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대상포진의 정의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후에 신경 주의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대게 신경을 따라 발병하기 때문에 '띠 모양 발진'이라고도 한다. 피부의 한 곳에 통증과 함께 신경대를 따라서 줄무늬 모양의 발진과 수포들이 발생한다.
1.2. 대상포진의 원인 및 병태생리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후에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는 것이 대상포진의 원인이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감염된 후에는 체내에 잔존하여 신경절에 머물러 있게 되는데, 이후 면역력 저하, 과로, 스트레스, 다른 질환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면서 대상포진이 발병하게 된다. 특히 60세 이상의 성인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정상적인 노화에 따른 세포 면역력의 자연적인 감소가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HIV 감염 환자, 장기이식이나 항암 치료로 인해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도 대상포진이 젊은 나이에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
1.3. 대상포진의 증상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후에 신경 주의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발병 부위에 심한 통증과 감각이상이 동반되며, 발병 3~4일 후에는 띠모양이 가늘고 줄을 이룬 모양의 발진이 발생하고 이는 물집으로 변한다. 피부 물집은 3일 정도 지나면 농포가 되고, 7~10일 후엔 가피가 생기고 아물게 된다. 가피가 생기면 전염성은 없어진다. 통증은 병변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데 이는 포진 후 신경통이다. 대상포진은 대게 신경을 따라 발병하기 때문에 '띠 모양 발진'이라고도 한다. 보통 가피가 2~3주 지속되기 때문에 발진이 있는 기간은 약 3주 정도이다.
2. 대상포진의 진단
2.1. 진단적 검사
대상포진은 주로 피부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임상증상을 통해 진단이 가능하다. 피부에 나타나는 병변의 모양이 매우 특징적이므로 증상을 관찰하여 임상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다만 드물게 피부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대상포진이 있기 때문에 피부 병변을 긁어 현미경적 검사, 바이러스 배양 검사, 분자 유전자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또한 HIV 감염 위험인자가 있는 55세 이하의 환자에서는 HIV 검사도 고려해야 한다. 대상포진의 진단을 위해서는 주로 증상과 병변의 특징을 관찰하고, 필요 시 추가적인 검사를 실시하여 확진한다.
2.2. 임상경과 및 합병증
대상포진의 임상경과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발진이 나타난 후 3~4일 지나면 물집으로 변하고, 7~10일 후에는 가피가 생기며 약 2~3주 가량 지속된다. 가피가 생기면 전염성은 사라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통증은 병변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데, 이는 포진 후 신경통이라 한다. 포진 후 신경통은 흔한 합병증으로, 환자를 매우 괴롭힐 수 있다. 통증은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것이라 일반적인 진통제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지속적인 통증관리가 필요하다. 이 외에도 전층 피부괴사, 안면마비, 눈의 감염 등이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이다. 따라서 대상포진 치료 시 통증관리와 합병증 예방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3. 대상포진의 치료
3.1. 항바이러스제 치료
대상포진 치료의 주요 목적은 통증완화와 합병증 예방이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병을 줄이고 경과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한다. 발진이 나타난 후 24시간 내에 acyclovir를 구강으로 투여하거나 초기에 약물을 정맥투여하면 통증을 완화하고 질병의 진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Acyclovir(Zovirax) 또는 penciclovir(Denavir)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치료제는 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들 약물은 국소적으로 도포하면 피부 표면의 바이러스수를 감소시켜 통증과 국소병소를 줄일 수 있다. 면역저하 대상자에게는 acyclovir의 정맥투여를 적용하여 초기 심한 감염과 전신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Famvir, Varcrax와 같은 바이러스 병소 치료제를 사용하여 병변의 가피 형성과 치유를 증진시킬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