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나라 아동 발달 부모 역할 강조사항"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우리나라 아동 발달에서 부모의 역할
1.2. 전통적 아동발달관과 부모 역할
1.3. 현대 가족구조 변화와 부모 역할의 변화
2. 우리나라의 아동발달과 부모 역할
2.1. 유교사회의 아동관과 부모 역할 강조
2.2. 어머니의 양육 역할과 중요성
2.3. 아버지의 역할과 변화
3. 부모 역할의 변화와 새로운 관점
3.1. 전통적 부모 역할 모델: 엄부자모
3.2. 현대 사회의 변화된 부모 역할
3.3. 균형잡힌 부모 역할의 필요성
4. 아동발달을 위한 부모 역할 강화 방안
4.1.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마련
4.2. 부모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4.3. 가족친화적 사회 환경 조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우리나라 아동 발달에서 부모의 역할
우리나라 아동 발달에서 부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부모는 아동이 출생 후 처음 관계를 형성하는 대상으로서, 부모의 역할은 아동의 성장에 필수적이다. 부모는 아이가 출생 후 부모와 상호작용하며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부모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 이에 따라 부모는 양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자녀를 올바르게 성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유교 사회에서는 아동에 대한 존중과 태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아동기는 무한한 욕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동에 대한 훈육과 가정교육이 중요하다고 여겼으며, 부모는 자녀 교육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였다. 부모는 사랑과 헌신적인 돌봄을 통해 자녀에게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자녀를 존중하며 교육에 정성을 다하는 자세를 보였다. 이러한 부모 역할의 수행에 따라 정성, 희생, 존중, 관심 등의 덕목이 중요시되었으며, 이는 아동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였다. [1]
조선시대에는 자애로운 동시에 자식을 엄격히 가르쳐야 한다는 부모의 역할이 강조되었고, 부모와 자녀 관계에서도 엄격한 상하질서가 요구되었다. 태아기부터 10세 이전까지는 주로 어머니가 자녀 양육의 책임을 맡았고, 10세 이후에는 성별에 따라 교육 내용을 달리하였다. 특히 남자 아이의 경우 아버지와의 관계가 더 긴밀해졌고, 여자 아이는 어머니와의 관계가 더 밀접해졌다. 이처럼 태아기부터 무조건적 보호와 자애로운 마음으로 자녀를 양육했던 태도도 아동의 성장에 따라 엄격함이 더해졌다. [1]
어머니의 역할은 출산을 하는 생물학적 역할에서부터 자녀에 대한 책임과 통제를 다 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임신과 출산은 아버지의 역할과는 대조적인 생물학적 역할이며, 어머니의 역할은 여성으로서 사회화 과정에서 우선시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처럼 아동발달에 있어 어머니의 역할은 아동의 초기 발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아동의 발달 및 능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특정한 어머니의 행동이나 태도, 환경적 조건 등이 있다. [1]
아버지의 역할은 인간을 형성하는 생물학적 기여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하지만 실제로 자녀 양육에 있어 아버지의 역할은 어머니에 비해 상당히 미미하며 최소한의 역할만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어, 어머니의 생계 부담률이 높은 사회일수록 아버지가 영아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1]
전통적인 관점에서 자녀 양육과정에서 아버지는 자녀의 행동을 통제하는 역할을, 어머니는 온화함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부모 역할 모델인 '엄부자모(嚴父慈母)'와도 일치한다. '엄부자모'는 엄한 아버지와 자애로운 어머니를 의미하며, 아버지의 역할은 자식을 엄하게 다루고 교육하는 것이고, 어머니의 역할은 자식을 깊은 사랑으로 보살피는 것이다. [1]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엄부자모' 또는 '엄자부모' 등의 전통적 부모 역할 모델에 대한 반대 시각도 존재한다. 핵가족화 현상과 여성의 사회 취업률 증가 등으로 인해 부모의 역할에도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1]
따라서 아동의 발달을 위해 부모의 역할은 전통적 관점과 현대적 관점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지만, 어머니와 아버지가 각자의 역할을 다 할 때 아동이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1]
1.2. 전통적 아동발달관과 부모 역할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유교 사회의 아동 발달관을 기초로 자녀를 양육하였다. 유교사회의 아동관은 태내에서 잉태되는 순간부터 아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였으며, 이에 태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아동기는 무한정한 욕구를 가지고 있기에 아동에 대한 훈육이 필요하였으며, 가정교육이 중요시되었다. 또한 부모는 아이 교육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였다. 사랑과 헌신적인 돌봄을 통해 부모는 자녀에게 높은 관심을 갖고 자녀를 존중하며 교육에 정성을 다하는 자세를 보였다. 부모의 역할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정성, 희생, 존중, 관심 등이 있었고, 이러한 부모 역할의 수행에 따라 아동의 발달에 큰 영향을 끼쳤다.
조선시대의 부모의 역할로는 자애롭지만 자식을 엄격하게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고, 부모와 자녀 관계에 있어서도 엄격한 상하질서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부모의 역할은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두었다. 태아기부터 10세 이전에는 어머니에게 자녀 양육의 책임이 있다고 보았다. 10세 부터는 성별에 따라 교육 내용을 다르게 하여 양육하며, 특히 ...
참고 자료
정복분, 신명희, 학지사, 『유아발달』, 2016.
김유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유아발달』, 2020.
송다영, 한부모가구 미혼모, 미혼부 특성, 통계청.
김은지(2017), 2018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사전 연구, 여성가족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 2017-36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609000272
https://blog.naver.com/jobcard?Redirect=Log&logNo=221545387648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I1601
file:///C:/Users/User/Downloads/[%EC%9A%A9%EC%97%AD]%202018%EB%85%84%20%ED%95%9C%EB%B6%80%EB%AA%A8%EA%B0%80%EC%A1%B1%20%EC%8B%A4%ED%83%9C%EC%A1%B0%EC%82%AC%20%EC%82%AC%EC%A0%84%20%EC%97%B0%EA%B5%AC%20-%20%EC%97%AC%EC%84%B1%EA%B0%80%EC%A1%B1%EB%B6%80(%EA%B9%80%EC%9D%80%EC%A7%80).pdf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unsa1009&logNo=220325416857&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