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요로결석 응급실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상자 정보
1.2. 병력
1.3. 문헌고찰
1.3.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1.3.2. 요로결석(Urinary stone)
1.4. 신체검진
1.5. 기호습관
1.6. 임상소견
1.7. 약물
2. 본론
2.1. 진단명, 현재상태 진술
2.2. 간호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2.2.1. 요로결석과 관련된 오심(Nausea)
2.2.2. 결석에 의한 요로 폐색과 관련된 배뇨장애(dysuria)
2.2.3. 질병의 예방 및 섭생과 관련된 지식부족(Deficient Knowledge)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상자 정보
대상자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이OO 씨는 76세의 남성으로, 2023년 2월 28일 오전 8시 50분경 00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진단명은 Calculus of Ureter이며, 내원 시 KTAS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단계는 3단계로 평가되었다. 이OO 씨는 기혼 상태이며, 교육정도와 직업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통증 평가 결과 NRS (Numeric Rating Scale) 7점의 우측 복부 통증을 호소하고 있었다. 과거력상 고혈압 병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로 인한 약물 복용력이 있다. 그 외 다른 과거력이나 가족력, 알러지 및 수술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병력
주 증상으로 Rt. abd pain(오른쪽 복부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내원 전 야간에 상기 증상이 발생하여 ER에 내원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통증의 양상은 쑤시는 느낌이었고 NRS 7점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통증은 주기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주기는 11~30분 간격이었다. 과거력으로는 고혈압(HTN)이 있었으며 그 외 특이사항은 없었다. 약물력으로는 고혈압 약을 복용 중이었다.
1.3. 문헌고찰
1.3.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를 의미하는 영어 줄임말이다. 2012년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도구인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우리나라 의료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KTAS를 개발하였다. KTAS는 단순히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병원 전 단계를 아울러서 응급의료체계 전반을 개혁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KTAS는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도구이다. 환자의 첫 인상을 평가한 후 감염 여부에 대한 기본적인 문진과 진찰을 시행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1차 고려사항과 증상에 따라 특별히 적용해야 할 2차 고려사항으로 환자의 중증, 긴급도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류된 병원 단계와 병원 전 단계의 KTAS 결과에 따라 환자는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며, 병원에 도착한 후 분류 결과에 따라 진료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 안전한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KTAS 분류는 총 5단계로 구성된다. 1~3단계는 응급이자 중증 환자군으로 분류되며 4~5단계는 비응급이자 경증 환자군으로 분류된다. KTAS 1단계는 생명이나 사지가 곧 악화될 위협이 있어 의사가 즉시 진료해야 하는 소생 단계이다. KTAS 2단계는 생명 또는 사지에 잠재적인 위협이 있어 의사가 15분 이내에 진료해야 하는 긴급증 단계이다. KTAS 3단계는 응급처치가 필요한 심각한 문제로 진행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는 상태로 의사가 30분 이내에 진료해야 하는 응급 단계이다. KTAS 4단계는 1~2시간 안에 치료 또는 재평가하면 되는 준응급 단계이며, KTAS 5단계는 120분 이내에 의사가 진료해야 하는 비응급 단계이다.
KTAS 단계는 응급실 내원과 동시에 평가 후 매겨지며 이후 환자 진찰 후 재평가를 하며 KTAS를 상향하거나 하향하며 최종 KTAS를 결정하게 된다. KTAS는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그 기준에 맞게 변경되어 적용된다.
1.3.2. 요로결석(Urinary stone)
요로결석(Urinary stone)은 비뇨기 질환 가운데 요...
참고 자료
유양숙 외 2022년 성인간호학(상권). 제8판 현문사
유양숙 외 2022년 성인간호학(하권). 제8판 현문사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II 2021년 제4판 현문사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I 2020년 제4판 현문사
박억숭 외 약리학 2021년 수문사
https://www.health.kr/ 약학정보원
대한응급의학회지 제 28권 제 6호 volume 28, Number 6, December, 2017
http://www.ktas.org/about/ts_info1.php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633 서울아산병원
https://www.urology.or.kr/content/health/info.php#n 대한비뇨의학회
성미혜 외 / 2020 /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황옥남 외 / 2019 / 제 7판 성인간호학 (하) / 현문사 / 190 ~196P
드러그 인포 /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 2022. 09. 22
약학정보원 / https://www.health.kr/ / 2022.09.22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in/healthInfoMain.do / 2022.09.22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index.jsp / 2022.09.2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 2022.09.22
부산대학교 상태불안 척도 / https://pnucounsel.pusan.ac.kr/pnucounsel/32441/subview.do / 2022.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