
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1(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한문사)
네이버 어학사전

김춘미 외.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2019. 276쪽
질병관리청, “지역사회건강조사”, https://www.kdca.go.kr/index.es?sid=a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