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서번트 리더십 이론과 측정 척도 종류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번트 리더십 이론과 측정 척도
1.1. 서번트 리더십 이론
1.2. 서번트 리더십의 역할
1.3. 전통적인 리더십과의 차이점
1.4. 서번트 리더십의 구성요소
1.5. 서번트 리더십의 장점
1.6. 서번트 리더십의 단점
2. 리더십 측정 척도
2.1. 명목 척도
2.2. 순서 척도
2.3. 간격 척도
2.4. 비율 척도
2.5. 서열 척도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번트 리더십 이론과 측정 척도
1.1. 서번트 리더십 이론
서번트 리더십 이론은 인간존중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이루어나가는데 있어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이끌어주는 리더십이다. 그린리프(R. Greenleaf)에 의해 1970년대 초 처음 소개되었으며, 그는 헤세(H. Hesse)가 쓴 '동방순례'라는 책에 나오는 서번트인 레오(Leo)의 이야기를 통해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레오는 순례자들 사이를 돌아다니면서 필요한 것들이 무엇인지 살피고, 순례자들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치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갑자기 레오가 사라지자 순례자들 사이에 싸움이 잦아지고, 사람들은 레오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었다. 이처럼 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들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리더십이다.
1.2. 서번트 리더십의 역할
서번트 리더십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방향 제시자 역할은 조직의 비전을 제시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구성원들은 자신에게 분명한 방향과 목표가 주어질 때 잠재력을 발휘하여 최상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
파트너 역할은 구성원들간의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조율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구성원들의 의견들이 목표에 적합한지 살피며, 의견 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율한다.
지원자 역할은 구성원들의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지원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배려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수시로 구성원들과 접촉하...
참고 자료
LG경영연구원(https://www.lgbr.co.kr/report/view.do?idx=1810)
데이터분석의 이해" (저자: 김용대, 출판사 : 자유아카데미)
통계학개론" (저자: 김우철, 출판사 : 영지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