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의학용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근골격계 의학용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근골격계 용어와 개요
1.1. 근골격계 구조
1.2. 관절의 분류
1.3. 뼈대근육

2. 정형외과 용어 및 약어
2.1. 용어 및 약어 설명

3. 정형외과 검사 및 간호
3.1. 특수 검사 전후 간호
3.2. RA factor
3.3. MRI
3.4. DEXA
3.5. 관절경검사
3.6. 척추조영술
3.7. 관절천자
3.8. 근전도
3.9. 골 스캔

4. 근골격계 수술 및 간호
4.1. 수술 전 간호
4.2. 수술 후 간호
4.3. 인공관절 치환술 후 간호

5. 근골격계 장치 적용 환자 간호
5.1. 석고붕대 간호
5.2. 견인 환자 간호

6. 정형외과 질환 및 간호
6.1. 외상
6.2. 염증성 장애
6.3. 류마티스 질환
6.4. 퇴행성 질환
6.5. 골대사 장애
6.6. 골종양

7. 주요 정형외과 수술
7.1. 관절성형술
7.2. 관절경 반월상 연골 절제술
7.3. 십자인대 재건술
7.4. 개방적 견봉 성형술 및 회전근개 수복술
7.5. 개방성 수근터널 해리술
7.6. 활액막 절개술
7.7. 고관절 치환술
7.8. 슬관절 전 치환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근골격계 용어와 개요
1.1. 근골격계 구조

근골격계는 우리 몸을 지지하고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매우 중요한 시스템이다. 근골격계는 크게 뼈대계통(skeletal system)과 근육계통(muscular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뼈대계통은 골격(skeleton)이라고도 하며, 뼈(bone)와 연골(cartilage)로 이루어져 있다. 뼈는 평면골(flat bone), 장골(long bone), 단골(short bone), 부정형골(irregular bone) 등 모양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뼈에는 피질골(compact bone)과 해면골(cancellous/spongy bone)이 있으며, 골수(bone marrow)가 존재한다. 연골은 뼈 사이에 위치하여 관절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근육계통은 골격근육(skeletal muscle)을 포함하며, 이 근육들은 뼈와 연결되어 있어 뼈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근육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관절을 움직이는데, 이때 건(tendon)과 인대(ligament)가 관여한다. 건은 근육과 뼈를 연결하고, 인대는 관절을 연결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또한 근골격계에는 윤활막(synovial membrane), 활액(synovial fluid), 관절낭(joint capsule) 등의 구조물이 있어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해준다. 윤활막은 관절 내부를 감싸고 있으며, 활액을 분비하여 관절면을 윤활시킨다. 관절낭은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섬유성 구조물로, 관절의 안정성을 높여준다.

이처럼 근골격계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우리 몸의 기본적인 움직임과 지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2. 관절의 분류

관절의 분류는 관절을 구성하는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관절의 움직임 범위와 안정성에 따라 크게 섬유관절(synarthrosis), 연골관절(synchondrosis), 활액관절(diarthrosis)로 구분할 수 있다"".

섬유관절은 섬유조직으로 연결되어 움직임이 거의 없는 관절로, 두개골 뼈, 치아와 턱뼈, 척추의 관절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연골관절은 연골로 연결되어 있어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한 관절이며, 늑골과 흉골, 척추 사이의 관절 등이 이에 속한다"". 마지막으로 활액관절은 활액으로 윤활작용을 하는 관절로 관절면이 관절낭으로 둘러싸여 있어 상대적으로 많은 운동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활액관절로는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손목관절, 엉덩관절, 무릎관절 등이 있다"".

