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가 지키는 대한민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우리가 지키는 대한민국
1.1. 덕혜옹주의 비극적 삶
1.2. 우리가 대한민국을 지켜야 하는 이유
1.3. 군대에 대한 새로운 인식
2. 여성차별철폐조약
2.1. 여성차별철폐조약 개요
2.2. 인상 깊었던 조약 내용과 이유
2.3. 우리나라의 미준수 사항과 판단근거
2.4. 이행을 위한 한국정부의 과제
3. 인종차별철폐조약
3.1. 인종차별철폐조약 개요
3.2. 인상 깊었던 조약 내용과 이유
3.3. 우리나라의 미준수 사항과 판단근거
3.4. 이행을 위한 한국정부의 과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우리가 지키는 대한민국
1.1. 덕혜옹주의 비극적 삶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로 인해 일본의 탄압이 극도로 심해지던 시기, 고종의 막내딸이자 덕수궁의 꽃인 덕혜옹주가 태어났다. 그러나 덕혜는 궁녀와의 사이에서 태어났기에 처음에는 이름도 부여받지 못했다. 덕혜가 일본식 교육을 받고, 일본인과 결혼하는 것을 원치 않았던 고종은 자신의 심복 김황진의 조카 김장한과의 약혼을 추진하지만 수포로 돌아가고 고종황제마저 의문의 죽음을 맞이한다. 옹주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슬퍼하는 한편 아버지의 죽음이 독살로 인한 것이라며 가슴에 비수를 세우게 된다. 황족에 오름으로써 덕혜라는 이름을 지어 받았지만 그 대가로 옹주는 일본 고관 및 조선 양반의 자제들이 다니는 히노데 소학교에 유학을 가게 되지만 사실상 볼모였다. 일본으로 건너간 덕혜는 학교에서 일본인들의 조롱과 멸시를 받지만 대한제국의 황녀라는 자존감을 가지고 의연하게 대처해나간다. 그렇게 덕혜옹주는 일본에 대한 분노와 대한제국의 황녀로서의 위엄을 지키는 한편 돌아가신 아버지, 조선에 계시는 어머니에 대한 사무친 그리움으로 하루하루 생활하게 된다. 그러던 중 순종황제가 타계하게 되었지만, 덕혜는 일본정부에 의해 조선으로 국장을 치르러 갈 수가 없었다. 뒤이어 덕혜의 어머니인 양귀인 마저 유방암으로 영면하게 되고, 덕혜옹주는 조선으로 갔지만 복상하지 못하고 일본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세월은 덕혜의 가슴에 상처만을 남긴 것이다. 이러한 고통도 잠시 덕혜옹주는 일본에 의해 쓰시마섬 도주의 양자인 쇼 다케유키와 강제 결혼을 하게 된다. 슬하에 딸 정혜가 있었지만 그녀의 결혼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남편과의 관계, 정혜가 학교에 입학하면서 조선인임을 거부하기 시작하면서 딸과의 관계마저 틀어지자 덕혜의 병세는 악화되었다. 결국 그녀는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고, 결혼생활도 끝이나 버린다. 그리고 딸 정혜마저 자살을 하게 된다. 정신병원에 갇혀 있던 덕혜는 구국청년단에 의해 탈출에 성공, 조선으로 귀국하여 그토록 그리던 창덕궁으로 돌아와 생을 마감하게 된다.
1.2. 우리가 대한민국을 지켜야 하는 이유
대한제국 황녀 덕혜옹주의 비참한 운명을 통해 우리는 대한민국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덕혜옹주는 고종의 막내딸로 태어났지만 일제강점기에 온갖 고난을 겪었다. 일본의 압제 아래에서 그녀는 조선인으로서의 자존감을 잃지 않고 꿋꿋이 버텨왔다. 그녀가 보여준 그 강인한 의지와 조국에 대한 애착은 우리나라의 국민이 되어 살아가는 우리에게 큰 교훈을 준다.
우리는 오늘날 자유롭게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는 바로 과거 선배들의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암살에서부터 전쟁터에서 목숨을 바친 수많은 전우들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싸운 이들이 있었기에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평화가 가능했다.
따라서 우리에게 주어진 대한민국이라는 소중한 나라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은 우리 세대의 당연한 책무...
참고 자료
1. 여성차별위원회 최종평가서, 여성차별철폐위원회, 1998. 9.
2. 우리나라 국제협약 이행보고서에 관한 UN 권고, 국가인권위원회, 2004.
3. 한국여성개발원(1993), 각국의 공적부문에 있어서의 여성차별철폐조치에 관한 연구 -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
4. 황영채(1991), 국제법상 남녀평등의 보장, 배경숙교수화갑기념논문집, pp.951-972.
1. 우리나라 국제협약 이행보고서에 대한 UN 권고, 국가인권위원회, 2004.
2. 인종차별철폐위원회 최종평가서, 인종차별위원회, 2003. 12.
3. 국제인권법과 한국 이주노동자의 인권, 황필규, 아름다운재단 공익변호사그룹 공감, 2004.
4.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협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