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경화증복수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경화증 정의 및 특징
1.2. 간경화증의 원인
1.3. 간경화증의 증상 및 진단
2. 간경화증의 치료
2.1. 식이요법
2.2. 약물 치료
2.3. 간생검 및 기타 검사
2.4. 수술적 치료
3. 간경화증 환자의 간호
3.1. 간호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중재
3.4. 간호평가
4. 간경화증 사례 연구
4.1. 대상자 기초정보
4.2. 임상검사 결과
4.3. 간호과정 적용
4.4. 간호과정 평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경화증 정의 및 특징
간경화는 넓게 퍼진 섬유증과 소결절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며 진행성 질환이다. 간의 기본 구조가 변화되고 당 신생, 약물과 알코올의 해독, 빌리루빈 대사, 비타민 흡수, 위장관 기능, 호르몬대사 등의 간 기능이 상실된다. 간경화의 문제는 간기능 저하와 관련된 문맥성 고혈압이며 문맥성 고혈압은 주로 심각한 간경화에서 발생한다. 간경화는 만성 알코올 중독 환자의 10-15% 정도에서 발생하며, 모든 간경화의 45% 이상이 알코올과 관련되어 있고 남성이 여성보다 간경화 발생이 높다. 간경화에는 괴사후 화학적 간독성 물질 노출이나 바이러스성 간염, 담즙성, 울혈성 및 알코올성 경변증 등 4가지 형태가 있다. 간경화증으로 인한 문제는 간기능 저하와 문맥고혈압이며, 문맥고혈압은 주로 심각한 간경화증에서 발생한다.
1.2. 간경화증의 원인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에는 알코올성 간질환, 바이러스성 간염, 지방성 간염, 약물 및 독성물질, 자가면역성 간염, 담즙성 질환 등이 있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해 간세포에 직접적인 독성 효과가 발생하고 염증이 유발되어 간경화증을 야기한다. 알코올에 의해 간세포가 퇴행하고 지방 침착, 백혈구와 림프구의 침투로 간이 비대해지며, 진행되면서 섬유화와 괴사가 발생하여 간경화로 발전한다. 알코올의 양은 개인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만성 알코올 중독 환자의 10-15%에서 간경화증이 발생한다.
바이러스성 간염은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만성 간염이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간세포 손상과 괴사가 반복되면서 섬유화가 진행되어 간경화증이 발생한다.
지방성 간염은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의 간 내 침착으로 인한 만성 염증반응으로 간경화증이 유발될 수 있다. 주요 위험 요인에는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 등이 있다.
약물 및 독성물질 중독은 아세트아미노펜, 메토트렉세이트, 메틸도파, 이소니아지드 등의 약물이나 사염화탄소, 비소 등의 화학물질에 의해 간세포가 직접적으로 손상되어 간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자가면역성 간염은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간 조직에 대한 자가 항체가 생성되어 만성 간염 및 간경화증이 발생한다.
담즙성 질환은 만성 담낭염이나 담관 폐쇄로 인한 담즙 정체와 울혈로 간경화증을 초래할 수 있다.
1.3. 간경화증의 증상 및 진단
<보고서>
간경화증은 간의 기본 구조가 변화되고 간 기능이 상실되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간경화증의 증상은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발현되며, 초기에는 만성 간질환에서 비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이 관찰된다.
초기 증상으로는 만성 피로, 식욕부진, 구역질, 복부 불쾌감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들은 간 질환에서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므로 증상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후기에는 눈과 피부에 황달이 생기거나 피부의 거미 모양 혈관종, 손바닥 홍반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간경변증으로 인한 간 기능의 저하는 소화기, 순환기, 내분비 계통에도 영향을 미쳐 남성은 여성 유방처럼 유방이 커지거나 고환이 작아질 수 있으며, 여성은 월경이 불규칙해지기도 한다.
간경화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가 필요한데, 먼저 간 초음파 검사를 통해 복수, 간 비대, 비장 비대, 담석, 담관 폐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정맥 혈전증과 문맥혈의 흐름 상태도 파악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간 생검을 실시하여 정확한 병태생리와 질병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생검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간 스캔을 시행한다. 그 외에도 동맥 촬영술, 식도 위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간경화증을 진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간경화증의 원인, 진행 정도, 합병증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한다.<보고서>
간경화증의 증상은 초기에는 만성 피로, 식욕부진, 구역질, 복부 불쾌감 등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후기에는 황달, 거미 모양 혈관종, 손바닥 홍반 등이 관찰되며, 간 기능 저하로 인해 남성의 유방 비대, 여성의 월경 불규칙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간경화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간 초음파 검사, 간 생검, 동맥 촬영술, 식도 위내시경 검사 등이 활용된다. 간 초음파 검사를 통해 복수, 간 비대, 비장 비대, 담석, 담관 폐색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간 생검으로 정확한 병태생리와 질병 진행 상태를 진단한다. 그 외에도 문정맥 혈전증, 문맥혈 흐름 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검사를 시행한다. 이와 같은 종합적인 검사를 통해 간경화증의 원인, 진행 정도, 합병증 유무 등을 진단한다.
...
참고 자료
윤은자 외, 2020년,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p.498-531
윤은자 외, 2020년,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금자 외, 2012년,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송경애 외, 2020년, 『최신 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송경애 외, 2020년,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성미혜 외, 2020년,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삼성서울병원, 질환 및 검사 (https://samsunghospital.com/)
서울 아산병원 의학품 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전대원, 2011년, “간질환과 영양”, Hanyang Medical Reviews Vol.31 No.4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30hmr/hmr-31-228.pdf
일반응급처치 굿라이프, 2014, 김재호, 이담북스
성인간호학Ⅰ, 2012, 김금순, 김영숙,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2014, 조경숙 외, 현문사
임상간호와 영양, 2013, 번영순 외, 정담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