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용기가 리더에게 필요한 때를 우리 사회에서 일어난 사건과 사고를 예로써 제시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세월호 사건과 리더십
2.1. 세월호 사건의 개요
2.2. 세월호 사건과 리더십
3. 한국의 "미투" 운동과 리더의 용기
3.1. 세계와 한국의 미투 운동
3.2. 미투 운동과 리더십
4. 리더십 사례: 배달의 민족 김봉진 대표
4.1. 리더십 사례
4.2. 시사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리더의 존재는 위기 상황에서 빛난다고 흔히 말하곤 한다. 평소 모든 것이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더의 존재나 리더가 갖고 있는 덕성은 사람들에게 직접 체감되기 어렵다. 리더의 카리스마와 미래를 통찰하는 능력, 특히 현재의 부정확하고 불합리한 상황에 있어 대처하는 용기와 같이 리더가 갖추어야 할 자질 내지 리더십(Leadership)이 빛나는 순간은 바로 그 공동체가 어떠한 위기 상황을 대면하여 혼란에 빠졌을 때일 것이다. 어려움에 마주한 공동체가 위기를 헤쳐 나가려면, 공동체를 이끄는 리더가 먼저 솔선수범하여 새로운 대책을 마련하고 지금껏 공동체가 유지해 온 질서를 용기 있게 반격하며 새로운 행보가 필요함을 역설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아래 본론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발생한 몇 가지 사건 내지 사태를 중심으로, 그러한 상황에서 과연 용기 있는 리더들이 돋보였는지 또는 리더십이 부재하였는지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2. 세월호 사건과 리더십
2.1. 세월호 사건의 개요
2014년 4월 16일 청해진해운 소속 여객선 '세월호'가 전복되어 발생한 사고이다. 세월호는 그 전날 인천항을 출발하여 오전 10시에 제주항에 도착해야 했지만, 진도군 맹골수도 인근의 해상에서 침몰하였다. 탑승한 476명의 승객 중 299명이 사망하였으며, 단 한 명도 선내에서 구조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정부의 대응이 비판을 받았다. 현재 분석 결과, 세월호의 구조 변경으로 인한 선체 중심 불안정성과 과다한 적재물 적재가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2.2. 세월호 사건과 리더십
세월호 사건과 리더십은 당시 중앙 행정부와 해경 등 관련 기관의 무능력함뿐만 아니라 언론의 무능력함까지 드러났던 상황이었다. 이미 해경은 선박업체들과 정경 유착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고 정부는 구조 현장에서 해경이 아닌 민간 잠수부의 투입을 막는 등 재난에 전혀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용기 있는 수뇌부...
참고 자료
세월호 그날의 기록, 진실의 힘, 2016
머니투데이(우경희, 김훈남, 황재하 기자), 총체적 인재의 결정판 세월호…곳곳에 원인 있었다, 2014.4.22.
뉴스1(최종일 기자), 미 전문가 “여객/화물 겸용선 위험취약… 규정강화해야”, 2014.4.19.
BBC, ‘페미니즘: 2018년 '미투 운동'이 한국 사회에 일으킨 3가지 변화’, 2018.12.31
김민수 기자(중앙시사매거진), “[김익환이 만난 혁신 기업가(3)]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CEO ”, 2019-03-23, 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25433
신재구(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조직을 망치는 리더의 4가지 ‘잘못된 소신’”, 2017-04-14, 포춘코리아 2017 3월호, https://www.sedaily.com/NewsVIew/1OEN7JKNZ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