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관찰 기록지 보고서(병동) - 이상행동 관찰 기록지와 방어기전 관찰 기록지(A 자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정신 관찰 기록지 보고서(병동) - 이상행동 관찰 기록지와 방어기전 관찰 기록지(A 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정신 관찰 기록지
2.1.1. 이상행동 관찰 기록지
2.1.2. 방어기전 관찰 기록지
2.2. 이상행동 관찰 내용
2.2.1. 지리멸렬
2.2.2. 환청
2.2.3. 다행감
2.2.4. 피해망상
2.2.5. 부적합한 정서
2.2.6. 상동증
2.2.7. 언어빈곤
2.2.8. 환촉
2.2.9. 언어압출
2.2.10. 다변증
2.2.11. 보속증
2.2.12. 기고만장
2.2.13. 우울
2.2.14. 자폐적 사고
2.2.15. 마술적 사고
2.2.16. 신어조작증
2.2.17. 환시
2.3. 방어기전 관찰 내용
2.3.1. 억제
2.3.2. 반동형성
2.3.3. 신체화
2.3.4. 행동화
2.3.5. 투사
2.3.6. 부정
2.3.7. 함입
2.3.8. 저항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정신 관찰 기록지는 정신질환자의 이상행동과 방어기전을 기록하여 관찰하는 것이다. 이는 질환의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행동 관찰 기록지는 정신질환자의 증상을 관찰하고 기록하며, 방어기전 관찰 기록지는 정신질환자가 사용하는 무의식적인 심리적 방어기제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정신 관찰 기록지의 내용과 그 활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정신 관찰 기록지
2.1.1. 이상행동 관찰 기록지

지리멸렬은 사고 진행에 있어 논리적인 연결 없이 생각이 넘어가고, 조리 있게 말하지 못하여 문장구성이 엉망이고 단편적이며 연결되지 않는 증상이다. 환자는 간호학생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교육을 나가는지 물어본 뒤 갑자기 유치원 이야기를 하는 등 문장이 서로 연관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환청은 외부의 청각자극이 없는 데도 불구하고 어떤 소리를 듣게 되는 현상이다. 환자는 사물놀이 도중 보이지 않는 대상과 이야기를 하듯 중얼거리며 웃는 모습과, 노래방 프로그램 도중 보이지 않는 대상과 계속 대화를 하는 듯 중얼거리며 욕하는 입모양을 보였다.

환청과 함께 환시도 관찰되었는데, 환자는 허공을 응시하며 자신에게 오라는 듯이 손짓을 하고 중얼거리며 웃는 모습과, 바닥의 허공에 동물을 쓰다듬는 듯이 손을 움직이고 책상 위 허공에서도 쓰다듬는 행동을 하며 웃고 중얼거리는 모습을 보였다.

다행감은 기분이 약간 들떠서 유쾌하고 좋은 상태로 낙관적인 태도와 행복감을 느끼는 정서장애이다. 환자는 "지금 경조증이에요. 알아두셔야 할 것 같아서요."라며 서예 선생님께 칭찬을 받았다고 말하며 자신이 서예를 잘한다고 말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피해망상은 타인이 자신을 해칠 것이라고 믿거나 자기를 해치기 위해 어떤 행위를 하고 있다고 믿는 증상이다. 환자는 "지금 먹고 있는 약은 몸을 안 좋게 만드는 독약같아요. 약 때문에 관절도 안 좋아지고, 눈도 잘 안 보이고..."라고 말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부적합한 정서는 전에는 흥미를 느꼈던 일들에 대해 관심과 의욕을 잃어버리는 상태로 얼굴은 무표정하고 무관심, 무감동하게 보이는 감정둔화 상태이다. 환자는 노래방 시간에 무표정으로 앉아서 구경을 하다가 신나는 장단의 음악이 나오자 갑자기 양손을 가슴 높이에서 신이 난 듯이 좌우로 흔드는 모습을 보였지만, 물어보자 무표정으로 "네, 신나는 노래네요."라고 대답하였다.

상동증은 반복적이고 고정된 패턴의 신체적 행위 또는 언어이다. 매일 수차례 바닥에 쭈그려 앉은 다음 주먹을 쥔 양손을 바닥에 내려놓는 자세를 반복하는 환자의 모습이 관찰되었다.


