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체계 주요개념 설명 및 본인 가족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체계이론과 가족개념
1.1. 가족체계이론의 개념 및 주요 개념
1.1.1. 가족 하위체계
1.1.2. 경계
1.1.3. 가족향상성
1.1.4. 가족원의 의사소통
1.1.5. 가족규칙과 가족신화
1.1.6. 가족 삼각관계
1.2. 가족체계이론을 통한 가족 분석
1.3. 가족체계이론의 적용과 의의
2.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서의 가족개념
2.1. 가족의 항상성
2.2. 가족삼각관계
2.3. 가족규칙
2.4. 가족신화
2.5. 가족의식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체계이론과 가족개념
1.1. 가족체계이론의 개념 및 주요 개념
1.1.1. 가족 하위체계
가족 하위체계는 가족체계이론에서 가족을 하나의 전체 체계로 접근할 때 개인은 하나의 하위체계이며, 개인이 가족 내 다른 체계들과 함께 가족의 기능을 분배하고 수행한다는 개념이다.
가족 내에서는 개인 뿐만 아니라 부부 하위체계, 부모 하위체계, 형제 하위체계 등 다양한 하위체계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하위체계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전체 가족체계를 구성한다.
각 하위체계는 더 큰 상위체계의 일부로 존재하며, 자체적으로도 하위체계를 가지고 있다. 가족은 시간, 공간, 물질을 공유하며 세대 간 고유한 문화를 전수하는 집단이기 때문에, 이웃, 친척, 지역사회, 학교, 직장, 국가 등의 상위체계의 일부이자 개인 구성원을 포함한 다양한 하위체계로 이루어진 역동적인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가족 하위체계는 가족 내에서 개인과 다양한 관계 단위들이 상호작용하며 전체 가족체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1.1.2. 경계
경계는 개인, 하위체계, 전 가족 사이를 구분 짓는 보이지 않는 선이다. 경계는 가족과 하위체계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경계는 외부 환경에서 개인, 하위체계, 체계를 구분 짓는 기능을 하며, 개인과 개인, 하위체계와 하위체계 사이에도 존재한다. 경계선은 체계 내부와 외부로의 에너지와 정보의 흐름 정도, 구성원 간 친밀함의 정도, 상호작용과 접촉의 정도에 따라 명확한 경계선, 분리된 경계선, 밀착된 경계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경계는 체계 구성원의 개인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체계 간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1.1.3. 가족향상성
가족향상성이란 가족체계가 일정한 경향을 유지하고자 하는 자동적인 속성을 의미한다. 가족은 구조와 기능에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족향상성은 긍정적인 향상성과 부정적인 향상성으로 구분된다.
긍정적인 가족향상성은 가족이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경향성을 말한다. 가족이 역경을 이겨내고 균형을 유지하려 노력하는 것이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의 유대감과 적응력을 높여 가족체계의 안정성을 도모한다.
반면 부정적인 가족향상성은 역기능적인 가족 패턴을 지속시키려는 경향을 의미한다. 가족이 문제상황에 직면했을 때 그것을 회피하거나 문제를 인정하지 않고 기존의 부적응적인 방식을 고수하려는 경향성이다. 이는 가족 구성원들의 건강한 발달을 저해하고 가족 전체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가족체계이론에서는 가족향상성이 가족의 항상성 유지와 직결되어 있다고 본다. 가족체계가 외부의 변화와 압력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려 하는 것이 향상성의 핵심이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의 소속감과 신뢰감이 형성되고 가족체계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가족향상성은 가족체계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가족의 균형과 항상성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1.4. 가족원의 의사소통
가족원의 의사소통은 가족체계이론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이다. 가족원은 모든 행동이 언어적 또는 비언어...
참고 자료
체계론적 상담 :가계도분석과 가족세우기를 중심으로 / 이남옥, 문용갑, 김지혜 / 상담학연구:사례및실제/ 2016.10
이윤정, 「가족복지론」, 공동체, 2019.
김혜숙,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학지사, 2016.
최광현,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한 위기가족을 위한 목회적 돌봄」, 복음과 상담, 2011.
송정애,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