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취임식 총회 사회보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역사 보고서
1.1. 대한간호협회의 활동
1.2. 제19차 국제간호협의회 총회
1.3. 대한간호정우회의 활동
1.4. 대한간호노인복지재단의 설립과 간호사창업 - 너싱홈
1.5.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설립
1.6. 대한간호학회(한국간호과학회)의 활동
1.7. 참고문헌
2. 지역사회복지협의체
2.1. 서론
2.2. 본론
2.2.1. 기본정보
2.2.2. 주요사업과 활동사항
2.3. 결론
2.4. 참고문헌
3. WTO법의 구성
3.1. WTO체제의 성립 배경
3.2. WTO 체제의 출범
3.3. WTO 설립 과정
3.4. WTO설립 이후의 무역 환경 변화
3.5. WTO법의 구성
3.6.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역사 보고서
1.1. 대한간호협회의 활동
대한간호협회는 1923년에 '조선간호부회'라는 이름으로 처음 만들어지게 되었고 1984년에 대한간호협회로 개칭되었다. 대한간호협회는 1989년에 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전국대회를 포함하여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였다. 특히 전국대회는 간호사들의 활동 증진을 위해 체력을 향상시키고 경제적 지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처음 개최되었다. 당시 60주년 개회식 때는 1972년에 제정되었던 윤리강령을 수정시켜 채택하면서 그동안 대한간호협회를 위해 이바지한 자들에게 공로상과 감사패를 수여하였다. 1993년에 창립 70주년 기념행사로 학술대회가 개최되었는데 당시의 주제는 '간호의 새로운 지평'이었으며 대한간호협회의 70년의 전통과 앞으로의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노력하자는 의미로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었다. 또한 대한간호협회는 간호교육제도의 일원화를 위해 노력하면서 간호교육에도 이바지하였다. 1981년 제48회 정기대의원총회에서 공청회를 개최하며 간호교육 4년제 일원화를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1989년에는 간호교육 일원화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며 4년제 승격 준비단계의 전문대학에게 승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였고 전문대학 간호과의 신설을 억제시키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3년제 졸업생들의 계속교육을 위해 노력하였다. 대한간호협회의 간호교육4년제 일원화를 위한 노력과 활동으로 인해 간호대학들이 4년제로 승격되는 결과를 보이게 되었다.
1.2. 제19차 국제간호협의회 총회
국제간호협의회는 1899년에 창설된 국제 간호사 단체이며 약칭으로는 'ICN'이라고 부르며 각 회원협회가 간호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발전시키기 위한 지원을 하고 있다. 1989년 서울 잠실에서 19대 국제간호협의회 총회가 개최되었는데 총회에서는 '간호로 밝은 미래를그림 1 출처 : 우정사업본부(제19차 국제간호협의회서울총회기념) http://stamp.epost.go.kr/' 이라는 주제로 각국의 대표자들이 서로 회의를 하고, 학술대회를 개최하면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었다. 당시에 김모임 협회회장이 동양인으로는 최초로 21대 국제간호협의회 회장으로 당선되었다. 서울에서 열린 19차 국제간호협의회 총회는 역대 총회 중 조직, 재정, 학술 면에서 가장 성과가 좋은 총회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세계에 한국 간호의 위상을 알렸다. 제 19대 국제간호협의회에서는 당시 잠실에서 총회가 개최된 것을 기념 하고 인류건강증진을 염원하기 위해 우정국에서 제19차 '국제간호협의회 서울총회'기념 우표를 발행하였다. 우표로 알 수 있듯이, 국제간호협의회를 서울에서 열었다는 것은 한국간호를 세계에 알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1.3. 대한간호정우회의 활동
간호계에서 김모임 박사가 1981년 국회의원에 당선되면서 간호계의 정치 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에 대한간호협회에서는 간호계의 정치적 참여와 보건증진정책에 기여하고자 1991년에 대한간호정우회를 창립했다.
대한간호정우회는 간호 정치인을 발굴하고 육성하며, 정치에 참여하면서 간호사의 정치적 의식을 함양시키고 건강증진사업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었다. 1995년 지방자치선거가 실시되면서 대한간호정우회의 활동이 더욱 활발해졌는데, 이를 통해 최영희, 김화중, 정영희, 이애주, 신경림 등 5명의 간호사가 국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었다. 또한 지방의원 배출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아 8명의 간호사 의원이 당선되었다.
특히 1998년에는 간호사로서는 최초로 김모임 박사가 보건복지부장관에 취임하였고, 2003년에는 김화중 박사가 보건복지부장관으로 취임하는 등 대한간호정우회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처음에는 정치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부족했지만, 간호계에서 정치 참여가 다른 보건의료 전문직종 단체에 비해 한걸음 빨랐던 것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간호계 인물들이 대한간호정우회의 지원으로 정치활동에 참여하게 되면서 간호의 위상이 높아지고 정치계에 간호의 중요성을 알리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4. 대한간호노인복지재단의 설립과 간호사창업 - 너싱홈
2000년도에는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핵가족이 증가하면서 독립적으로 생활하기 어려운 노인이 증가하여 노인복지문제가 두드러지고 있었다. 대한간호협회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령화 사회에 보건과 의료, 사회복지를 통틀어 간호의 본질인 돌봄을 실천하기 위해 2004년 1월에 대한간호노인복지재단을 출범하였다. 대한간호노인복지재단에서는 대한간호주간보호센터를 설치하여 처음으로 운영을 시작하였다. 이후에 2007년부터는 대한간호노인요양원을 설립하여 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요양을 필요로 하는 어르신들을 위해 전문적인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간호사중심 사회복지시설들은 요즘 들어 각광 받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 간호사의 독자적 영역확대에 힘입어 간호사의 창업사례가 늘어나면서 간호사 면허증 소지...
참고 자료
김문실. 『간호학개론』. 고문사, 1962.
엄영희. 『간호학개론』. 엘스비어코리아, 2013.
정면숙. 『간호학개론』. 현문사, 1989.
하나선. 『간호철학과 간호역사』. 현문사, 2003.
하영수. 『간호과학개론』. 신광출판사, 1983.
대한간호협회, (2006), “간호의 역사, 잊지 못 할 순간들-1991년 대한간호정우회 창립”, 대한간호 pp.22-23
김명옥(사회복지법인 대한간호복지재단). (2005), “간호사 중심의 전문요양시설이 저비용 고효율 – 주간보호센터, 너싱홈 운영으로 간호영역 확대”, 대한간호 pp.26–27.
인천일보, “새책 – 한줄 읽기”.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798762 (2018-03-22)
보건복지가족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지침과 운영사례』, 2009
김범수,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축이 되는 기관단체에 관한 연구』, 2010
설립협정.국문협정문(2001).외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