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자궁내막암의 정의와 종류
자궁내막암은 자궁 안쪽을 덮고 있는 조직인 자궁내막에 발생하는 암이다. 주로 폐경 이후 여성에게 호발하며, 대부분 50대 후반~60대 초반에 발생한다. 자궁내막암은 병리적 종류에 따라 에스트로겐 의존성 종양과 에스트로겐 비의존성 종양으로 분류된다. 에스트로겐 의존성 종양은 고에스트로겐혈증과 관계되지 않은 종양으로 분화가 잘 되어 예후가 좋다. 에스트로겐 비의존성 종양은 자궁내막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근원을 갖지 않는 여성에게 발생하며, 발병 연령이 높고 폐경 이후 마른 여성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자궁내막암의 대부분은 자궁내막선암으로, 이는 자궁내막증식증에서 발생한다. 편평세포 분화가 있는 자궁내막선암, 점액성 암, 유두성 장액성 암, 투명세포암, 편평세포암 등이 있으며, 자궁내막암과 난소암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1.2. 자궁내막암의 원인 및 위험요인
자궁내막암의 원인 및 위험요인이다.
자궁내막암의 대부분은 에스트로겐 의존성이며, 내·외인성으로 에스트로겐에 노출된 기왕력이 있는 경우이다. 그 외에의 경우 자궁내막증식증, 폐경기 전후에 자궁내막증식증이 악성종양으로 발전한다. 에스트로겐 의존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노출과 관련한 여러 위험요인이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고위험군은 미산부, 빠른 초경과 늦은 폐경에 의한 장기간 에스트로겐에 대한 노출, 무배란성 월경장애에 의한 자궁내막의 계속적 에스트로겐 자극, 비만과 고혈압이 있는 여성이며, 유방암 또는 난소암의 가족력, 여성 호르몬에 영향주는 약물을 장기적으로 복용하는 경우이다. 에스트로겐 비의존성인 경우 자연발생적으로 나타나며, 자궁내막증식증과 무관하게 위축된 자궁내막에서 암세포가 발생한다.
1.3. 자궁내막암의 외과적 병기분류
자궁내막암은 TNM(Tumor-Node-Metastasis) 병기체계와 FIGO(국제부인과학회) 병기체계를 사용하여 외과적 병기를 결정한다. FIGO 병기체계에 따르면 자궁내막암은 Ⅰ기에서 Ⅳ기까지 총 4단계로 분류된다.
Ⅰ기 암은 자궁에 국한되어 있으며, Ⅰa기는 암이 자궁내막에 국한되거나 자궁근층의 1/2 미만을 침범한 경우이고, Ⅰb기는 암이 자궁근층의 1/2 이상을 침범한 경우이다.
Ⅱ기 암은 자궁을 벗어나지 않았지만 자궁경부 기질을 침범한 경우이다.
Ⅲ기 암은 국소적, 림프절을 통해 전파된 경우로, Ⅲa기는 암이 자궁의 장막 또는 부속기관(난소, 난관)을 침범한 경우이며, Ⅲb기는 암이 질 또는 자궁외막을 침범한 경우, Ⅲc기는 림프절로 전파된 경우이다.
Ⅳ기 암은 방광, 장점막 등 인접장기를 침범하거나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로, Ⅳa기는 인접장기를 침범한 경우이고, Ⅳb기는 복강 내 전이가 있고 원격장기에 전이된 경우이다.
수술 중에 세포학적 평가를 위해 복수를 표본 검사하고, 자궁외 병소를 생검하거나 절제하여 복부와 골반을 탐색한다. 또한 자궁절제술과 양측 난관 및 난소 절제술을 시행하며, 전이가 의심되는 골반과 대동맥주위 림프절은 제거하고 병리적 검사를 수행한다.
자궁내막암의 외과적 병기분류는 치료 방향을 결정하고 예후를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확한 병기 결정을 위해 다양한 검사와 절제술을 통해 세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1.4. 자궁내막암의 치료
자궁내막암의 치료는 병기와 질병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조기 자궁내막암 치료의 주된 방법은 수술적 치료이다. 자궁내막암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 후 추가적인 치료 없이 관찰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일부 환자의 경우 수술 후 보조요법이 필요하다.
수술은 자궁적출술과 양측 난관 난소 절제술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경우 복강경 또는 로봇 보조 복강경 수술을 통해 시행된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빠른 회복과 낮은 합병증률로 인해 선호된다.
진행된 자궁내막암의 경우 수술 후 보조 방사선 요법이나 화학 요법이 필요할 수 있다. 방사선 요법은 골반 내 국소 재발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화학 요법은 전이된 병변이 있거나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에게 시행된다.
자궁내막암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각 환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치료의 목적은 생존율 향상과 더불어 삶의 질 개선에 있다. 따라서 치료 방법 선택 시 환자의 선호도와 복지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2. 간호사정
2.1. 간호력
2.1.1. 일반적 사정
나이, 연령군, 직업, 결혼 상태, 가정 형태 등과 같은 개인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 사정이다.
대상자는 34세 여성으로 G1 POLODO AO의 기혼자이다. 직업은 사무직이며, 남편의 나이는 37세 회사원이다. 부부 모두 처음으로 자녀를 가지는 만큼 현재 자녀는 없다. 다문화 가정은 아니다. 입원 동기는 임신 39주째 LNMP 기준 자연수막파수로 인해 분만을 위해 내원하였다.
2.1.2. 월경력
초경 연령(Menarche) : 15세이다.
월경 간격 : 29일이다.
월경 기간 : 5일이다.
월경량 : 약 50ml이다.
마지막 월경일(LMP) : 2017년 11월 17일이다.
분만예정일(EDC) : 2018년 8월 24일이다.
2.1.3. 건강력
대상자는 특이 내과력이 없으며, 과거병력과 수술경력이 없는 건강한 상태이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약물 부작용 경험도 없다. 흡연이나 음주 습관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가족력을 살펴보면 아버지가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것 외에는 다른 유전성 질환이나 암 가족력은 없다. 따라서 대상자는 전반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