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칼륨혈증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고칼륨혈증 간호진단
1.1. 전해질 불균형 관련 간호진단
1.2. 대사성 산증 관련 간호진단
1.3.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기도청결 장애 간호진단
1.4. 사지통증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진단
1.5.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진단
2. 간호과정 적용
2.1. 전해질 불균형 관련 간호중재
2.2. 대사성 산증 관련 간호중재
2.3.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기도청결 장애 간호중재
2.4. 사지통증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중재
2.5.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중재
3. 간호평가
3.1. 전해질 불균형 관련 간호결과 평가
3.2. 대사성 산증 관련 간호결과 평가
3.3.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기도청결 장애 간호결과 평가
3.4. 사지통증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결과 평가
3.5.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간호결과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고칼륨혈증 간호진단
1.1. 전해질 불균형 관련 간호진단
고칼륨혈증 환자는 전해질 불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칼륨혈증은 혈청 칼륨 수준이 정상범위(3.5~5.5 mEq/L)를 초과하여 5.0 mEq/L 이상으로 상승한 상태를 말한다. 고칼륨혈증의 가장 큰 원인은 콩팥기능 저하이며, 그 외에도 세포 내 칼륨의 과다 유리, 칼륨 과다 섭취나 투여 등이 원인이 된다.
고칼륨혈증이 심해질수록 다양한 임상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근육 경련, 쇠약, 마비, 감각 이상 등의 신경근육계 증상과 소화기 증상으로 오심, 구토, 복통, 장마비 등이 발생한다. 특히 심전도 변화는 고칼륨혈증의 핵심적인 증상이며, 칼륨 수치가 7~10 mEq/L 이상으로 높아지면 QRS 파가 넓어지고 T파가 높아지며 서맥, 심정지까지 초래할 수 있다.
고칼륨혈증의 진단은 혈액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혈액요소질소(BUN), 크레아티닌 수치 측정으로 신기능 저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심전도 검사는 세포 내 칼륨 농도를 파악하는 데 가장 신뢰할 만한 검사이다.
고칼륨혈증의 치료는 전해질과 수분 균형을 회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경미한 경우에는 칼륨 배출을 증진시키는 이뇨제를 투여하고, 칼륨이 심하게 상승한 경우에는 칼슘, 인슐린, 포도당, albuterol 등의 약물을 투여하여 세포 내 칼륨 유입을 촉진한다. 또한 양이온 교환수지인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Kayexalate)를 투여하여 장에서 칼륨을 배출시키기도 한다. 심한 고칼륨혈증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투석 치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간호사는 고칼륨혈증 환자의 전해질 불균형을 사정하고 모니터링하며, 적절한 중재를 통해 전해질 균형을 회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활력징후와 섭취량-배설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전해질 수준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또한 고칼륨혈증의 증상을 사정하고 이에 따른 간호중재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건강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2. 대사성 산증 관련 간호진단
대사성 산증은 대사 과정에서 발생한 많은 수소 이온이 체액을 산성화시켜 나타나는 상태이다. 이는 신장기능 저하, 과도한 산 생성, 산 배출 감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대사성 산증이 있는 환자는 숨이 가쁘고 불편감을 호소하며 의식상태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간호사는 대사성 산증 관련 간호진단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사정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우선 활력징후와 동맥혈가스분석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산-염기 불균형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해야 한다. 환자의 호흡 양상, 의식수준, 피부색 등을 관찰하여 대사성 산증의 징후를 확인한다. 또한 혈액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pH, PCO2, HCO3 수치 변화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환자가 대사성 산증 상태인지, 그 정도는 어떠한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발생 원인에 따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신부전으로 인한 산 배출 감소라면 투석 등의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인한 과다 산 생성이라면 인슐린 투여와 수액 공급이 중요하다. 또한 호흡기계 질환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축적도 대사성 산증을 유발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간호사는 산-염기 균형 회복을 위한 약물 투여, 수액 공급, 호흡 보조 등의 중재를 수행한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원인 질환과 대사성 산증의 관계, 증상 관리, 예방법 등을 안내한다. 주기적인 평가를 통해 pH, PCO2, HCO3 수치의 정상화 여부를 확인하고, 호흡곤란이나 의식 변화 등 증상 호전을 사정한다.
대사성 산증 관련 간호진단을 통해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 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그에 맞는 중재를 제공하여 산-염기 균형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이는 환자의 안녕과 예후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1.3.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기도청결 장애 간호진단
대상자는 폐렴을 진단받았으며, 스스로 객담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호흡 시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들리며, 간호사의 수동적 객담 흡인이 필요한 상태이다. 또한 호흡곤란과 낮은 산소포화도를 보여 호흡기계 증상이 관찰된다.
이는 폐 내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기도청결 장애 간호진단에 해당한다. 대상자의 호흡 곤란과 낮은 산소포화도는 기...
참고 자료
김종임 외 『기본간호학 II』, 수문사, 2018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I, II』, 수문사, 2021
박은영 외 공역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이주훈, 『칼륨대사장애』, 대한소아신장회지 제 14권 제 2호 2010년, p132-p141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2019
대한신장학회 홈페이지, http://www.ksn.or.kr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약제부, https://www.cmcseoul.or.kr/page/department/support/part_medicine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http://www.khmcpharm.com
KIMS 의약정보센터, https://www.kimsonline.co.kr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Ⅰ, 2020, 학지사메디컬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Ⅱ, 2020, 학지사메디컬
김종임 외, 기본간호학 Ⅰ, 2018, 수문사
김종임 외, 기본간호학 Ⅱ, 2018, 수문사
하주영 외, 병태생리학, 2018, 정담미디어
임인석, 저칼륨혈증과 고칼륨혈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2006, 5p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대한초음파의학회, https://www.ultrasound.or.kr/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