활액관절은 관절면의 형태에 따라 다시 구 관절(ball-and-socket joint), 경첩관절(hinge joint), 활차관절(pulley joint), 선형관절(gliding joint), 안장관절(saddle joint) 등으로 세분화된다"". 구 관절은 관절면이 구형으로 되어 있어 회전운동과 굴곡, 신전, 외전, 내전 등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데 엉덩관절과 어깨관절이 대표적이다"". 경첩관절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굴곡과 신전 운동만 가능한 관절로 팔꿈치관절과 발목관절이 해당된다"". 활차관절은 오목면과 돌출면이 맞물려 있어 굴곡과 신전 운동만 가능한 관절이며 무릎관절에서 볼 수 있다"". 선형관절은 평평한 관절면을 가지고 있어 활주운동이 가능한 관절로 손목관절과 족관절이 이에 속한다"". 마지막으로 안장관절은 관절면이 안장 형태를 하고 있어 각운동과 활주운동이 가능한데 엄지손가락 관절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관절은 각자의 특성에 따라 해당 신체 부위에서 다양한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인체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필수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


1.3. 뼈대근육

뼈대근육은 신체의 움직임과 지지 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뼈와 근육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상호작용하며, 골격근은 뼈에 부착되어 관절의 움직임을 실현시킨다.

골격근은 횡문근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골격에 부착되어 작용하는 수축성 조직이다. 골격근은 신체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자세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골격근은 힘줄을 통해 뼈에 부착되어 있으며, 수축과 이완 작용을 통해 관절을 움직이게 한다.

골격근은 크게 신체 부위에 따라 사지근육과 체간근육으로 구분된다. 사지근육에는 상지근육과 하지근육이 포함되며, 체간근육에는 척추근육과 복부근육이 포함된다. 이러한 골격근들은 각자의 고유한 기능과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지근육은 어깨, 팔, 손에 분포하며 상지의 움직임을 담당한다. 상지근육에는 삼각근, 이두박근, 삼두박근, 손목 굴곡근, 손목 신전근 등이 포함된다. 상지근육은 팔과 손의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여 일상생활 수행과 작업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근육은 엉덩이, 허벅지, 다리, 발에 분포하며 하지의 움직임을 담당한다. 하지근육에는 대퇴사두근, 햄스트링근, 장요근, 비복근, 전경골근 등이 포함된다. 하지근육은 보행, 달리기, 점프 등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이동과 자세 유지에 필수적이다.

체간근육은 척추와 복부에 분포하며 체간의 움직임과 자세 유지를 담당한다. 척추근육에는 척추 신전근, 척추 굴곡근, 척추 회전근 등이 포함되며, 복부근육에는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횡복근 등이 포함된다. 체간근육은 척추와 몸통의 안정성을 제공하고, 상지와 하지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뼈대근육은 신체 각 부위의 움직임과 자세 유지에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그 기능과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다. 이러한 뼈대근육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이해는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 재활 등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2. 정형외과 용어 및 약어
2.1. 용어 및 약어 설명

정형외과 용어 및 약어 설명은 다음과 같다.

A/K는 무릎 위를 의미하는 약어이다. ACL은 전방십자인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ASO는 폐쇄성 동맥경화증을 의미하며, AVN은 무혈성 괴사증을 나타낸다. B/KA는 슬관절 하부절단을 뜻하고, B/G는 뼈 이식을 의미한다. BMD는 골밀도를, C/R은 폐쇄정복을 나타낸다. CDH는 선천성 고관절 탈구를 나타내며, CPM은 지속적 수동운동을 의미한다. CTS는 수근터널증후군을 뜻한다. D/L은 탈구를, DA는 퇴행성 관절염을 나타낸다. DTR은 심부건반사를 의미하며, E/F는 외부고정장치를 뜻한다. EMG는 근전도를, Fx는 골절을 나타낸다. HIVD는 추간원판탈출을, HNP는 추간판 탈출증을 의미한다. I/F는 내부고정을, LCL은 측부외측십자인대를 나타낸다. MDS는 골수형성이상증후군을, O/R은 개방정복을 의미한다. OA는 골관절염을, OM은 골수염을 뜻한다. ORIF는 개방정복 내부고정을, OS는 정형외과 수술을 나타낸다. OT는 작업치료를, PCL은 후방십자인대를 의미한다. PLIF는 후방요추간 융합술을, PT는 물리치료를 뜻한다. RA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RC는 회선건판을 나타낸다. ROM은 운동범위를, THR은 고관절 전치술을 의미한다. TKA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TKR은 슬관절 전치술을 나타낸다. TLSO는 흉, 요, 천추 보조기를 뜻한다.


