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복지론: 한국 가족복지정책 종류 및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특성
2.2. 가족복지정책의 필요성 및 목적
3. 가족복지정책의 유형
3.1. 노동권 보장정책
3.2. 부모권 보장정책
3.3. 노인돌봄 정책
3.4. 소득보장정책
4. 가족복지정책 사례
4.1. 노동권 보장정책 사례
4.2. 부모권 보장정책 사례
4.3. 노인돌봄 정책 사례
4.4. 소득보장 정책 사례
5. 결론
5.1. 가족복지정책의 발전 방향
5.2. 정책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 우리나라의 가족은 전통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다양화되고 있다. 이혼율 증가와 출산율 저하로 가족규모가 축소되고 핵가족 구조가 보편화되어 가고 있으며, 평균수명 연장과 자녀의 독립으로 노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가족은 서구적인 변화와 더불어 전통적 가족주의 이념도 유지하고 있어 가족구조, 가족기능, 가족유형, 가족가치관이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가족의 행복과 안녕을 도모하고자 국가가 개입하여 가족을 지원하는 가족복지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가족복지정책은 전통적으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나, 최근 가족의 다양성과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새로운 정책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가족복지정책의 종류와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한국 가족복지정책의 특성
한국의 가족복지정책은 전통적인 가족제도와 가족주의에 기반을 두고 발전해왔다. 가족은 사회의 기본단위로 여겨지며, 가족이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전제되어 왔다. 이에 따라 가족복지정책은 요보호가족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저소득층, 노인, 아동, 장애인, 여성 등 사회적 취약계층의 문제 해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한 '가족에 의한 복지'를 강조하여 가족이 먼저 가족구성원을 돌봐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가족복지정책은 주로 사후 치료적 성격이 강하며, 가족의 예방적 복지 기능을 지원하는 데에는 미흡한 편이다.
최근 한국 사회와 가족에 대한 변화로 인해 가족의 구조와 기능이 다양화되고 복잡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변화에 적절히 부응하지 못하는 가족복지정책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핵가족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저출산 고령화 등 새로운 가족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가족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가족구성원 개개인의 욕구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가족복지정책의 발전이 필요한 실정이다.
2.2. 가족복지정책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하면서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던 돌봄과 부양의 기능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족의 행복과 안녕을 위한 총체적인 노력인 가족복지정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선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로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던 돌봄이 어려워지고 있다.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출산율 저하로 가족 구성원 수가 감소하면서 가족이 전통적으로 담당해왔던 노인 돌봄과 아동 양육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기 어려워졌다. 따라서 국가와 사회가 개입하여 가족의 돌봄 기능을 지원하고 보완해 줄 필요성이 생겼다.
또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로 인해 가족 내 돌봄 기능이 약화되고 있다.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면서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던 돌봄과 양육이 어려워졌다. 이에 국가와 사회가 개입하여 일-가정 양립을 지원함으로써 여성의 노동권과 모성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가족 형태의 등장으로 인해 이들의 복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인 핵가족 형태 외에도 한부모 가족, 다문화 가족, 1인 가구 등 다양한 가족 유형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족의 유형과 특성에 맞춘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처럼 가족의 구조와 기능이 변화하면서 가족 단위의 자체적인 문제 해결 능력이 약화되었다. 따라서 국가와 사회가 개입하여 가족의 행복과 안녕을 도모하고 가족 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족복지정책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3. 가족복지정책의 유형
3.1. 노동권 보장정책
노동권 보장정책은 가족의 복지와 안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먼저 보육정책은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증진시키고 일-가정 양립을 지원한다. 국가가 보육 시설과 서비스를 운영하고 보육료를 지원함으로써 맞벌이 가정의 부담을 줄여준다.
방과 후 보육 정책 또한 여성의 노동권을 보장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특히 여성의 돌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다양한 방과 후 보육 시설과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저소득층을 위한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보육과 방과 후 보육...
참고 자료
이선형 외, 새로운 건강가정론, 서울: 학지사, 2019.
원영희 외, 가족복지론, 서울: 학지사, 2016.
정지영 외, 건강가정론, 서울: 양서원, 2012
김수정(2004). “복지국가 가족지원정책의 젠더적 차원과 유형”, 「한국사회학」, 제38집 제5호.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가족복지론 교안/19p~34p.40p~45p
사랑내음(네이버)/가족복지정책/2022.10.4.
최현숙(2009년8월)/한국 가족복지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1p2p
김나연(2010). 노동권과 부모권의 관점에서 본 복지국가 일―가족양립정책의 비교연구: 영국과 스웨덴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호영(2018). 한국사회 노인돌봄정책의 “탈가족화” 시도와 그 한계: 노인장기요양보험정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두산백과(네이버)/가족복지/2022.10.4./ https://blog.naver.com/tmkorlim264/222884262761
이재인/(2006)/노동권과 부모권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보육정책.가족과 문화/67-8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460784&cid=40942&categoryId=31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