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성의 분만은 하나의 생명이 탄생하는 과정으로 신비롭고 경이롭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제왕절개 분만율이 높은 빈도를 차지하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크기도 하고 실습기간 동안 제왕절개술을 시행하는 산모를 많이 보았기에 관심이 생겨 간호사를 준비하는 학생으로서 많이 시행되는 제왕절개를 이론 및 실제적으로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방법을 공부하여 제왕절개 산모의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1.2. CPD 제왕절개의 특징
CPD 제왕절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아두 골반 불균형이란, 분만 시 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태아의 머리에 비해 너무 좁아서 태아가 안전하게 골반을 통과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주로 골반 입구에서 발생하지만, 때로는 골반강이나 출구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협골반이란 정상 골반보다 약 1cm가 짧은 경선이 하나 이상인 골반을 의미하는데, 골반입구 협착은 전후경이 10.0cm 이하이고 횡경이 12cm 이하일 때, 골반강 협착은 양좌골극간경이 9.0cm 이하일 때, 골반출구 협착은 좌골결절간경이 8.0cm 이하일 때를 말한다. 태아의 크기 또한 관련이 있는데, 4.0kg 이상의 거대아는 산모의 당뇨병, 비만, 다산 등과 관련이 있다.
아두골반 불균형이 분만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첫째, 하강감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둘째, 비정상적인 선진부나 태향이 많다. 셋째, 질강 분만 시 연조직 손상을 입기 쉽다. 넷째, 산후 출혈 및 감염의 위험이 높다. 다섯째, 태아 외상을 입기 쉽다. 여섯째, 제대 탈출이 되기 쉽다. 따라서 아두골반 불균형이 의심되는 경우 초음파와 X선 등을 통해 태아 머리와 산모 골반의 크기를 측정하여 불균형 정도를 판단하고, 자궁파열이나 태아의 안전을 위해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2. 본론
2.1. 아두골반 불균형(CPD)
2.1.1. 정의
아두골반 불균형(CPD)이란, 분만 시에 아두(태아의 머리)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너무 작아서 아두가 골반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중단되는 부위는 주로 골반 입구이며, 때로는 골반강이나 출구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협골반(Contracted pelvis)이란, 정상골반보다 약 1cm가 짧은 경선이 하나 이상인 골반을 말한다. 골반입구 협착은 전후경이 10.0cm 이하이고, 횡경이 12cm 이하일 때로 대각 결합선으로 측정된 전후경이 11.5cm이하일 경우를 말하며, 골반강 협착은 양좌골극간경이 9.0cm이하(정상은 10.5cm)이며, 횡경과 후종경의 경선을 합하여 13.5cm이하일 때 또는 내진상 좌골극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골반측벽(side wall)이 내면으로 모아져 있을 때를 말한다. 그리고 골반출구 협착은 좌골결절간경이 8.0cm이하이거나 횡경과 후종경의 경선을 합하여 15cm일 때를 말한다.
2.1.2. 원인
태아의 크기와도 관련되는데, 거대아는 모체의 당뇨병, 비만, 다산, 양쪽 또는 한쪽 부모의 거대한 체구와 관계된다. 이는 견갑난산(머리는 방출되었으나 전 견갑이 치골궁을 통과하지 못한 상태)이 흔히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견갑난산이 질 분만에서 나타낼 때 McRoberts maneuver를 시행하는데, 이 방법은 산부의 양 다리를 구부려 무릎이 복부위를 향하는 자세로 천골이 직선이 되며 치골결합이 산부의 머리쪽으로 향하게 하여 골반경사도를 낮추고 견갑이 자유로워지도록 한다.
2.1.3. 증상
아두골반 불균형(CPD)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산모는 분만 전 빈맥, 얕고 빠른 과다 호흡, 요통이나 복부의 심한 통증, 비정상적으로 강도가 높은 자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