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 현대문학의 특성중 한국어 학습자가 가장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는 문화는 무엇이며, 문화차이를 극복할수있는 효과적인 문화교육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한국 현대문학의 특성과 문화교육
1.2.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이해 수준
1.3.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2. 본론
2.1. 문화의 개념과 분류
2.2. 언어와 문화의 관계
2.3. 문화교육의 목표와 교육내용
2.4. 문화교육 방법 및 교수-학습 전략
2.5. 유학생, 여성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문화교육 방안
3. 결론
3.1. 유학생을 위한 문화교육 방안
3.2.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화교육 방안
3.3.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문화교육 방안
3.4.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한국 현대문학의 특성과 문화교육
우리나라의 국력신장과 한류열풍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어는 명실상부 국제언어로 자리 잡았으며,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7,700만여 명에 달한다. 이에 따라 한국어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한국 문화는 큰 C와 작은 C의 문화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정보문화, 행동문화, 성취문화로 분류할 수 있다.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등장 이후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그 언어에 대한 문화의 이해가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어 언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문화교육의 필요성은 언어의 네 가지 기능 향상, 학습 동기 유발, 문화차이 이해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문화교육에서는 문화적 정형, 태도, 사회적 거리, 자기민족 중심주의 등을 고려해야 한다. 문화교육의 목표는 한국문화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 신장, 상황에 맞는 문화적 행동과 표현 사용, 한국문화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문화교류 역할 수행,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지적 호기심 충족 및 향상이다.
문화교육은 초급, 중급, 고급 단계별로 차별화된 목표와 내용으로 구성된다. 초급 단계에서는 문화충격 해소와 언어예절 등 간단한 내용, 중급 단계에서는 문화차이 이해와 문화갈등 해소, 고급 단계에서는 깊이 있는 문화 이해와 가치관 차이 등을 다룬다. 수업 방법으로는 문화설명, 문화동화, 문화캡슐, 직감적 반응소, 문화 섬 만들기, 문화감지도구, 역할극, 사진과 시청각자료, 노래와 춤, 동영상 등이 활용된다.
유학생, 여성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등 학습자 집단별로 문화교육 방안을 달리 구성해야 한다. 유학생의 경우 전통문화보다는 학교 환경과 교육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여성결혼이민자는 일상생활과 사회문화 적응에 초점을 맞춘다. 외국인 근로자는 직장생활과 안전을 위한 기초적인 문화 이해가 중요하다.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요구와 특성을 고려한 교육과정 설계, 문화와 언어의 통합적 교수학습, 다양한 매체와 활동 활용 등이 필요하다.
1.2.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이해 수준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이해 수준은 다음과 같다.
유학생의 경우 학문을 목적으로 입국한 학습자이므로 전통문화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문화 지식 자체에 대한 요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격식적 문화와 학교 환경에 관련된 사제 간 문화 등에 대한 상황별 문화 이해가 필요하다.
여성 결혼 이민자는 일상생활, 사회생활, 한국 사회의 문화 등에 대한 학습 요구가 크다. 한국어, 한국 문화를 익혀 한국의 생활에 적응하고 구성원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고자 한다.
외국인 근로자는 직장 및 직장 밖에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한국어가 필요하며, 문화적으로는 적당히 자신의 문화를 유지하면서 적응하려고 한다. 작업현장 및 직장생활에 필요한 용어와 한국의 전통문화보다는 현대문화에 대한 이해가 더 필요하다.
1.3.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의사소통의 목적은 대화참여자들이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전달하여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상대방에게 정확히 전달하는 데 있다. 만일 화자와 청자 사이에서 의사소통의 내용을 다르게 생각하거나, 언어표현에 녹아있는 뉘앙스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의사소통은 실패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학습자는 목표언어의 문화속에 녹아있는 사회적·심리적 의미들을 알아야 하고, 이를 위해 목표언어 사회의 문화적 특성과 요소들을 올바르게 파악해야 할 것이다.
문화적 지식은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즉 말하기, 읽기, 쓰기, 듣기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우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문화에 대한 이해는 학습자에게 학습동기를 유발시켜 교육목표에 효과적으로 접근하게 한다. 더불어 문화차이에 대한 오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언어와 문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한국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교육이 필수적이다. 문화교육을 통해 학습자는 한국의 역사와 전통, 사회 등에 대한 이해...
참고 자료
월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박영순(2001)
한국문화사,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화교육론, 박영순(20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우리 문화 길라잡이, 학고재.성기철(2001)
재밌는 벌통, 한국문화 교수요목 설계 시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봅시다.(유학생, 여성결혼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대학교육132호, 새로운 유학생 유치정책의 전개에 대하여, 변영종(2004. 11. 19)
LG Business Insight,‘외국인 유학생’글로벌 인력으로서의 잠재력 봐야(2013. 12. 11)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및 관리방안, 김경수(2012)
중앙일보, 외국인 유학생 9만 명... 무너지는 코리안 드림(2013. 06. 05)
동경, 글로벌 시대 혼인 결혼의 역사 문화, 이수부(2013. 11. 16.)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설계, 안용준 편저
황정봉, 한국과 중국의 고전문학 교육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김용기, 21세기 고전문학 연구 동향 『어문론집』 수록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2014.
한창훈, 한국 고전문학교육 연구 동향과 전망-1980년대 이후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강충화, 한국어교육에서의 고전문학 활용과 교육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선대학교, 2014.
손양숙, 한국어 교육에서 고전문학 작품 제시 양상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장원기,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0.
압둘라에브 딜푸자,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고전 문학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춘향전>-을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2024.
최단비, 고전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2018.
김만수(2010), 『문화콘텐츠 유형론(개정판)』, 글누림.
윤종선(2012), 『한국 고전과 콘텐츠 개발』,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2015), 『서울대 한국어 1A-6B』, 투판즈.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원(2016),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1-6』, 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