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혈액검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상세정보

소개글

"신생아 혈액검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신생아 황달의 정의

3. 신생아 황달의 원인
3.1. 생리적 황달
3.2. 모유 수유 황달
3.3. Rh 혈액형 부적합성 황달
3.4. ABO 부적합성 황달

4. 신생아 황달의 병태생리
4.1. 빌리루빈의 대사 과정
4.2. 생리적 황달의 발생 기전
4.3. 혈액 부적합 황달의 발생 기전

5. 신생아 황달의 증상 및 징후

6. 신생아 황달의 진단
6.1. 사정
6.2. 혈액 검사
6.3. 기타 검사

7. 신생아 황달의 치료
7.1. 광선요법
7.2. 교환 수혈
7.3. 약물 요법
7.4. Rh 동종면역의 예방
7.5. 자궁 내 수혈
7.6. 수유 및 대사 요구 중재

8. 신생아 황달의 경과 및 합병증
8.1. 핵황달
8.2. 청동색 아기 증후군
8.3. 동종면역으로 인한 심한 빈혈

9. 신생아 황달의 간호관리
9.1. 초기 간호
9.2. 교환 수혈 시 간호
9.3. 기타 간호 중재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신생아의 정상적인 생리적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황달은 대부분 자연스럽게 해결되나, 몇몇 경우에는 병적인 원인에 의해 심각한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신생아 황달은 빌리루빈의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나타나며, 그 원인과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이 다양하다. 따라서 신생아 황달의 정의와 원인, 병태생리, 증상 및 징후, 진단과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신생아 황달에 대한 체계적인 간호관리가 요구된다.


2. 신생아 황달의 정의

신생아 황달은 혈액 내 빌리루빈이라는 담즙 색소의 농도가 증가한 상태이다.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여러 조직에 침착되어 피부나 점막이 노랗게 보이는 증상을 말한다. 정상아는 생후 2-3일 째, 미숙아는 생후 4-5일 째 발견되며 1주일 안에 없어지는 생리적 황달이 있다. 그러나 생리적 황달이 아니고 심한 황달이 있을 경우나 2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의 진단을 받고 적절한 처치를 해야 한다. 신생아에서의 황달은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5mg/dL 이상일 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생리적으로 출생 초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정상 수치는 소아보다 높다. 병리적 황달이란 생후 첫날에 황달이 발견되거나,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상으로 높거나, 혹은 생후 2주 이상 황달이 지속될 때, 직접 빌리루빈이 2mg/d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병적 황달의 원인으로는 혈액 혈중 Rh 부적합, ABO 부적합, 모유 황달, 혹은 간담도질환 등이 있다. []


3. 신생아 황달의 원인
3.1. 생리적 황달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황달 중 가장 흔한 형태가 생리적 황달이다. 생리적 황달은 출생 후의 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만삭아의 경우 생후 2일부터 8일까지 나타나며 미숙아의 경우 생후 14일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생리적 황달은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으며, 대부분 별도의 치료 없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생리적 황달은 태아형 헤모글로빈이 성인형 헤모글로빈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태아형 헤모글로빈이 다량 파괴되어 발생한 빌리루빈이 혈액 내에 축적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또한 간의 대사 능력이 아직 미숙하여 빌리루빈을 충분히 처리하지 못하고 혈액 및 간세포에 빌리루빈이 축적되어 황달이 발생한다. 이러한 요인들이 공통적으로 혈액 내 빌리루빈 축적을 야기하여 고빌리루빈혈증을 초래하고, 그 결과 황달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생리적 황달은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절로 호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생리적 황달이 의심되는 경우 별다른 조치 없이 경과를 관찰하면서 호전을 기다리면 된다.


3.2. 모유 수유 황달

모유를 먹이는 아기는 분유를 먹이는 아기에 비해서 신생아 황달이 더 잘 생길 수 있다. 모유 수유하는 아기의 13%에서 생후 1주 내에 혈청 빌리루빈 농도가 12mg/dL 이상 증가하게 되며, 3주에서 10주 동안 지속된다. 모유 안에 있는 지방산들이 간의 빌리루빈 대사를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유 수유하는 아기에게서 나타나는 이러한 황달은 생리적 기능 저하로 인한 것이며, 대부분 별다른 치료 없이도 저절로 호전된다.


3.3. Rh 혈액형 부적합성 황달

Rh 혈액형 부적합성 황달은 신생아 황달 중 가장 심한 경우로서 용혈성 빈혈을 동반한다.

Rh 혈액형 부적합성 황달의 발병 기전은 다음과 같다. 산모가 Rh 음성 혈액형이고 아기가 Rh 양성 혈액형인 경우, 출생 당일부터 황달이 나타나서 빠르게 진행한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아기의 혈액이 조금이라도 모체의 혈액 순환 내로 유입되게 되면 Rh 양성 적혈구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지고, 이 항체가 태반을 통과하여 아기의 혈액 순환으로 들어가서 적혈구를 파괴하여 빈혈과 황달을 초래하게 된다.