3. 정형외과 검사 및 간호
3.1. 특수 검사 전후 간호

정형외과 검사 및 간호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류마티스 인자 검사(RA factor)는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홍반성루프스(SLE), 쇼그렌 증후군 등의 진단에 활용된다. 검사 전에는 관절운동범위와 근육강화(등척성)운동을 시행하고 관절의 과도한 긴장은 금지한다. 관절을 보호하기 위해 크고 작은 근육을 사용하도록 하며, 급성기에는 절대안정으로 관절의 휴식과 보호를 격려한다. 석고부목으로 관절을 고정하고 물리치료로 동통 완화를 돕는다.

MRI 검사 시 대상자 몸의 모든 금속성 물질을 제거하고 폐쇄공포증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이완요법을 알려준다. 또한 검사 도중 검사자와 이야기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DEXA 검사는 골다공증 진단과 치료효과 관찰에 이용되며, 조영제 사용이나 과식 등이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검사 후 골다공증에 대한 교육과 필요시 약물 처방이 이루어진다.

관절경 검사는 무릎관절에 흔히 사용되며 수술실에서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국소마취하에서 진행되며 검사 전 대상자와 가족에게 검사 절차를 설명하고 전날 밤 12시부터 금식하도록 한다. 검사 후에는 감염 징후에 주의를 기울이고 적절한 진통제를 투여한다.

척추조영술은 요추천자를 통해 척수의 거미막하강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척추 부위를 X-선이나 CT로 촬영하는 방법으로, 과거에는 널리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MRI로 대부분 대체되고 있다. 검사 전 수분 섭취를 늘리고 조영제 주입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검사 후에는 오심, 구토, 두통, 발작 예방을 위해 일정 시간 동안 머리를 높게 하고 편평하게 눕힌다.

관절천자는 관절강 내 바늘 삽입을 통해 활액, 혈액, 농을 배출하는 방법으로 진단과 통증경감 목적으로 사용된다. 검사 후에는 압박 붕대를 적용하고 관절을 부동시킨다.

근전도 검사는 근력약화나 보행장애 등의 신경계 질환 진단에 유용하다. 검사 전 환자와 가족에게 검사 과정을 설명하고 근이완제나 안정제 복용 여부를 확인한다.

골 스캔은 뼈에 흡수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악성 암, 골수염, 골다공증, 병리적 골절 등을 진단하며 검사 전 동위원소 주입 시 불편감이 있음을 알리고, 검사 중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검사 후 방사성 동위원소 배출을 돕기 위해 다량의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정형외과 검사 및 간호에서는 각종 특수검사의 목적, 방법, 전후 간호중재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다. 검사 전에는 대상자 교육과 준비, 검사 중에는 검사 방법과 주의사항, 검사 후에는 합병증 예방과 회복을 위한 간호중재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형외과 환자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검사 수행과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검사의 목적과 원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련 질환 진단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3.2. RA factor

류마티스 인자 검사(RA factor)는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홍반성루프스(SLE), 쇼그렌 증후군 등의 진단과 관련된 검사이다. 이 검사는 혈액에서 류마티스 인자를 측정하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류마티스 인자는 면역글로불린(IgM) 항체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약 80%에서 양성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양성 결과가 나타난다고 해서 반...


참고 자료

기본간호학 Ⅰ (양선희 외 공저), 2017 현문사
기본간호학 Ⅱ (양선희 외 공저), 2017 현문사
기본간호수기 (양선희 외 공저), 2017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권/하권 (황옥남 외 공저), 2018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