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청소년 참여활동의 의미와 활성화 방안
1.1. 청소년 참여 개념
청소년 참여는 여러 학자들이 개념화하고 있는데,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영향을 주며, 청소년들이 관심을 가지는 이슈나 쟁점에 대해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권한을 주는 활동을 의미한다. 청소년 참여의 필요성은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나 정책의 경우, 당사자인 청소년의 의견과 목소리가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정책과정 중에서 토의, 형성, 설계, 실행, 평가 과정 등에 청소년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청소년 참여 기능으로는 청소년은 참여를 통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으로서의 자신의 역량과 책임감 있는 모습으로 성장할 수 있으며, 민주적 시민권을 발휘함으로써 사회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1.2. 청소년 참여의 필요성
청소년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이나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의견과 목소리를 제시할 수 있다. 청소년 참여는 그들의 민주시민 역량 함양과 수요자 중심의 정책실현을 위해 필요하다.
참여를 통해 청소년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고, 사회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참여 과정에서 얻는 실질적인 지식과 기술, 비판적 사고력 및 도전정신 등을 기를 수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 인권이 신장되고 건강한 민주시민이 육성될 수 있다. 아울러 청소년정책의 실효성 제고, 개인의 잠재역량 개발, 사회적 시너지효과 등의 복합적 정책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3. 청소년 참여 기능
청소년은 참여를 통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으로서의 자신의 역량과 책임감 있는 모습으로 성장할 수 있다. 청소년은 민주적 시민권을 발휘함으로써 사회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청소년 참여는 개인 발달, 조직과 지역사회 개발 측면에서 유용하며, 청소년은 참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실질적인 지식과 유용한 기술을 얻을 수 있고, 비판적 사고력과 능동적 도전정신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참여가 임파워먼트, 공동체 의식 및 시민성 함양, 대인관계, 사회적 기술, 자기효능감 등에 효과적이다. 나아가 청소년 참여를 통해 청소년 인권 신장, 건강한 민주시민 육성, 청소년정책의 실효성 확보, 개인의 잠재 역량 개발과 사회성 신장 등 복합적인 정책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4. 청소년 참여 유형
참여 유형
참여 유형은 참여 과정에서의 의사전달 방식(하향식, 상향식)과 참여 형태(명목상, 기능상, 대표 중심, 변혁적)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하향식 의사전달방식의 참여 유형에는 정당성 획득을 위한 명목상 참여, 효율성 확보를 위한 기능상 참여,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표자 중심 참여, 권한 부여를 통한 변혁적 참여가 있다. 상향식 의사전달방식의 참여 유형에는 의견 수렴을 위한 명목상 참여, 수단적 목적을 위한 기능상 참여, 의견 창출 및 제시를 위한 대표자 중심 참여, 권한 부여를 통한 변혁적 참여가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은 참여 과정에서 자신의 역량과 책임감을 기르며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다. 또한 참여를 통해 청소년은 사회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1.5. 청소년 참여기구
청소년 참여기구는 청소년이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수립·시행과정 및 청소년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