첫 번째 임신으로 태어난 아기에서는 대개 증상이 없거나 가볍지만, 두 번째 임신으로 태어난 아기는 증상이 심해지며, 임신 횟수가 늘어날수록 더욱 더 증상이 심해진다.

이 경우 황달은 출생 당일부터 나타나서 빠르게 진행하며, 합병증으로 핵황달이 오기 쉬워 시급한 치료가 필요하다.

신생아에서 가장 심각한 증상으로는 태아 수종이 있다. 용혈이 심해지면 빈혈 증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저산소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박출량이 증가되어 심부전으로 빠질 수 있다. 결국 혈액량 증가, 정맥압 상승, 나트륨 및 염의 체류, 전신부종 등이 생긴다.

또한 파괴된 적혈구를 대체하기 위해 혈구 생성이 늘어나는데, 태아는 성인과 달리 골수 외에 다른 장기에서도 혈구 생성이 일어날 수 있어 간이나 비장이 비대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태아는 장기의 기능이 덜 성숙했기 때문에 과다한 일이 부여될 때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적혈구가 파괴되면 빌리루빈이 생성되는데, 빌리루빈을 간에서 포합과정을 거쳐 수용성으로 변하여 장관으로 배설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혈중에 많이 떠다니게 되면 고빌리루빈혈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포합과정을 거치지 않은 비포합 빌리루빈이 뇌혈관장벽을 통과하여 핵황달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Rh 부적합증은 매우 심각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어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출생 후 72시간 이내에 가능한 빨리 교환수혈을 시행하여 감작된 적혈구를 제거하고 빌리루빈 수치를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다.

또한 Rh 동종면역의 예방을 위해 Rh 음성인 산모에게 출산이나 유산 후 72시간 이내에 Rh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Rh 양성 적혈구에 대한 항체 생성을 차단할 수 있다.


3.4. ABO 부적합성 황달

ABO 부적합증은 대개 산모가 O형 혈액형이고 아기가 A형이나 B형 혈액형일 때 발생한다. 이는 산모가 가지고 있는 A형이나 B형 적혈구에 대한 항체가 태반을 통과해서 태아의 혈액 순환으로 들어가 태아의 적혈구를 파괴하여 빈혈과 황달을 초래하게 되기 때문이다.

ABO 부적합증은 첫 번째 임신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다음번 임신에서 의미 있는 용혈반응이 발생할 위험은 첫 임신에서 ABO 부적합증에 의한 합병증보다 더 높다. 또한 임신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태아의 고빌리루빈혈증이 생길 확률은 점차 증가하는데, 특히 첫 아이가 고빌리루빈혈증이 있었던 경우에 그 다음 임신으로 갈수록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용혈이 심해지면 빈혈 증상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저산소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박출량이 증가되어 심부전으로 빠질 수 있다. 결국 혈액량 증가, 정맥압 상승, 나트륨(Na) 및 염(Cl)의 체류, 전신부종 등이 생긴다. 또한 파괴된 적혈구를 대체하기 위해 혈구 생성이 늘어나는데, 태아는 성인과 달리 골수 외에 다른 장기에서도 혈구 생성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간이나 비장에서 그러하며, 이런 장기들이 비대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적혈구가 파괴되면 빌리루빈이 생성...


참고 자료

박호란 외, 아동간호학, 현문사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 / 박호란 저/ 현문사
여셩건강간호학Ⅰ/ 박영주 외/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 박영주 외/ 현문사
간호과정실무지침(2016) / 서울대학교병원간호본부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p. 277-280
간호과정의 적용(2018) / 성미혜 외 / 수문사 / p.226-231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5) / 원종순 외 /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MEG GULANICK, JUDITH L. MYERS / ELSEVIER 현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2013) 제3판, 차영남 외, 현문사
칼 란트슈타이너 : 혈액에 대하여 .김현진, 배애님 박사 (KIST) (http://www.nobel.or.kr/study-room/)
[신생아 광선치료용 안대 제거 방법에 따른 통증과 피부반응]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간호학석사 학위논문/ 2014년 11월/ 허희윤
홍창의 (2010). 소아과학. 대한교과서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son. 2014. 아동간호학(총론). 현문사. 2-774
녹십자의료재단 http://www.gclabs.co.kr/main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www.health.mw.go.kr
네이버. 건강백과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
서울 아산병원 건강정보 www.amc.seoul.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질병관리본부 www.cdc.go.kr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ttp://www.hira.or.kr/main.do
통계청 http://kostat.go.kr/
광선치료 사진 www.draeger.com
ABO부적합 이미지 (http://dxline.info/diseases/abo-incompatibility)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