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정신의학용어
1.1. 정신과적 증상
기억력 장애, 불안, 무관심, 자폐증, 강박, 전환, 망상, 해리, 불쾌감, 착각, 환각 등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이 존재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정신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환청은 실제 외부의 청각 자극이 없는데도 실제처럼 들리는 증상으로, 환시는 실제 외부의 시각 자극이 없는데도 실제처럼 보이는 증상이다. 환촉은 실제 외부의 자극이 없는데도 실제처럼 피부와 접촉하거나 누르는 느낌이 드는 증상이다. 이 외에도 환미, 환후 등 다양한 유형의 환각 증상이 존재한다.
불안정한 기분 변화, 조증, 함구증, 편집증 등의 증상도 정신과적 증상에 해당한다. 감정 장애와 관련된 증상으로는 신경성 식욕부진, 불안장애, 양극성 장애, 신경성 폭식증 등이 있다.
전환장애, 해리장애, 성 동일성 장애, 기분장애, 강박장애, 인격장애, 외상후 긴장성장애, 성적장애, 신체형장애, 물질관련장애 등 다양한 유형의 정신장애와 관련된 증상들이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치매, 우울, 공포증, 정신증 등의 증상들이 정신과적 증상에 포함된다. 현실감각 저하와 관련된 증상으로는 억압, 조현병, 이드, 초자아 등이 있다.
공포장애, 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 밀폐공포증, 고소공포증, 동물공포증 등 다양한 공포증 관련 증상들도 관찰된다. 진전섬망, 금단증상, 해리성 둔주(배회증) 등도 정신과적 증상에 해당한다.
[]
1.2. 정신장애 용어
정신장애는 정신기능의 이상으로 인한 증상들의 집합으로, 정신과적 진단과 치료의 대상이 된다. 주된 정신장애에는 불안장애, 양극성 장애, 강박장애, 정신분열증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정신장애가 존재한다.
불안장애는 지나치게 강한 불안감과 공포, 회피 행동 등이 특징이다. 공황장애, 범불안장애, 특정 공포증 등이 대표적이다. 공황장애는 예기치 않은 공황발작이 반복되는 장애이고, 범불안장애는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인 과도한 걱정과 긴장감이 특징이다. 또한 사회공포증, 광장공포증, 높이공포증 등의 특정 공포증도 불안장애의 하위유형이다.
양극성 장애는 우울증과 조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기분장애이다. 우울증 삽화와 조증 삽화가 번갈아 나타나며, 정상 기분 상태가 드물게 관찰된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과 사회적 기능의 심각한 저하가 발생한다.
강박장애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이 특징이다. 강박 사고는 개인에게 불쾌하고 원치 않는 생각이나 이미지이며, 강박 행동은 이러한 사고를 억제하거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복적인 행동이다. 강박장애 환자들은 일상생활에 심각한 장애를 겪게 된다.
정신분열증은 사고, 지각, 감정, 행동의 심각한 장애가 나타나는 정신병적 장애이다. 환청, 망상, 와해된 사고, 정서적 둔마, 의지 및 동기 저하 등의 증상이 특징이며, 대부분의 경우 만성적이고 진행성의 경과를 보인다.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현실 감각의 심각한 장애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 직업적 기능 저하를 겪게 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정신장애들이 존재하는데, 주요우울장애, 불안장애, 물질관련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인격장애 등이 대표적이다. 각각의 정신장애는 고유한 증상 양상과 원인, 경과, 치료법을 가지고 있다. 정신보건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신장애들을 정확히 진단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3. 치료 관련 용어
치료법과 약물은 정신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