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면담의 의의
면담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일련의 의사소통이다.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의 면담은 전문적 관계에 바탕을 두고 정보수집, 과업수행, 클라이언트의 문제나 욕구해결 등과 같은 목적을 수행하는 시간제한적인 대화이다.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면담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특정 목적을 가지고 계약에 의해 행하는 의사소통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면담은 사회복지실천의 주요한 도구이자 전문적 개입을 수행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이다.
1.2. 사회복지실천에서 면담의 특성
사회복지실천에서 면담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의 면담은 전문적 관계에 바탕을 두고 정보수집, 과업수행, 클라이언트의 문제나 욕구해결 등과 같은 목적을 수행하는 시간제한적인 대화이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특정목적을 가지고 계약에 의해 행하는 의사소통이라는 특성을 가진다. 내담자에게 자유롭게 면담을 이어갈 수 있는 면담기초기술이 필요하다.
2. 면담기초기술
2.1. 의사소통기술
의사소통기술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타인에게 정확히 전달하고 타인이 표현하는 생각과 감정을 정확히 받아들이는 것이다. 메시지 수취자는 전달자가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고 이야기를 듣고 싶어한다는 것을 언어적·비언어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불문명한 메시지나 이해가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질문을 해야 하며 감정을 자제하여 상대방을 공격하거나 상대방과 논쟁하지 않는다. 메시지 전달자는 분명하고 단순한 언어로 적당한 속도로 말해야 하며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의 일치가 필요하다. 수취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말하기, 상대방의 의견과 질문, 피드백 시간을 주기, 계획을 세워 말한다. 자신과 의사소통의 목적을 분명히 설명하며 상대방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듣고 이해한 것을 정확히 이해한 것이 맞는지, 불문명한 언어는 확인해야 하며 질문에는 분명하게 답을 해야 한다.
2.2.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이다. 대체로 언어적 표현이 전체 의사소통의 1/3, 비언어적 표현이 2/3을 차지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에는 음성의 고저, 얼굴표정, 침묵, 신체자세 및 움직임, 외모와 청결 정도, 신체에서 나는 소리, 신체적 접촉, 물리적 환경 등을 포함하며 오감을 활용해야 한다. 언어적 표현은 클라이언트의 사고 과정, 생각, 감정, 인지능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언어와 비언어적 표현은 전체 의사소통에서 유기적으로 작용하므로 상호 불일치를 피해야 한다.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이 잘 조화를 이루어야 상대방에게 신뢰감과 진정성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기술을 끊임없이 점검하고 보완해 나가야 한다.
2.3. 질문 기술
질문 기술은 클라이언트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이끌어 내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술이다.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방형 질문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생각대로 질문에 답변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조화된 질문과 비구조화된 질문으로 나눌 수 있다. 폐쇄형 질문은 예, 아니오 등의 구체적인 대답을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