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불임 제왕절개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제왕절개 사례 선정 이유
1.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문헌고찰
2.1. 제왕절개의 정의
2.2. 제왕절개의 적응증 및 금기증
2.3. 제왕절개술의 유형
2.4. 수술 전 산부 간호
2.5. 수술 중 산부 간호
2.6. 수술 후 간호
3. 사례연구 보고서
3.1. 자료수집
3.2. 간호과정
4. 결론
4.1. 케이스 연구 후 느낀점
4.2. 출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제왕절개 사례 선정 이유
이번에 분만실에서 실습을 하면서 가장 많이 본 케이스가 제왕절개 환자였다. 자연분만도 2번 볼 수 있었지만, 아무래도 제왕절개에 비해 치유와 회복이 빨라서 퇴원도 빨리 하셨다. 제왕절개는 보통 날짜를 예약한 다음 입원해서 수술을 받고 수술 후 간호까지 받는다. 그래서 입원부터 퇴원까지 대략적으로 5일 정도 병원에 머무르기 때문에 나 또한 간호사 선생님과 함께 간호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 어머니도 우리 셋을 낳을 때 제왕절개로 출산하셨기 때문에 수술을 하는 이유, 수술과정, 수술 전/중/후 주의할 점 등 제왕절개분만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아져서 자세히 공부하고 싶었다.
1.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유OO 대상자는 33세 여성이다. 결혼상태가 기혼이며, 결혼기간은 3년 2개월이다. 학력은 고졸이며, 직업은 회사원이다. 종교는 무교이다. 임신 전 체중은 110kg이었고, 분만 전 체중은 128kg, 분만 후 체중은 126kg이다. 활력징후는 체온 36.3°C, 맥박 94회/분, 호흡 20회/분, 혈압 134/102mmHg이다. 아프가 점수는 1분 7점, 5분 10점이다. 과거력으로 선근증 수술과 제왕절개술 2회 경험이 있다. 산과력은 G3P2로, 이전 분만은 질식분만 1회, 제왕절개 2회였다. 현재 임신 36+3주차이며, 임신 중 합병증으로 임신성 고혈압과 신생아 당뇨가 있었다. 입원경로는 응급실이었다.
2. 문헌고찰
2.1. 제왕절개의 정의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 delivery)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수술법으로 제왕절개술이라고도 한다. 'cesarean'이란 용어는 라틴어 caedere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의 'cut'의 의미가 담겨있다. 우리나라의 제왕절개 분만은 2017년도에 45.0%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제왕절개분만의 증가율은 태아감시전자감시기의 확산으로 분만 중 산모상태와 태아안녕에 대한 빠른 평가, 마취 및 외과적 간호의 안정성 증가, 반복 수술의 증가 및 35세 이상 고령 산부의 비율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산부와 태아의 안녕이 위협 받을 때와 이러한 위협이 분만지연으로 인해 고조 될 때, 태아를 신속히 만출시킬수 있다. 제왕절개술은 복강을 가르는 수술이라는 사실에 유념해야하며 수술과정에 가족이 참여 할 수 없어 부모역할 적응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제왕절개술은 질식분만에 비해 모성 사망률이 2~4배 높고 이환율이 증가한다. 제왕절개술 후 외과적 합병증인 출혈, 마취 부작용,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2.2. 제왕절개의 적응증 및 금기증
제왕절개의 적응증은 크게 모체와 태아 측 요인, 모체 측 요인, 태아 측 요인, 태반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모체와 태아 측 요인에는 아두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 부전 등이 포함된다. 이는 대표적인 난산의 원인으로 신속한 태아 만출이 필요한 경우에 제왕절개가 실시된다.
둘째, 모체 측 요인으로는 임신성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 Rh 부적합증 등의 모체 합병증이 있다. 또한 과거 제왕절개 분만 경험이 있거나 35세 이상의 노초산부 및 오랜 불임 산부의 경우에도 제왕절개가 실시될 수 있다.
셋째, 태아 측 요인에는 태아 질식, 태위이상, 다태아 중 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태아의 안전한 분만을 위해 제...
참고 자료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최예숙 고영지 고정미 김향동 김현정 조미희 주영주 외 공저,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19년도 215~223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KIMS 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박영주 심미정 김혜자 전나미 김혜원 이은숙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2020년, 214~234
김창재 채준석 정미영 송대헌 박정주 이병호, 제왕절개술 후 PCA를 이용한 통증 조절시 Morphine과 Ketamine의 혼합투여가 제통효과에 미치는 영향https://ekja.org/upload/pdf/kjae-40-509.pdf
서울대학교 병원, 통증관리,
http://cancer.snuh.org/board/B028/view.do?bbs_no=3692&searchKey=all&searchWord=&pageIndex=1 2022/07/03
질병관리본부. (n.d.). 국가건강정보포털 KCDC 건강/질병 정보.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5000000&bid=0017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KCDC 건강/질병 정보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전북대학교병원. (n.d.).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https://www.jbuh.co.kr/cuh/main/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여성건강간호학1, 수문사, 2016.02.22, P.487~ 496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제왕절개 분만 [cesarean delivery]"
하영수 외(2022). 여성간호학Ⅱ. 신광출판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성미혜 외(2020).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정문각
유양숙 외(2022).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www.snuh.org/intro.do
대한당뇨병학회. https://www.diabetes.or.kr/general/info/treat/treat_01.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