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비동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5.01.25
3,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부비동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만성 부비동염(Chronic Pansinusitis)
1.1. 정의
1.2. 원인 및 병태생리
1.3. 급성 부비동염 및 만성 부비동염의 증상
1.4. 검사
1.5. 치료
1.5.1. 내과적 관리 및 간호관리
1.5.2. 외과적 관리
1.6. 합병증 및 예후
1.7. 수술명: 내시경 부비동 수술(FESS)
1.7.1. 수술 적응증
1.7.2. 수술 목적
1.7.3. 수술 방법

2. 천식(Asthma)
2.1. 정의
2.2. 원인 및 병태생리
2.3. 증상
2.4. 검사
2.5. 치료
2.5.1. 내과적 관리 및 간호관리
2.6. 합병증 및 예후

3. 수술 전, 중, 후 간호
3.1. 수술 전 간호
3.2. 수술 중 간호
3.3. 수술 후 간호

4. 마취과정
4.1. 마취
4.1.1. 전신마취
4.1.2. 흡입마취
4.1.3. 정맥마취
4.2. 약물, 기구, 장비
4.3. 마취 과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만성 부비동염(Chronic Pansinusitis)
1.1. 정의

부비동은 코 주위의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이다. 이 공간들은 작은 구멍(자연공)을 통해 코 속과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해 부비동 내의 공기의 환기 및 분비물의 배설이 이루어진다. 부비동염(축농증)이란 자연공이 막혀서 부비동이 제대로 환기 및 배설되지 않아 이차적으로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하고, 농성 분비물이 고이면서 염증이 심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질병의 기간이 4주 미만일 경우에는 급성 부비동염, 3개월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만성 부비동염으로 정의한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부비동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비염이 부비동으로 퍼지거나 정상적으로 배액되는 길이 막혀 발생한다. 정상적으로 부비동 분비물은 비갑개 아래 관을 통해 흐르는데 부비동이 막히면 분비물이 역류해 막힌 부비동에 통증과 염증이 유발된다. 알레르기가 있거나 감기에 자주 걸리는 사람, 비중격 만곡증이 있는 경우 특히 잘 걸린다. 부비동염은 화농성, 비화농성, 급성, 만성 등의 형태로 발생한다. 급성 부비동염은 상부 호흡기 감염, 알레르기성 비염, 수영이나 치과 치료 후 발생한다. 만성 부비동염은 알레르기와 비용종과 관련 있으며 부비동의 정상 섬모상피가 불가역적으로 상실되어 급성 감염이 계속 재발될 때 생긴다. 나이가 들면 코의 생리와 기능이 변하여 코가 좁아져 코가 잘 막혀 노인성 비염을 초래한다. 노인성 비염 환자는 지속적인 부비동 분비물, 가래를 뱉어내고 싶은 느낌, 코가 막힌 느낌을 호소하며 이런 증상은 누우면 더 심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도 문제는 노화뿐만 아니라 알러지성 비염 때문일 수도 있다. 부비동염의 경우도 일반적인 증상 보다는 코가 건조하고 따끔따끔하다고 호소한다.


1.3. 급성 부비동염 및 만성 부비동염의 증상

급성 부비동염 및 만성 부비동염의 증상이다. 급성 부비동염의 증상은 권태감, 두통, 미열과 함께 코막힘, 콧물과 부비동 주위의 통증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된 상태를 만성 부비동염이라 하며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기침,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 등이 생기며 더 진행하면 후각 감퇴, 두통 및 집중력 저하 등을 호소하게 되고 중이염이나 기관지염, 천식 등이 악화되기도 한다. 코가 막히면 냄새를 맡을 수 없게 되기도 하고, 이상한 냄새가 나기도 한다. 다른 증상 없이 기침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급성 부비동염의 증상은 짧은 기간 동안 권태감, 두통, 미열이 나타나고 코막힘, 콧물, 부비동 주위의 통증이 발생한다. 이와 달리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증상으로 코막힘, 지속적인 누런 콧물, 기침, 코 뒤로 넘어가는 콧물 등이 나타나며 후각 감퇴, 두통, 집중력 저하 등이 발생한다. 이 외에도 냄새를 맡지 못하거나 이상한 냄새 감지, 기침만 있는 경우도 만성 부비동염의 증상이다. 전반적으로 급성 부비동염은 단기간의 증상이 나타나고, 만성 부비동염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증상이 특징이다.


1.4. 검사

환자의 증상과 병력을 통해 부비동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비인후과 진찰 시 비강검사를 통해 코 안을 관찰하는데, 최근에는 내시경을 사용하여 비강 내의 병리적 변화를 매우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게 되었다. 경우에 따라 방사선촬영이 필요할 수도 있다. 우선 단순 부비동촬영을 시행하여 부비동염을 진단하고, 수술 예정이거나 단순 부비동촬영 결과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하여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알레르기 비염의 동반 유무를 확인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천식이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비강검사를 통해 누런 코(농, pus)의 배출을 확인하거나, 물혹(비강 폴립)이 있는지 확인한다. 단순 부비동촬영을 통해 부비동 안에 액체가 있거나 뿌옇게 흐려져 있는 모습, 또는 점막이 두꺼워진 징후 등으로 비부비동의 염증을 확인할 수 있다. 단순촬영에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거나 수술 예정인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CT촬영을 하게 된다.


1.5. 치료
1.5.1. 내과적 관리 및 간호관리

부비동염 환자는 충분한 수분 공급과 식염수 세척 또는 비강 점적 등을 시행한다. 코막힘이 심한 경우 침상을 올려 수면을 취하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매연이나 담배 연기의 노출을 피한다. 카페인이나 알코올은 수분 배출을 증진시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한한다. 처방에 따른 항생제를 3-4주간 투여하며, 비강 스테로이드제도 도움이 된다. 알레르기가 만성 부비동염의 원인인 경우 경구용 항히스타민제나 비강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한다.

코 세척과 올바른 호흡법, 건강한 생활습관 등을 교육하여 환자 스스로 증상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코 세척은 분비물을 엷게 하고 배출을 도와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므로 아침, 저녁으로 시행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환자 개개인의 증상과 생활 패턴을 파악하여 맞춤형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부비동염 환자는 증상이 지속되고 악화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외래 방문을 통해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약물 요법을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내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도록 한다.

만성 부비동염은 꾸준한 내과적 관리와 간호 중재를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환자의 증상과 생활습관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환자 교육과 자가 관리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1.5.2. 외과적 관리

만성 부비동염(Chronic Pansinusitis) 환자에게 시행되는 외과적 관리는 다음과 같다.

부비동 내시경 수술(FESS)은 만성 부비동염 환자에게 주로 이용되는 수술 방법이다. 내시경을 이용하여 부비동 점막 중 이환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환기와 점액 배출을 정상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FESS는 ...


참고 자료

대한의학회(2016), 인턴 수련교육 및 진료 지침서(14.마취통증의학과) : p.256-269
대한의학회(2016), 인턴 수련교육 및 진료 지침서(4.기관삽관술) : p.19-20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1(일곱번째), 수문사 : p. 649-655
강승주 외(2014), Medical Surgical Nursing(Volume1), 퍼시픽북스 : p. 434-435
김태진(2007), 노인임상간호매뉴얼-질병명별, 정담미디어 : p. 29-32
Joyce M. Black 외(2013), 성인간호학 Volume1, 정담미디어 : p. 637-646
질병관리본부 http://cdc.go.kr/CDC/mobile/main.jsp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