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물인터넷"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사물인터넷 선정동기
1.2. 사물인터넷 정의 및 미래 동향
2. 본론
2.1. 사물인터넷 현황
2.2. 노인을 위한 IOT
2.2.1. 고령화사회의 문제점
2.2.2. 노인들을 위한 IOT 디자인
2.3. 장애인을 위한 IOT
2.3.1. 장애인들의 사회적 현황
2.3.2. 장애인들을 위한 IOT 디자인
3. 결론 및 시사점
3.1. 기대효과
3.2. 한계점
3.3. 느낀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사물인터넷 선정동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통해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세기의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뛰어 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나, 알파고가 예상을 깨고 4승 1패로 이세돌 9단을 완파하였다. 이 대결은 단순한 바둑 경기가 아닌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결로 여겨졌으며, 인공지능이 인간의 한 영역을 침범하는 것으로 보였기에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알파고와의 이 대결을 계기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물인터넷이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다. 저희 조 또한 인공지능이 인간에 도전장을 내미는 것과 같이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사물인터넷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사물인터넷'을 선정하게 되었다.
1.2. 사물인터넷 정의 및 미래 동향
사물인터넷이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이다.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 등 임베디드 시스템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IP를 가지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위해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 즉,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모은 후, 인터넷을 통해 개별 사물들끼리 정보를 주고받는 정보 기술이다. 사람이 개입하거나 조정하지 않아도 사물이 알아서 판단하고 작동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의 초기단계에는 '유비쿼터스'가 있었는데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로, 시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컴퓨터 관련 기술이 생활 구석구석에 스며들어 있음을 뜻하는 '퍼베이시브 컴퓨팅(pervasive computing)'과 같은 개념이다. 스마트폰이 가장 대표적인 유비쿼터스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또 유비쿼터스와 헬스케어가 결합된 U-헬스케어는 신체에 부착된 기기가 개인의 건강기능을 수시로 체크해준다. 다만 감지가 가능한 질환에 한정된다는 단점도 있지만 U-헬스케어 또한 유비쿼터스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유비쿼터스는 사물에 칩이 내장되어 있어 센서가 칩을 인식하면서 네트워크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더 나아가 내장된 칩 없이도 연결이 가능한 것이 사물인터넷이다.
사실 알파고와의 대결이 있기 전에도,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결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다. 1957년, 미국의 체스 프로그램 맥핵과 아마추어 체스 선수 휴버트 드레이퍼스가 맞대결을 벌였고, 1990년 조나단 쉐퍼 앨버타 대학교의 교수가 만든 시누크가 세계 체스 챔피언 마리온 틴슬리와 대결을 했다. 1994년 시누크는 세 번째 도전 만에 틴슬리에게 승리했지만 당시 틴슬리는 암 투병중이어서 완벽한 승리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리고 2년뒤, IBM에서 개발한 딥블루가 세계 체스 챔피언인 게리 카스파로프에게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패했다. 이후 IBM은 2004년 왓슨 개발을 시작해 2011년 미국 퀴즈쇼 제퍼디에 출연했다. 왓슨은 당시 프로그램의 퀴즈 왕이었던 켄 제닝스를 이기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처럼 인간과 점점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 나가고 인간을 뛰어 넘을 정도로 발전된 인공지능은 사물인터넷의 성장이 더욱 더 커지고 있음을 알려주고 머지않아 우리 삶에 당연한 존재로 인식될 날이 다가올 것을 예고해준다. 하지만 해외에서 성장하고 있는 사물인터넷의 규모에 비해 우리나라의 사물인터넷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2010년에 RFID와 USN을 통해 사물인터넷에 대한 대규모 수요 창출을 위한 여건 조성 및 글로벌 시험 인증체계를 마련하여 기틀을 닦기 시작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현재의 종이 꼬리표나 바코드 대신 반도체 칩을 물품에 부착하고 무선 전파로 칩에 내장된 물품 정보를 읽어들이는 기술이다. 그리고 이 RFID를 인식해 인터넷에 연결하고 정보를 인식, 관리하는 네트워크가 USN(Ubiquitous Sensor Networ...
참고 자료
매직미러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609730&memberNo=15470144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소파
http://www.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031701&memberNo=11216638&vType
스마트카 http://blog.naver.com/whitepolarbear/220617446175
하츠네콘 http://www.haatz.co.kr/main/index.asp
“2015 ICT 10대 주목”
“트렌드 모니터, 눈앞에 다가온 ‘IoT’시대, 기대와 우려 공존”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독거노인, 고독사 막을 대책 필요”
IoT 기술 기반 독거노인 U-care 시스템 UI 디자인 연구: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심으로
“치매 노인 외래환자, 11녀새 8배로”
글로우캡 트렌드인사이트
IoT 활용 건강 관련 제품들 – 스마트 약병, 스마트 포크, 스마트 슬리퍼
LG U+홈페이지
스마트 홈 http://skccblog.tistory.com/242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kihasa.re.kr/
http://nlid.nl.go.kr/able?act=ablebookView&bbsId=1200&bbsSeqn=4101¤tPage=81
씨스테이션 http://thinkingandfate.tistory.com
간 모니터링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2/06/201502060260
쉐어타이핑글래스 http://www.bloter.net/archives/23657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사물인터넷의 진화와 정책적 제언」
산업통상자원부 –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제조업 경쟁력 강화방안 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 「사물인터넷상에서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 이슈」
한국인터넷진흥원 - 「사물인터넷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디지에코 –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