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위험물기능사 개요
1.1. 위험물의 정의 및 분류
위험물이란 인화성 또는 발화성이 있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질이다. 위험물은 총 6개의 분류로 이루어져 있다.
제1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로, 가연성 물질과 쉽게 반응하여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이다. 제2류 위험물은 가연성 고체로, 낮은 온도에서 쉽게 발화할 수 있는 고체 물질이다. 제3류 위험물은 물과 접촉하거나 대기 중 수분과 접촉할 경우 발열 또는 발화할 수 있는 금수성 및 자연발화성 물질이다. 제4류 위험물은 인화성 액체로, 인화점이 60°C 미만인 가연성 액체 물질이다. 제5류 위험물은 자기연소성 물질로, 고체 또는 액체 상태에서 폭발의 위험성 또는 격렬한 가열 및 분해 특성을 갖는 물질이다.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 액체로, 물과 반응하여 산소 가스를 발생시켜 연소를 촉진하는 액체 물질이다.
이러한 위험물들은 고체의 경우 킬로그램(kg) 단위로, 액체의 경우 리터(L) 단위로 지정수량이 규정되어 있다. 지정수량이란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수량으로, 지정수량이 작을수록 위험도가 높은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2품명 이상의 위험물을 동시에 보관할 경우에는 각 품명의 보관량을 해당 품명의 지정수량으로 나누어 계산한 값의 합계가 1 이상이 되면 위험물로 관리해야 한다.
1.2. 위험물 관련 법규와 지정수량
위험물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인화성 또는 발화성 물질이다. 위험물은 6가지 종류로 분류되어 있는데 그 중 제1류부터 제6류까지의 각 위험물에는 지정수량이 정해져 있다. 지정수량은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을 의미하며, 고체의 경우 kg, 액체의 경우 L 단위로 규정되어 있다. 지정수량이 작을수록 위험성이 높은 위험물로 간주된다. 만약 2품명 이상의 위험물을 동시에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경우 각 위험물의 저장수량을 해당 위험물의 지정수량으로 나눈 값의 합계가 1을 초과하게 되면 이를 위험물로 간주한다. 즉, {A품명의 저장수량/A품명의 지정수량} + {B품명의 저장수량/B품명의 지정수량} + {C품명의 저장수량/C품명의 지정수량} > 1이 되는 경우 이를 위험물로 취급해야 한다.위험물은 그 성질에 따라 제1류부터 제6류까지 총 6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제1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 제2류 위험물은 가연성 고체, 제3류 위험물은 금수성 및 자연발화성 물질, 제4류 위험물은 인화성 액체, 제5류 위험물은 자기연소성 물질,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 액체이다. 각 위험물의 종류와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류 위험물인 산화성 고체는 1기압 및 20도의 온도에서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물질로, 다른 물질과 접촉하거나 가열되면 쉽게 산소를 방출하여 화재 및 폭발의 위험이 있다. 제2류 위험물인 가연성 고체는 낮은 온도에서 쉽게 발화하는 고체 상태의 가연성 물질이다. 제3류 위험물인 금수성 및 자연발화성 물질은 물과 접촉하거나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 또는 발화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이다. 제4류 위험물인 인화성 액체는 인화점이 60도 미만의 가연성 액체로, 액면에서 증발된 가연성 증기와 공기가 섞여 폭발의 위험이 있다. 제5류 위험물인 자기연소성 물질은 가열, 분해 시 격렬한 반응을 일으키는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위험물질이다. 마지막으로 제6류 위험물인 산화성 액체는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다른 물질의 연소를 촉진시키는 액체 상태의 물질이다. 이렇듯 위험물은 그 성질에 따라 6가지 종류로 구분되며, 각 위험물마다 지정수량이 정해져 있어 이를 초과하여 저장 또는 취급할 경우 위험물로 인정되어 관리의 대상이 된다.
2. 화재의 예방과 소화방법
2.1. 연소의 정의와 조건
열과 빛을 동반하는 급격한 산화반응을 연소라 한다. 완전연소는 산소가 충분한 상태에서 가연성분이 완전히 산화되는 연소이고, 불완전연소는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가연성분이 불완전하게 연소한다. 연소의 조건에는 가연물, 산소공급원, 점화원이 필요하며, 연쇄반응도 연소의 4요소로 포함된다. 가연물이 될 수 있는 조건은 열전도율이 낮고 활성화에너지가 작으며 표면적이 넓은 것이고, 가연물이 될 수 없는 조건은 산소와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 물질이나 질소(N2) 또는 질소화합물(NOX)과 같이 흡열반응을 하는 물질이다. 산소공급원에는 공기(산소), 제1류 위험물(산화성고체), 제5류 위험물(자기반응성물질), 제6류 위험물(산화성액체)가 포함된다. 점화원은 연소를 위해 물질에 활성화 에너지를 주는 물질로, 노출되어 있는 모든 불꽃이 해당된다. 고체의 연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