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DVT 케이스스터디 개요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은 다리 깊숙이 있는 정맥에 혈전이 생성되는 질환이다. 이 혈전이 떨어져나가 폐로 가면 폐색전증이라는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최근 DVT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현대인의 생활 습관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장시간 앉아있거나 운동량이 부족한 경우, 비만, 임신, 수술 등이 DVT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에 실제 DVT 환자를 통해 DVT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중재에 대해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DVT 환자 간호에 대한 실제적인 지식과 경험을 쌓고자 한다. 입원한 DVT 환자의 사례를 통해 환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력, 신체사정, 진단검사, 치료 과정 등을 파악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주요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중재와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DVT 환자 간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임상에서의 간호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1.2. DVT 질병의 개념 및 특징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은 하지나 골반의 심부 정맥에 발생한 혈전을 의미한다. DVT는 혈전이 형성되어 정맥 내부를 막는 질환으로, 심각한 합병증인 폐색전증의 위험이 높다. DVT는 정맥 정체, 과응고성, 정맥벽 손상의 3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혈전 형성은 국소적 과정으로 혈관 내벽에 혈소판이 유착하면서 시작되며, 초기에는 작은 크기의 혈전이 형성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커지게 된다. 혈전이 혈관을 막으면 염증과 정맥 판막 파괴가 일어나 정맥 부전과 정맥염 후 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 DVT의 대표적인 증상은 급격한 다리 부종, 통증, 압통, 열감, 피부색 변화 등이며, 일부 환자에서는 무증상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DVT의 진단을 위해서는 정맥 도플러 초음파, CT 혈관조영술, D-dimer 검사 등이 사용된다. 치료에는 항응고제 투여, 혈전용해제 사용, 수술적 치료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DVT는 정맥 내 혈전 형성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으로,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다.
2. 문헌고찰
2.1. DVT의 원인
혈전 형성의 원인은 정맥의 정체, 과응고력, 그리고 정맥벽의 손상이다.
정맥 정체는 장기간 부동, 비만, 임신, 울혈성 심부전 등의 경우에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정맥혈이 지체되어 혈전이 형성될 수 있다.
과응고력은 악성 종양, 혈소판 증가증, 경구용 피임약 복용, 탈수 등의 경우에 발생하며, 응고 요인이 증가하거나 섬유소 용해가 감소하여 혈전이 생성될 수 있다.
정맥 벽의 손상은 정맥 내 주사, 폐색성 혈전 혈관염, 골절 및 탈골, 화학적 손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정맥 벽의 손상으로 인해 혈소판이 유착되고 혈액 찌꺼기가 축적되어 혈류가 느려지면서 혈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정맥 정체, 과응고력, 정맥 벽의 손상 중 적어도 2가지 요인이 있으면 혈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를 비르효의 3대 증상이라고 한다. []
2.2. DVT의 병태생리
혈전 형성은 국소과정이며 이는 혈관 내벽에 혈소판이 유착되므로서 시작된다. 혈소판이 콜라겐에 유착되면 Adenosinediphosphate(ADP)가 유리되며 ADP는 손상된 조직이나 파괴된 혈소판에서 유리된다. 이는 혈소판을 응집하게 하고, 그 결과 혈소판 플러그를 형성한다. 심부정맥혈전증은 직경이 1mm에서부터 주요 정맥을 채울 수 있는 긴 덩어리까지 다양하다. 작은 혈전들은 흔히 심부 정맥 판막의 주머니에서 발견되고 새롭게 형성된 혈전들은 폐색전증을 일으킬 수 있다. 혈전 형성 후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