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강점관점은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결점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실현해 나가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환경 안에서 이해하며 자원과 강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개인의 자기 확신, 변화가능성 향상, 개인의 진전과 같은 심리학적 경험을 강조하며 역량강화, 권한부여 과정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강화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강점관점은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강화시키는 과정이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향상시켜 가장 신속하게 클라이언트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전략이 된다. 이와 같은 강점관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강점관점모델
2.1. 강점관점의 정의와 개념
강점관점은 클라이언트를 독특한 존재로 인정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며 클라이언트의 결점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두고 가능한 모든 자원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실현해 나가도록 돕는 것이다. 특히 개인의 자기 확신, 변화가능성 향상, 개인의 진전과 같은 심리학적 경험을 강조하며 역량강화, 권한부여 과정을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중요한 준거틀이 된다.
강점관점은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강화시키는 과정이 클라이언트의 역량을 향상시켜 가장 신속하게 클라이언트에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전략이다. 권한부여는 자원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활용이 매우 중요하며 자원과 기회에의 접근 증가, 강점 확장, 역량 강조 자체가 권한부여이며, 개인, 대인관계, 구조적 차원 등 모든 사회체계 수준에 적용 가능하다.
강점관점의 핵심 개념으로 임파워먼트, 소속감, 레질리언스, 치유, 대화와 협동, 그리고 불신의 종식 등이 있다. 이들 개념은 실제 사회복지실천에 적용될 때 강점관점의 원칙이 된다.
2.2. 강점관점의 주요 이론
강점관점 이론은 모든 인간이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이미 내부에 가지고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겪는 문제 상황은 도전과 기회로 전환될 수 있다고 본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결점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맞추어 클라이언트가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활용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도록 돕는다.
이를 위한 핵심 개념으로 임파워먼트, 소속감, 레질리언스, 치유, 대화와 협동, 불신의 종식 등이 제시된다. 임파워먼트는 클라이언트가 내부와 외부의 자원을 발견하고 확장하여 자신만의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소속감은 고립되지 않고 안전한 환경 속에서 지지받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레질리언스는 역경을 겪더라도 이를 극복하고 원래대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치유는 문제나 고통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성장과 변화를 이루어나가는 것이며, 대화와 협동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자원을 발견하고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불신의 종식은 클라이언트의 내적 자원과 힘을 믿는 사회복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