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아당뇨 case 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아당뇨 case study
1.1. 이론적 고찰
1.1.1. 유병률
1.1.2. 원인 및 발병 기전
1.1.3. 병태생리
1.1.4. 증상
1.1.5. 진단검사
1.1.6. 치료와 간호
1.2. 학령기 생리적 특성과 질병과의 연관
1.3. 간호과정
1.3.1. 정보에 접할 기회 결여와 관련된 지식부족
1.3.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1.3.3. 질병과 관련된 신체,정서,사회적 성장발달 장애 위험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아당뇨 case study
1.1. 이론적 고찰
1.1.1. 유병률
전 세계적 빈도는 학령기 아동 1000명당 2명이고, 16세경에는 360명당 1명으로 가장 높다. Ⅰ형 당뇨병은 백인에게 더 현저하다. 우리나라는 1994년 전국 조사에서 15세 미만 아동 10만명당 1.41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소아 청소년기에는 1형 당뇨병이 가장 흔하지만 최근 들어 비만 증가로 인해 2형 당뇨병의 발생 빈도도 상승하고 있다. 당뇨병은 전체 인구의 약 4-5% 정도를 차지하며, 20세 이하 청소년의 경우 약 0.3%에서 발생한다. 특히 1형 당뇨병은 16세경에 발병률이 가장 높아 10만명당 360명 수준이다. 이처럼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하는 당뇨병은 성인에 비해 유병률은 낮지만 향후 합병증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병 유병률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로, 2018년 기준 만 30세 이상 성인의 13.8%가 당뇨병을 앓고 있다. 또한 소아청소년 당뇨병 환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 기준 10만 명당 23.9명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서구화된 식생활 및 운동 부족 등 생활습관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1.1.2. 원인 및 발병 기전
바이러스 감염이 당뇨병의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다. 홍역, 선천성 매독, 콕사키 바이러스 등 다양한 바이러스가 췌장의 베타세포를 직접 침범하거나 화학적으로 손상시켜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5세 이상 아동에서 겨울 동안 당뇨병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은 이 시기 바이러스 감염이 더 빈번하기 때문이다.
특정 HLA(histocompatibility lymphocytic antigen) 유전형을 가진 소아에서 제1형 당뇨병의 발생이 더 많이 관찰된다. 이는 체질적 요인이 제1형 당뇨병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즉, 바이러스 감염이나 신체적·정서적 스트레스 등이 유발인자가 되어 특정 HLA형을 가진 소아에서 췌장의 베타세포에 대한 자가면역 반응을 일으켜 점진적으로 베타세포를 파괴하여 인슐린 부족을 초래하게 된다.
제1형 당뇨병은 유전적 요인보다 제2형 당뇨병에 비해 유전성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형제에게 발병될 확률은 2~5배 정도 높고, 자녀에게 유전될 확률은 아버지의 경우가 어머니보다 3배 더 높다.
또한 우유와 같은 식이요인도 제1형 당뇨병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유는 유전적으로 감수성이 있는 사람에서 췌장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자가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좀 더 명확한 설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1.1.3. 병태생리
혈액 내 포도...
참고 자료
최신 기본간호학 1, 송경애 외, 수문사, 2017
최신 기본간호학 2, 송경애 외, 수문사, 2017
아동간호학, 방경숙 외, 정담미디어, 2018
성인간호학 상, 조경숙 외, 현문사, 2014
서울 아산병원 건강정보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symptom/symptomList.do?symptomId=SS000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