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중영화의 이해: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과 프랑스 누벨바그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자전거 도둑'
1.1. 서론
1.2. 본론
1.2.1.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1.2.2. 영화 '자전거 도둑'의 내용
1.2.3. 영화 '자전거 도둑'의 영화사적 의미
1.2.3.1. 사회문제
1.2.3.2. 시대상
1.2.3.3. 비판적 시선
1.2.3.4. 진실성
1.2.3.5. 로케이션 촬영
1.2.3.6. 다큐멘터리의 객관성
1.2.4. 개인적인 평가
1.2.5. 시사점
1.3. 결론
1.4. 참고문헌
2. 프리 시네마
2.1. 프리 시네마의 등장과 정의
2.2. 프리 시네마의 특징
2.2.1. 기존 영국 다큐멘터리 학파의 선정 영화 스타일을 거부
2.2.2. 영국 영화 산업의 독점 행위를 비난
2.2.3. 노동 계급에 중점을 둔 주제
2.3. 프리 시네마의 대표 감독
2.3.1. 린제이 앤더슨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 '자전거 도둑'
1.1. 서론
이탈리아의 네오리얼리즘 영화는 제 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 탄생했으며 반파시즘 운동의 산물이다. 영화 '자전거 도둑'은 이탈리아 사람들이 전쟁에서 겪은 고통과 어려움, 사회의 불공평을 기록한다. 영화 '자전거 도둑'은 2차 세계 대전 전후의 사회적 현실을 그대로 드러낸다. 이렇게 2차 대전 전후의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는 나치의 횡포 속에서 전쟁의 폐해로 인한 가난과 실업문제를 안고 있는 이탈리아 사회의 현실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문제들은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양식적 특징으로 전이되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대중영화의 이해에 등장하는 영화들 중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에 속하는 영화 한 편을 보고, 그 영화의 영화사적 의미와 그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를 구체적으로 기술해 보겠다.
1.2. 본론
1.2.1.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본격적인 개화는 군사적인 패배로 인해 파시즘이 와해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이 운동의 씨앗만큼은 영화는 물론 문화전반에 걸쳐 이미 오래 전부터 싹트고 있었다. 네오리얼리즘의 시초를 들자면 문학의 경우 조반니 베르가(Giovanni Verga)의 '베리스모(진실주의)'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영화는 니노 마르토글리오(Nino Martoglio)의 1914년 작 (Sperduti nel Buio)을 네오리얼리즘의 전신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탈리아의 베리스모는 프랑스 문학의 주된 흐름인 자연주의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지만, 그것을 단순히 모방하지 않았다. 자연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을 이탈리아의 특수한 역사적, 문화적 상황에 맞춰 변형해낸 것이 바로 베리스모였다. 이러한 베리스모의 특징은 이탈리아 사회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나타난 네오리얼리즘 영화에 영향을 주었다.
네오리얼리즘 영화는 1945년부터 1954년경까지 약 10년 동안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일련의 영화들을 일컫는다. 이 일련의 영화들은 전후 이탈리아의비참한 현실을 그대로 담아냈고, 스타 배우보다는 비전문배우를 기용했으며, 세트 촬영보다는 로케이션 촬영을 선호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네오리얼리즘 영화 이전의 이탈리아 영화에서는 파시스트 정권의 비호아래 할리우드와 비슷한 스타일을 지닌 스타가 나오는 영화가 제작되었는데, 이러한 영화들은 '백색전화기 영화'(White telephone films)라 불리며, 파시스트 정권하의 영화들을 대표하는 도피주의적 영화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무솔리니 정권이 물러나고, 새로운 정권하에서 영화산업의 발전을 위한 검열의 완화로 이탈리아영화는 현실 도피적인 백색전화기 영화에서 이데올로기에서 조금이나마 자유로운 네오리얼리즘 영화로의 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파시스트 하에서 억눌렸던 이탈리아 감독들은 자유로운 의식을 회복하며 네오리얼리즘 영화를 만들어냈다. 이들 영화는 전쟁의 공포를 고발했으며 가난, 실업, 주택 부족, 사회적 반목과 같이 재건의 원동력에서 중심을 이루는 주제를 다루었다.
1.2.2. 영화 '자전거 도둑'의 내용
영화 '자전거 도둑'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안토니오(람베르토 마지오라니)는 오랫동안 실업자였지만, 우연히 직업소개소를 통해 벽보를 붙이는 일거리를 얻는다. 그러나 이 일을 하기 위해서는 자전거가 필요했다. 생활고 때문에 전당포에 맡겨진 자전거를 되찾기 위해 안토니오의 아내는 침대 시트를 전당포에 맡긴다. 안토니오는 첫날 벽보를 붙이다가 한 사내에게 자전거를 훔치당한다. 안토니오와 아들 브루노(엔조 스타이오라)는 자전거를 되찾기 위해 로마 거리를 배회한다. 마침내 도둑을 잡지만 그는 간질병 환자이고 안토니오의 자전거는 없었다. 절망감에 빠진 안토니오는 결국 다른 사람의 자전거를 훔치게 된다. 그러나 안토니오는 그 자리에서 잡혀 온갖 멸시와 모욕을 받다가 풀려난다. 해지는 로마 거리를 안토니오와 아들은 좌절감을 안고 걸어간다.
1.2.3. 영화 '자전거 도둑'의 영화사적 의미
1.2.3.1. 사회문제
영화 '자전거 도둑'은 전후 이탈리아 사회의 심각한 실업과 빈곤 문제를 보여준다. 영화 속 주인공 안토니오의 실업과 경제적 어려움은 당시 이탈리아 사회에 만연했던 대표적인 문제였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의 경제 인프라와 사회 구조가 큰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다. 도시와 농지가 파괴되어 농업 생산량이 감소했고, 이에 따라 도시의 노동...
참고 자료
장일·김예란(2024). 대중영화의이해, KNOU PRESS.
앙드레 바쟁, 박상규 역,『영화란 무엇인가?』,서울:사문난적,2013.
로랑스 스키파노, 이주현 옮김, 『이탈리아 영화사』, 동문선, 2001.
허인, 『이탈리아 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5.
진승현, “리얼리즘 미학에 나타난 미장센의 내적 의미 연구 – 홍상수영화의 일상과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5권제2호, 2015.2
송영애,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등장과 쇠퇴 배경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현대영화연구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