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 논문 학술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생아 저체온치료 관련 간호 활동
1.1. 신생아 저체온치료 개요
1.2. 저체온치료 방법에 따른 간호 활동 빈도 차이
1.3. 저체온치료 방법에 따른 간호 시간 차이
1.4. 저체온치료 방법에 따른 간호중재 중요도 차이
2. 아토피 피부염의 간호 관리
2.1. 아토피 피부염의 개요 및 특성
2.2. 아토피 피부염 환자 관리에서 간호사의 역할
2.3. 아토피 피부염 환자 치료 및 관리 방법
2.4. 아토피 피부염 환자 교육 및 상담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생아 저체온치료 관련 간호 활동
1.1. 신생아 저체온치료 개요
신생아 저체온치료는 신생아기 뇌병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체온치료는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HIE)을 겪은 신생아의 사망률과 장애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생아 저체온치료는 전신 저체온치료와 선택적 두부 저체온치료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신 저체온치료는 신생아 전체의 체온을 낮추는 방식이며, 선택적 두부 저체온치료는 신생아의 머리 부분만 체온을 낮추는 방식이다. 저체온치료는 신생아의 심부체온을 목표범위(33-34°C)로 유지하여 관류 장애와 저산소-허혈성 뇌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간호사는 신생아의 생리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목표 체온 범위를 유지하기 위한 간호중재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신생아 저체온치료에 대한 간호사의 이해와 전문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저체온치료 방법에 따른 간호 활동 빈도 차이
저체온치료를 받는 신생아의 간호 활동 빈도는 저체온치료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전신 저체온치료와 선택적 두부 저체온치료를 받는 신생아의 간호 활동 빈도를 비교한 결과, 선택적 두부 저체온치료를 받는 신생아에게서 보육기 사용 간호 활동이 4.3배 더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저체온치료 유지를 위한 간호활동 빈도도 선택적 두부 저체온치료에서 4.8개 더 많이 나타났다. 이는 선택적 두부 저체온치료 시 간호사가 신생아의 저체온치료 목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체온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보육기 온도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조절하며, 두부에 적용한 기구도 지...
참고 자료
Harmieke van Os-Medendorp 외 8명, The role of the nurse in the care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BMC Nursing, Vol.19 No.10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