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정의 및 병태생리
췌장은 상복부에 위치한 소화기관으로 각종 소화 효소와 인슐린을 분비해 장내 음식물을 분해하고,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췌장은 간 다음으로 큰 소화샘이며, 위의 두쪽에 위치하고 있는 회백색의 장기이다. 췌장은 하루 1,200~1,300mL의 췌장액을 생산하고 투명한 알칼리성의 용액으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을 소화시키는 소화효소를 포함한다.
췌장암은 악성도가 높으며 보통 무증상으로 성장하므로 진단 될 때 적절한 치유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대체적으로 췌장암은 두부에 60%, 체부 15~20%, 미부에 5%가 발생하고 췌장 두부 종양의 경우 vater 팽대부, 총담관, 십이지장 등에 영향을 미치며 비교적 초기에 담도 폐색 증상이 나타나서 크기가 작더라도 비교적 일찍 발견되는 경향이 있지만 체부와 미부 암의 경우 오랜 기간 동안 증상이 없이 서서히 성장하거나 주위 장기, 전신에 전파 된 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췌장암의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대표적인 위험요인은 흡연으로, 과도한 흡연자의 위험도는 비흡연자보다 2~2.5배 높다. 또한 약 10% 정도는 유전적 요인이다. 20년 이상 오래된 당뇨병은 2배이상 발생확률이 높다. 가장 확실한 환경적 위험요인은 흡연으로,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췌장암의 발생률이 두배이다. 췌장암은 췌장 세포의 기능장애와 유전적 소인,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발병 위험 요인
췌장암의 발병 위험 요인에는 45세 이상의 고령, 흡연, 만성 췌장염, 당뇨병, 비만 등이 있다. 고령은 췌장암 발병률이 가장 높은 나이 대로, 70세 이상이 되면 1년 사이에 약 1,000명 당 1명의 비율로 췌장암이 발생한다. 또한 흡연은 췌장암 위험도를 2~5배 증가시키는 가장 확실한 환경적 요인이며, 10년 이상 금연 시에도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 수준으로 위험도가 낮아진다. 만성 췌장염 환자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췌장암 발병률이 6배 높으며, 췌장암이 새로 발병한 환자의 경우 약 30%에서 만성 췌장염이 선행되어 왔다는 점에서 두 질환 간의 연관성이 크다. 당뇨병과 췌장암 또한 밀접한 연관이 있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췌장암 발생 위험이 1.8배 높다. 마지막으로 정상체중에 비해 비만인 경우 여성은 37%, 남성은 3배 가량 췌장암 발병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45세 이상, 흡연, 만성 췌장염, 당뇨병, 비만 등의 요인은 췌장암 발병을 높이는 주된 위험 요인이다.
1.3. 임상 증상과 진단
췌장암은 다양한 증상들을 보인다. 복부 통증은 췌장암의 가장 중요한 증상이다. 명치 부위의 통증이 가장 흔하나, 복부 어느 부위에서든 나타날 수 있다. 췌장은 등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어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으며, 이는 이미 암이 진행된 경우가 많다. 암세포가 주변 신경으로 퍼지면 상복부나 등까지 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황달은 췌두부암의 약 80%에서 나타난다. 종양으로 인해 총담관이 막히면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흘러가지 못하여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하여 황달이 발생한다. 황달과 함께 열이 나면 감염이 동반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체중 감소와 소화기능 장애도 흔한 증상이다. 뚜렷한 이유 없이 몇 달간 10% 이상 체중이 줄어드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암으로 인한 췌액 분비 감소와 식욕 부진, 통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것이다. 종양이 십이지장으로 가는 소화액 통로를 막으면 지방 흡수 장애로 인해 지방변이 나타날 수 있다. 암 세포가 위장으로 퍼지면 식후 불쾌한 통증, 구역, 구토가 생긴다.
당뇨병도 중요한 증상이다. 암이 생기면 전에 없던 당뇨병이 나타나거나 기존의 당뇨병이 악화되기도 한다. 가족력 없이 갑자기 당뇨병이 발생하면 췌장암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배변 습관 변화, 오심, 구토, 쇠약감, 식욕부진 등의 비특이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전이에 따른 증상도 전이된 장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처럼 췌장암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고 비특이적이어서, 초기에 발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환자는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어 예후가 좋지 않다. 따라서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중요하다.
2. 본론
2.1. 췌장암의 진단
2.1.1.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췌장암을 진단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