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들어가는 말
1.1. 희망의 신학 몰트만 개관
몰트만은 『희망의 신학』에서 종말론을 "마지막 것"에 관한 교리로 정의하지 않고,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 이해한다. 그는 종말론이 단순히 부활한 주의 재림에 대한 소망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미래를 말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헬라인들에게 '파루시아'는 하나님의 현존에 대한 총괄개념이었지만, 신약성서에서 그리스도의 파루시아는 오직 기대의 범주 안에서만 이해된다. 몰트만은 신앙과 희망의 관계에 대해 "신앙은 희망을 세우는 기초이고, 희망은 신앙을 키우고 지원한다."고 말한다. 신앙 없이는 희망이 허공에 떠있는 유토피아적 희망이 되고, 희망 없이는 신앙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몰트만은 현대 실존주의의 절망에 반대하며, 이를 하나의 죄라고 부른다. 그는 기독교의 소망이 "아직 보이지 아니하는 것을 지향하였다."고 말한다. 이 미래에 대한 소망이 현재의 삶을 변혁시키며, 믿는 자는 오늘을 넘어 미래의 약속과 하나님을 바라보아야 한다. 이 하나님은 미래로 보냄을 받은 신자에게 현존하신다. 신앙과 소망이 오시고 있는 하나님의 모든 가능성과 약속 안에서 드러날 때, 삶은 역사의 지평에서 이해되고 사랑할만한 삶이 된다. 이러한 미래지향적 소망은 교회를 "인간사회 안의 항구적 동요"로 변혁시키며, 실재의 창조적 변혁을 추구한다. 종말론의 실재적 언어는 앞으로 올 것들의 약속이며, 기독교 신앙의 본질이기에, 기독교와 문화 간의 어떠한 종합도 불가능하게 한다. 종말론을 제거하면 신앙 자체를 포기하게 된다.
1.2. 종말론에 대한 몰트만의 해석
몰트만은 종말론을 단순히 세계의 마지막 일들에 관한 이론이 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 이해한다. 그에 따르면 종말론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미래에 대한 소망을 말하는 것이다. 기독교의 종말론은 과거와 현재를 지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전망과 지평을 제시한다.
몰트만은 기존 신학자들의 종말론 개념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오스카 쿨만의 구원사적 종말론은 역사를 변혁하는 종말론의 본래적 의미를 약화시킨다. 칼 바르트의 종말론은 역사와 미래의 지평을 상실하고 종말을 현재적 순간에 국한시킨다. 역사신학자 판넨베르크 또한 현실 전체를 하나님의 계시로 정당화하여 종말론의 변증법적 성격을 간과한다.
이와 달리 몰트만은 종말론을 하나님의 약속을 받아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변혁적이고 희망적인 개념으로 설명한다. 그에게 종말론은 현재를 초월하여 새로운 미래를 향한 역사의 개방성을 말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은 이미 실현되었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은 미래를 가리킨다. 따라서 종말론은 현재와 미래의 지속적인 변혁과 갱신을 요구한다.
몰트만의 종말론은 역사주의적이며 변증법적이다. 그는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약속이 실현되어 가는 과정을 강조하며, 현재와 미래의 지속적인 긴장관계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고 본다. 종말론은 단순히 세계의 종말이 아니라 현재의 부정과 새로운 창조를 향한 미래의 추구이다. 이를 통해 기독교 신앙은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해 끊임없이 변혁을 추구하게 된다.
2.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
2.1. 역사적 종말론과 변증법적 해석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에 있어서 역사적 종말론과 변증법적 해석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몰트만은 종말론을 단순히 세계의 마지막 일들에 관한 이론이 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며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미래에 대한 소망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종말론을 "희망되는 것과 희망 하는 것을 포괄하는 기독교의 희망에 관한 이론"으로 파악하여, 세계의 파멸과 폐기가 아닌 새로운 역사의 시작이라고 본다.
몰트만은 현대 신학자들의 종말론에 대해 비판적이다. 오스카 쿨만의 구원사적 종말론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이미 결정된 승리를 드러내는 과정으로 보지만, 이는 역사를 변혁하는 종말론의 본래적 의미를 약화시킨다. 칼 바르트의 종말론은 종말을 "이 역사의 모든 순간 속에 있는 영원한 현재"로 이해하여 역사와 미래의 지평을 상실했다고 비판한다. 불트만의 현재적 종말론 또한 역사의 종말론을 개인 결단의 순간 속에 가두어 역사와 무관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몰트만은 하나님의 약속된 미래가 현재를 변혁시키는 변증법적 성격을 강조한다. 그는 죄와 죽음으로 가득한 현실이 하나님의 약속된 미래를 향해 변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기독교 신앙은 "현재의 십자가"를 짊어지면서도 "하나님의 약속된 미래"를 바라보는 것이다. 이처럼 몰트만의 역사적 종말론은 현재와 미래를 변증법적으로 연결시키며, 역사를 하나님의 약속을 향한 개방성으로 이해한다.
몰트만은 이러한 변증법적 관점을 통해 기독교 신학의 정치적 기능을 강조한다. 하나님의 약속이 현재의 불의하고 비인간적인 현실을 변혁시켜 나가는 혁명적 힘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은 정치신학과 해방신학으로 연결되며, 세계를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변혁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