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상포진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문헌고찰
2.1. 대상포진의 정의
2.2. 대상포진의 원인 및 병태생리
2.3. 대상포진의 증상
2.4. 대상포진의 진단
2.5. 대상포진의 치료 및 간호
2.6. 대상포진의 합병증
2.7. 대상포진의 예방
3. 간호사정
3.1. 일반적 정보
3.2. 과거력 및 현병력
3.3. 신체사정
3.4. 검사결과
4. 간호과정
4.1. 신경절 침범과 관련된 급성통증
4.2. 피부외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후 신경 주위에 무증상으로 남아 있다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질 때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의학의 발달과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의 연장과 출산율 수준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는 우리나라의 인구성장 추이를 보면 전체인구에 대한 노인인구 비율이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령인구의 비중은 1990년에는 5.1%인데 반해 2000년에는 7.2%로 증가하였고 2010년에는 10.7%, 2020년에는 15.1%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노인에게는 사회에서의 은퇴와 더불어 경제적인 불안정과 사회나 가정에서의 역할변화로 인한 많은 심리적, 정신적인 문제들이 있으며 노인인구의 약 80%는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대상포진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노인의 질병과 관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 대상포진 환자들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1.2. 연구의 목적
본 사례연구를 통하여 대상포진의 원인, 증상, 치료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치료를 돕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2. 문헌고찰
2.1. 대상포진의 정의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후 신경 주위에 무증상으로 남아 있다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질 때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2.2. 대상포진의 원인 및 병태생리
대상포진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대상포진의 주된 원인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의 재활성화이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후 신경 주위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약화되었을 때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면서 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신경을 따라 피부로 다시 나오면서 대상포진이 발생한다."
암, 에이즈,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이식 후 거부 반응을 막기 위해 면역 억제제를 복용하거나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경우 등에서 면역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질병, 사고, 스트레스 등으로 몸의 면역력이 약해지면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있다."
병태생리적으로는 척수 신경절 염증반응으로 인해 교감신경이 흥분되고, 이로 인한 신경 내 모세혈관 수축으로 신경허혈이 발생하여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교감신경의 흥분으로 인해 환부 국소의 피부 온도가 저하되기도 하고 발한의 이상 항진이 일어나기도 한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post-herpetic neuralgia)이 발생한 경우 피부 반흔의 중심부에는 지각이 없으며, 주변으로 갈수록 감각이 생기지만 정상피부와의 경계 부위에는 접촉의 감각이 통증으로 변하는 이상 감각이 나타난다."
2.3. 대상포진의 증상
대상포진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대상포진은 주로 몸통이나 엉덩이 부위에 생기지만 신경이 있는 부위이면 얼굴, 팔, 다리 등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통증: 통증은 몸의 한쪽 부분에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프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의 통증이 발생한다. 이러한 증상이 1~3일 정도 이어진 후 붉은 발진이 나타나며, 열이나 두통이 발생한다"
피부발진: 침범한 지각신경분포를 따라 띠 모양으로 나타나고 보통 편측성이며 중앙선을 넘지 않는다. 처음에 국소적인 홍반, 종창, 구진이 발생하고 이어서 홍반 위에 군집한 수포가 생기며 약 3일째 수포는 농포로 변하고 7~10일째 가피로 된다. 수포의 일부는 터지지 않고 그대로 마르고 일부는 출혈성 또는 괴사성으로 되며 악성 질환을 앓...
참고 자료
황옥남 외 공저(2019). 제7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이은희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대상포진(건강정보, 전남대학교병원)
https://www.cnuh.com/health/medicine/info.cs?act=view&infoId=602&searchKeyword=&searchCondition=&pageIndex=1
대상포진(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41
대상포진(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06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왕명자 외 공저, 국내 노인간호 연구동향 분석, 2012
윤숙례 외 공저, 노인간호학 제 3판, 정담미디어, 2013
운숙례 저, 노인간호학 실습지침서, 현문사, 2016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제 6판 상권, 현문사, 2015
http://www.shanghaibang.net/shanghai/news.php?code=li0107&mode=view&num=40968&page=1&wr= (대상포진 수포 사진)
http://infobigsea.tistory.com/1 (대상포진 수포 사진)
http://www.cleansu.co.kr/Module/MBoard/MBoard.asp?Page=9&PageSize=10&Key=&Keyword=&Gubun=5&SearchCategory=&Divide=&Srno=29905&PState=View (대상포진 수포 사진)
www.druginfo.co.kr (약 정보)
http://www.kmle.co.kr/ KMLE 의학 검색 엔진
퍼시픽 북스 성인간호학Ⅰ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알기 쉬운 병리학 (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