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경화증(Liver cirrhosis)
1.1. 간경화증(Liver cirrhosis) 정의
간경화증이란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간세포 괴사로 인해 간 실질의 섬유화와 소결절이 발생된 상태를 말하며, 각종 간질환의 말기상태로서, 비가역적이고, 간세포의 기능장애, 문맥고혈압에 의한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 질환 등 간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1990년 인구 십만 명당 33.8명에서 1999년 23.5명으로 30.5% 감소하였으나 연령별 사망원인 순위를 보면 간경변증 알코올성 간 질환 등의 간 질환이 40대에서 첫 번째 사망원인이 되며 50대에서는 두 번째 사망 원인 30대에서는 세 번째 사망원인으로 우리나라 중년층 인구의 주요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간경변증은 간세포의 장애와 결합조직의 증가에 의한 간세포의 경화 축소를 일으키는 질환으로 간 기능의 저하로 인해 여러 가지 합병증을 동반하고 호전과 악화를 거듭하면서 사망을 초래하게 된다.
1.2. 간경화증(Liver cirrhosis) 원인
간경화증(Liver cirrhosis)의 원인은 다양하며, 크게 알코올성, 바이러스성, 담즙성, 대사성, 심인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만성 알코올 섭취이다. 알코올은 간을 직접적으로 손상시키며, 지속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세포가 괴사와 재생을 반복하면서 간경화가 발생한다. 한국에서는 알코올성 간경화가 전체 간경화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두 번째로 많은 원인은 B형 간염 바이러스(HBV)와 C형 간염 바이러스(HCV)에 의한 바이러스성 간경화이다. 이 바이러스들은 만성 간염을 유발하며, 지속적인 간 염증으로 인해 간세포가 괴사되고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간경화로 이어진다. 한국의 경우 B형 간염이 간경화의 주요 원인으로 전체 간경화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담즙정체나 담도폐쇄와 같은 담도 질환도 간경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담즙의 정체로 인해 간세포가 손상되고 섬유화가 진행되어 간경화로 이어진다. 특히 원발성 담즙성 간경화는 중년 여성에게 호발한다.
대사성 간경화의 경우 지방간, 윌슨병, 헤모크로마토시스 등의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간에 지방이나 철분, 구리 등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간경화를 유발한다.
마지막으로 심인성 간경화는 우심부전이나 울혈성 심장병 등의 심장질환으로 인해 간 울혈이 지속되어 발생한다.
이처럼 간경화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원인에 따른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알코올성 간경화의 경우 금주가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며, 바이러스성 간경화는 항바이러스 치료가 필요하다. 담즙성 간경화는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와 함께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대사성 간경화와 심인성 간경화는 근본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1.3. 간경화증(Liver cirrhosis) 병태생리
간경화증(Liver cirrhosis)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간경변증은 만성간질환의 마지막 단계로서 간세포는 상흔조직으로 대치되고 정상적인 소엽구조는 결절(nodule) 세포로 대치된다. 경화의 초기 변화는 간의 지방침윤이다. 원인 요인을 제거하면 간의 지방침윤은 회복된다. 퇴행성 과정이 계속될 경우, 급성 알코올성 간염과 경화가 발생하며, 경화의 최종 결과는 간기능의 상실과 간문맥 혈관의 폐색이다.
간은 예비용량이 많기 때문에 생리적인 변화는 질병의 후기에 나타난다. 간의 3-4이 파괴되면 생리적 기능에 변화가 온다. 지속적인 손상으로 간이 섬유화되면 간 구조가 변화고 그 결과 내장정맥(splanchnic vein)과 문맥혈류가 폐쇄된다. 그러한 폐쇄는 수분정체, 부종악화, 복수, 수흉(hycrothrax)을 일으킨다.
간경변증에 의한 문맥압 항진증으로 인해 혈액이 더 이상 간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많은 혈액이 좀 더 쉬운 길 즉, 압력이 낮은 쪽으로 길을 만들어 흘러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원래 가늘었던 혈관들이 작게는 몇 십 배에서 크게는 몇 백 배 이상으로 확장되고 일부는 식도내로 돌출되어 식도정맥류를 형성하고 또 일부는 돌출되어 위 정맥류를 형성하기도 한다.
문맥압의 증가와 내장정맥의 울혈은 비장 비대와 비장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여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 혈소판 감소증(thromboytopenia), 빈혈 등을 일으킨다. 문맥성 고혈압은 정맥압의 증가, 혈관의 혈액정체, 치질, 식도정맥류 등을 일으킨다.
이처럼 간경변증의 병태생리는 지속적인 간세포 손상과 섬유화로 인한 간 구조 변화, 문맥압 항진증, 전신적 합병증 발생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1.4. 간경화증(Liver cirrhosis) 증상
간경화증(Liver cirrhosis) 증상은 간세포의 장애와 결합조직의 증가에 의한 간세포의 경화 축소로 인해 간 기능의 저하로 여러 가지 합병증을 동반하며, 호전과 악화를 거듭하면서 사망을 초래하게 된다.
간경화증의 증상은 원인에 상관없이 비슷하지만, 병리적 변화단계에 따라 나타난다. 첫째, 점진적 간세포 소실로 인한 간세포 기능장애가 나타나고, 둘째, 섬유화와 결절형성으로 인한 문맥 고혈압과 측부순환 발달과 관련되며, 셋째, 합병증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그러므로 초기증상은 불분명하고 감기나 위장관 증상과 비슷하지만, 간경화증이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다양한 증상과 징후가 나타난다.
간경화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주요 증상으로는 단백질, 응고인자, 비타민 합성장애로 인한 부종, 복수, 잇몸출혈, 비출혈, 타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