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이버 성폭력 해결방안을 알려줄 수 있을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정보화 시대의 발전과 사이버 공간의 부작용
1.2. 사이버 공간 속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
2. 사이버 중독
2.1. 사이버 도박 중독
2.1.1. 사이버 도박 중독의 원인
2.1.2. 사이버 도박 중독의 폐해 및 현상
2.1.3. 사이버 도박 중독의 대응 및 해결방안
3. 사이버 폭력
3.1. 사이버 불링
3.1.1. 사이버 불링의 원인 및 현상
3.1.2. 사이버 불링 대응 및 해결방안
4. 결론
4.1. 사이버 문제의 심각성과 대응의 필요성
4.2. 사이버 공간에서의 윤리 및 인성 교육 강화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정보화 시대의 발전과 사이버 공간의 부작용
정보화 시대의 발전과 사이버 공간의 부작용이다.
제3기는 전자시대이다. 신부족 시대, 지구촌이라고 불린다. 해당 시기는 커뮤니케이션과 의사 결정이 매우 빠르다. 그리고 시간과 장소를 단축시키는 모자이크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쌍방향 디지털 케이블 또는 위성방송과도 같은 디지털 미디어들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이 모자이크의 화면으로 구성되는 것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코로나로 인하여 언택트, 온택트 사회가 발전하면서, 나 또한 SNS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온택트 사회가 발전하면서 코로나 블루를 이겨낼 수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이전에는 없던 SNS 중독 현상이 생겼다. 한편으로는 온택트 시대에 사람들과 온라인으로 소통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집에 있어도 무언가를 올려야 하는 강박증이 생기고, 간혹 외출을 한 날에는 SNS 올릴 것을 찍어야만 집에 행복하게 돌아갈 수 있었다.
따라서 정보화 시대의 발전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 사이버 공간 속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
사이버 공간 속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현대 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실생활과 사이버 공간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실제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사이버 공간은 시공간의 제약이 없고, 정보의 신속한 전달과 익명성이 보장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사이버 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은 현실 세계로 쉽게 확산되고, 그 피해 또한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된다. 예를 들어 사이버 도박 중독은 단순히 금전적 손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삶과 가족, 사회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또한 사이버 불링은 피해자에게 극심한 정신적 고통과 피해를 주며, 심한 경우 자살까지 이르게 만들고 있다.
이처럼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현실 세계의 정신건강, 대인관계, 사회 윤리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들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어 대응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사이버 공간 속 사회적 문제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관심과 해결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2. 사이버 중독
2.1. 사이버 도박 중독
2.1.1. 사이버 도박 중독의 원인
사이버 도박 중독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호기심과 충동성이다. 일부 청소년들은 호기심 또는 충동적인 성향으로 인해 사이버 도박에 손쉽게 빠져들게 된다. 기사에 따르면 한 청소년은 주변 친구들이 불법도박을 하는 것을 보고 호기심으로 시작했다. 또한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손해 보지 않고 돈을 따게 해주겠다"며 불법도박 사이트를 소개해주어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이처럼 청소년기의 호기심과 충동성은 사이버 도박 중독의 주요 원인이 된다.
둘째, 사회적 관심과 인정 욕구이다. 기사에서는 청소년이 사이버 도박을 통해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관심을 받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즉, 주변 친구들의 환호와 관심...
참고 자료
사이버범죄 등 사회문제 과학기술로 푼다,최성욱 기자, UNN 뉴스, 2013.12.19.
익숙해진 언택트 문화, 늘어 가는 사이버 폭력... 출구 없는 '사이버 학교폭력', 왕보경 기자, EPN 뉴스, 2021.10.21
김강호(2002), 자기에 대한 의식양태로서의 사이버 중독 현상 고찰 :하이데거의‘존재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 논문.
김보라(2016), 20대 청년의 사이버 폭력 피해경험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성격의 조절효과,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석사 논문.
연합뉴스, 김형우, 여고생 죽음 내몬 SNS 협박…폭력보다 무서운 사이버 불링, https://www.yna.co.kr/view/AKR20180928102500064?input=1195m, 2018.09.30.
한겨레, 김완 외 2인, ‘인싸’ 되고 싶어 시작했는데…결국엔 도박중독에 빚더미,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46463.html, 2020.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