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간호학 길랑바레 증후군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 방법
2. 길랑-바레 증후군 개요
2.1. 정의
2.2. 원인
2.3. 병태생리
2.4. 임상증상
2.5. 진단
2.6. 치료
3. 사례 연구
3.1. 대상자 일반정보
3.2. 현병력
3.3. 신체사정
3.4. 검사결과
4. 간호과정
4.1. 간호사정
4.2. 간호진단
4.3. 간호계획 및 수행
4.4. 간호평가
5. 결론 및 고찰
5.1. 결론
5.2. 제한점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길랑-바레 증후군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발생 빈도는 다양하나 인구 10만 명당 1~4명의 빈도로 발병하는 매우 희귀한 질병이다. 그러나 실제 임상 현장에서 이러한 희귀 질병의 증례를 접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과 진단, 치료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희귀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유사한 증례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길랑-바레 증후군의 정의, 원인,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 치료 및 예후에 대해 문헌고찰을 수행하고, 선정한 대상자의 사례를 통해 적절한 간호 수행을 모색하는 것이다. 길랑-바레 증후군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인구 10만 명당 1~4명의 빈도로 발병하는 희귀질병이다. 이러한 생소하고 발병률이 낮은 자가면역성 질환이 실제 환자에게 어떻게 나타났을지 학문적 호기심이 생겨 이번 사례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문헌고찰과 선정한 대상자의 사례 연구를 통해 길랑-바레 증후군의 특성과 이에 필요한 간호를 파악하여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고자 한다.
1.3. 연구 방법
이 연구는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만4세, 남)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여러 참고문헌을 토대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사례 대상자의 증상과 간호과정에 대한 이해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연구는 병원의 EMR, OCS, PACS 등에 기록된 기록과 대상자와의 면담 및 신체사정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 간호문제별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2. 길랑-바레 증후군 개요
2.1. 정의
길랑-바레 증후군(Guillain-Barre syndrome)은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AIDP, acute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또는 다발성 척수신경증이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연간 인구 10만 명당 1~4명의 빈도로 발병한다. 소아 연령에서는 10만 명당 0.8명 정도의 빈도로 발생하고 4~10세의 아동에게 감수성이 높다. 남녀의 차이는 없으며 성인에게 더 흔하게 발생한다.
2.2. 원인
바이러스나 세균이 신체에 감염되었을 때 이 감염원이 임파구나 대식세포 같은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의 자가 세포 감별 능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말초신경을 손상시키는 것이다. 대식구는 축삭을 둘러싼 기저판을 통과하고 있는 슈반세포를 수초로부터 전위시켜, 수초의 얇은 층에서 식작용을 한다. 어떤 경우에는 세균에 감작된 임파구가 말초신경에 대한 자가 항체를 형성하여 신경세포를 파괴하는데 이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가지고 있는 항원과 유사한 구조의 항원을 우리 신체의 신경세포가 공유하고 있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ytomeglovirus와 Epstein-Barr virus를 포함한 많은 유기체가 의심되어 왔지만, Campylobacter jejuni가 가장 대표적이다. 그람음성 간균인 C. jejuni는 가금, 애완동물, 우유원액, 오염된 물에서 발견된다. C. jejuni는 수초를 목표로 한다. HIV와 GBS 사이의 관계가 보고되어 왔으며 GBS 대상자는 HIV의 검사를 해야 한다.
2.3. 병태생리
인체의 면역체계가 말초신경 또는 중추신경을 공격하여 말초신경에 염증이 생기면 신경세포의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수초'라는 절연물질이 벗겨져 발생하는 급성 마비성 질환이다. 랑비에결절 사이의 수초가 부분적으로 탈락하면 신경 충동이 전도 비약을 일으키고 질병 후기에는 신경 전도가 분산되며 전도 속도가 지연되거나 상실되어 점차 상행성 마비로 진행한다. 이 질병은 대개 선행하는 호흡기나 소화기계의 바이러스성 감염 후에 발생한다.
2.4. 임상증상
마비는 보통 비특이성 바이러스 감염 후 약 10일 후에 발생한다. 특징적인 것은 대개 하지에서 시작하여 때로는 빠르게 몸통, 상지 심지어는 얼굴까지 전파되는 상행성 쇠약으로 근력의 약화나 감각의 변화로 증상이 나타난다. 쇠약은 몇 시간에서 며칠까지 진행되며 90%의 경우에 4주까지 최대한의 결손이 일어난다. 심부건반사가 소실된다. 이런 증상들이 점점 심해지게 되면, 근육을 쓸 수 없게 되고 아주 심한 경우는 전신이 마비될 수도 있다. 때로는 호흡을 담당하는 근육의 약화를 초래하고, 교감신경계 및 부교감신경계 모두가 관련된 자율신경병으로 인해 혈압, 심박동에 ...
참고 자료
박은영 외. (201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이강이 외. (2022). 건강사정 제7판. 현문사.
정은, 권인수. (2019). 입원아동 보호자의 역할과 역할부담감.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8(1), 28-38.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73&cid=51007&categoryId=51007
대한신경근육질환학회 http://www.knmd.or.kr/board/viewbody.php?gubun=&code=diseasepds&page=1&number=8&keyfield=&key= 등등등(자세한건 레포트에)
아동간호학 각론,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son 저, 김영혜·권봉숙·김소희 역, 현문사, 2014.02.20.
성인간호학 2, Joyce M. Black, Jane Hokanson Hawks 저 이영휘·김성혁 역, 정담미디어, 2013.02.15.
홍창의 소아과학, 안효섭 저, 미래엔, 2012.02.20
건강사정, Carolyn Jarvis 저 임경춘 역, 정담미디어, 2012.08.10.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병증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73&cid=51007&categoryId=51007
대한신경근육질환학회 http://www.knmd.or.kr/board/viewbody.php?gubun=&code=diseasepds&page=1&number=8&keyfield=&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