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가족간호과정
가족간호과정은 현재 및 잠재적 건강문제를 가진 가족에 대한 반응으로서 건강한 사람과 아픈 사람에 대한 간호를 말한다. 또한 간호 실무 영역 내에서 가족의 건강요구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으로, 가족구성원보다는 가족 전체에 초점을 두고 시행한다. 이는 가족들로 하여금 그들의 건강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건강한 가족을 형성하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가족간호의 대상에게 단계별로 적절한 자료수집과 분석을 통해 가족의 건강문제를 확인 및 진단하고, 계획해볼 수 있다.
1.2. 영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줄거리
이 영화에는 한 가족이 나오는데 병원의 원장이었지만 의료사고로 인하여 지금은 한 병원에서 월급쟁이 의사로 일하는 아빠(정철), 자궁암에 걸렸지만 자신의 병의 심각성을 모르는 엄마(인희), 유부남과의 사랑에 괴로워하는 딸(연수), 대학입시에서 떨어져서 고생하는 아들(정수), 치매에 걸려 엄마를 못살게 하는 할머니가 중심으로 나오고 엄마를 미워하는 동생(근덕)과 엄마를 항상 고맙게 생각하는 올케(선애)가 주변인물로 나온다.
사건의 시작은 치매에 걸린 시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인희'가 간병인에게 어렵사리 시어머니를 맡기고, 몸이 좋지 않아 약이라도 타먹기 위해서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는데 그 검사결과가 암으로, 이미 너무 늦어버려 고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로 인해서 의사였던 '정철'은 아내가 아프다고 하였지만 대수롭지 않게 넘겨버린 자신을 자책하게 되고, 딸(연수)은 자신의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것을 후회하게 되고, 아들(정수)은 엄마에게 합격하는 모습을 못 보여주는 것에 대해서 슬프게 생각한다. 또 엄마는 자신은 병으로 먼저 죽게 되었을 때 치매에 걸린 시어머니의 걱정 때문에 괴로워하게 된다.
결국 가족 모두 이별에 대한 아픔 때문에 힘들어하지만 엄마를 잘 보내주기 위하여 노력하고, 엄마도 마음의 준비를 하면서 세상을 떠나게 된다.
2. 본론
2.1. 간호 사정 도구
2.1.1. 가족 구조도
이 가족은 시어머니(할머니), 남편(정철), 아내(김인희), 딸(정연수), 아들(정정수)로 구성된 확대가족이다. 시어머니는 1930년 7월 1일 출생의 여성으로 치매를 앓고 있다. 남편은 1955년 8월 24일 출생의 의사이며, 아내는 1961년 3월 14일 출생의 주부이자 자궁암 말기 환자이다. 딸은 1983년 8월 21일 출생의 광고회사 직원이고, 아들은 1990년 4월 20일 출생의 재수생으로 어릴 적 사고로 인한 고막 손상이 있다. 이들 가족 모두 동거하는 직계가족 형태를 가지고 있다.
2.1.2. 가족밀착도
아내는 치매인 시어머니를 간병하면서 힘들어하지만 가족 구성원 중에서 시어머니와의 밀착도가 가장 높다. 아내는 그 외의 가족 구성원들에게도 관심을 가지고 보살핌을 제공하지만, 가족들은 아내의 희생을 당연하게 여기고 아내에게 무심하다. 삼수생인 아들은 미대 진학을 지망하지만 아버지의 의대 진학 강요로 깊은 갈등관계이다. 그 외의 가족 구성원들은 익숙함에 속아 서로 간의 관심과 의사소통이 부족하여 소원한 관계이다.
2.1.3. 사회지지도
아내는 삶의 중심을 가족으로 여기고, 가족은 아내를 중심으로 상호작용한다.
아내는 일상생활의 취미로 계모임과 꽃가꾸기를 즐겨했고, 아내의 암은 남편의 동료 의사인 윤박사와 산부인과 의사에게서 진단을 받게 된다.
2.1.4. 외부체계도
아내는 일상생활의 취미로 계모임과 꽃가꾸기를 즐기고 있다. 아내의 암은 남편의 동료의사인 윤박사와 산부인과 의사에게서 진단을 받게 된다. 남편은 망했던 개인 의원을 그만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