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화 기생충의 사회적 배경과 의미
1.1. 벌레로 표현되는 한국 사회의 인간 혐오 현상
최근 인터넷 속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어 중 하나는 '~충'이다. 급식충, 맘충, 감성충 등 현 우리 사회는 인간 혐오의 정서가 팽배해 있다. 서로 다른 집단들 사이의 갈등이 끊임없이 벌어지며, 심지어 외집단을 혐오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하나의 유머코드로까지 자리 잡고 있다. 탕수육에 소스를 부어 먹는 사람은 부먹충, 찍어 먹는 사람은 찍먹충이라고 지칭하는 것이 그 예이다. 지금의 한국 사회는 인간 혐오의 극단에서 서로를 벌레로 취급하는 것이 너무나도 일상적인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영화 <기생충>은 진짜 벌레와도 같은 삶을 사는 인물들에 대해 묘사한다. 서로 다른 집단인 동익의 가족 (동익, 연교, 다혜, 다송)과 기택의 가족(기택, 충숙, 기정, 기우), 그리고 숨겨진 인물인 문숙 부부 (문광, 근세)는 서로 다른 욕망을 가지고 갈등한다. 이들의 모습은 현대인들이 인터넷 속에서 서로를 벌레로 지칭하며 헐뜯는 모습과 매우 흡사하다.
1.2. 기생충의 서사와 등장인물
기생충의 서사와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은 총 세 가족이 등장한다. 주인공이 되는 기택(송강호)네의 가족, 박사장(동익)의 가족, 문숙 부부가 주요 인물들이다. 구성원 전원이 백수인 기택(송강호)네의 두 자녀, 기우(최우식)와 기정(박소담)은 어느 날 IT 기업 CEO 박사장(이선균)네서 고액 과외교습을 시작한다. 이를 기점으로 온 가족이 동익의 집에 위장취업을 하게 되며 본격적인 기생 생활이 시작된다.
영화는 부유한 대저택을 주 무대 삼아 계단을 오르내리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삽입하는데, 이 상하운동의 리듬감이 예측할 수 없이 고조되었다가 일순 와르르 추락하면서 충격을 안긴다. 이는 두 가정의 비교, 대조에 가장 큰 주제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택 가족은 가난한 서민 계층의 생활을 하며 생존을 위해 기생하고, 박 사장(동익)네 가족은 부유한 상류층의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이 두 가족의 대비가 영화의 핵심 서사를 이루고 있다"라고 할 수 있다.
1.3. 영화 속 계층 간 갈등과 대비
영화 속 계층 간 갈등과 대비는 영화 <기생충>의 핵심 주제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영화는 극명한 계층 간 격차를 통해 한국 사회의 문제를 고발하고 있다.
먼저, 영화는 상류층 박 사장 가족과 하류층 기택 가족을 대비하여 선보인다. 박 사장 일가는 고급스러운 저택에서 여유롭게 생활하는 반면, 기택 가족은 반지하 집에서 모두가 구직 중인 일종의 "백수" 상태이다. 이는 한국 사회에 만연한 양극화 현상을 극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