2.1.2. 방어기전 관찰 기록지

억제 suppression 불안한 상황이나 느낌을 의식적으로 부정하는 것이다. 가령 술 생각이 나면 명리학 공부를 하거나 붓글씨를 쓰고, 이런 것들도 질리면 음악을 듣거나 부르기도 한다.

반동형성 reaction formation 무의식의 충동이 매우 상반된 의식의 상태로 바뀌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집 분열증 환자가 다른 환자가 자신의 욕을 하며 해치려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하지만, 요리치료 시간에 부침개를 2~3번 집어 그 환자에게 먹여주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신체화 somatization 불안감을 무의식적으로 명백한 기질적인 손상이 없는 신체 증상으로 바꾸는 것이다. 우울증 진단을 받고 입원한 환자가 대인관계에서 상처를 받거나 불안해지면 두통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행동화 acting-out 개인이 생각보다는 행동으로 갈등이나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환자가 갑작스럽게 자신의 병실에서 뛰쳐나와 스테이션 쪽으로 팔을 휘두르며 소리를 지르며 뛰어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투사 projection 감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개인의 특징을 거부하고 원일을 다른 사람, 대상으로 돌리는 것이다. 가령 환자가 "제가 치료를 못한 건 간호사 선생님들이 안 깨워서 못한 거죠. 깨워줬으면 했죠."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부정 denial 용납할 수 없는 생각, 상황을 회피하는 것이다. 한 환자가 "제가 왜 입원했는지 모르겠어요. 이상한 생각은 누구나 하는 거고 전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빨리 퇴원시켜줬으면 좋겠어요."라고 말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함입 introjection 갈등상황의 원인을 내부로 향하게 하는 것이다. 한 환자가 "제가 입원한 것은 제 탓이에요... 술을 마시게 된 것도 저한테 문제가 있어서 먹게 된 것 같고... 가족이 잘 안 되는 것도 저 때문인 것 같아요..."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저항 resistance 의식에서 용납하기 어려운 무의식을 의식으로 떠오르는 것을 막는 것이다. 대화를 잘 이어가던 환자에게 "입원하게 된 계기를 설명해주실 수 있으세요?"라고 물었더니 아무 대답 없이 자리에서 일어나 병실로 들어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2.2. 이상행동 관찰 내용
2.2.1. 지리멸렬

지리멸렬은 사고 진행에 있어 논리적인 연결 없이 생각이 넘어가고, 조리있게 말하지 못하여 문장구성이 엉망이고 단편적이며 연결되지 않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간호학생이 "혹시 입원하신 계기 물어봐도 될까요?"라는 질문을 했을 때, 환자가 "저는 고등학교 자퇴하고 와서 여기서 검정고시 준비하고... 그 다음에 이제 전문대학 휴학하고.... 휴학한 계기는 없었어요. 제가 천운이 없어서 그렇죠."라고 대답하는 것과 같이 질문과 관련 없는 내용을 말하는 것이 지리멸렬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러한 지리멸렬은 정신분열병 환자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증상으로, 사고와 언어 표현의 혼란을 보여준다. 질병의 이해와 진단, 치료를 위해서는 지리멸렬과 같은 증상에 대한 관찰과 이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정신과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기록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2.2. 환청

환청은 외부의 청각자극이 없는 데도 불구하고 어떤 소리를 듣게 되는 현상이다. 이는 환각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정신분열병 환자에게서 자주 관찰된다. 관찰 기록 내용에 따르면, 대상자들은 보이지 않는 대상과 이야기를 하거나 중얼거리며 욕을 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허공을 응시하며 자신에게 오라는 듯이 손짓을...


참고 자료

한금선, 김근면 외 공저. 『정신간호학(상)』. 수문사. 2014
한금선, 김근면 외 공저. 『정신간호학(상)』. 수문사. 2014
☞ 흉부 X선 촬영[chest X-ray] 임상의미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TEST&medid=BA000042
x-ray 검사 결과 이미지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20884
https://www.joseilbo.com/gisa_img_origin/16790391881679039188_llorll_origin.JPG
COVID-19 폐렴의 다양한 CT 영상 이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폐렴 이미지-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3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20071600007
폐렴 진단-서울대학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44
윤은자 외 11명(2022). 성인간호학I(9판), 수문사-P.622~628
목포시 의료원 응급실 EM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