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습목적에따른한국어교재를하나선정하고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특수 목적 한국어 교재 분석
1.1. 특수 목적 언어교육의 유형
1.2. 결혼 이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1.2.1. 교재의 선정 및 특징
1.2.2. 교재의 장점과 단점
2. 한국어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2.1. 교재 분석과 평가의 필요성
2.2.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2.2.1. 교수학습 상황 분석
2.2.2. 외적구성 평가
2.2.3. 내적구성 평가
3. 세종 한국어 2 교재 분석
3.1. 외적 특징
3.2. 내적 특징
3.3. 교재의 장단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특수 목적 한국어 교재 분석
1.1. 특수 목적 언어교육의 유형
특수 목적 언어교육의 유형이란 특화된 영역에서의 수요를 위한 언어교육을 의미한다. 이는 전통적인 일반 목적의 언어교육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비즈니스 목적의 언어교육이다. 이는 사업 및 직업적 목적에서 언어를 습득하고자 하는 경우로, 예를 들어 호텔이나 요식업, 뷰티/미용업 등 언어를 주로 사용하는 접객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실무 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둘째, 생활 적응 목적의 언어교육이다. 이는 이주 또는 이민 후 새로운 사회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해 일상생활 의사소통 중심으로 언어를 습득하고자 하는 경우로, 결혼 이주민들이 한국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한국어를 먼저 배워 한국 생활에 적응하고자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셋째, 학문 목적의 언어교육이다. 이는 언어 자체를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보고, 학문적인 연구와 지식의 제고를 위해 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로, 한국어학 전공자들이 그 세부 학문들에 대해 학습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넷째, 관광 목적의 언어교육이다. 이는 여행이나 관광을 목적으로 언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로, 한국 방문 시 부딪치게 되는 교통, 식사 등 여러 상황에 집중하여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 외에도 선교 목적의 언어교육, 취업 목적의 언어교육 등 다양한 유형의 특수 목적 언어교육이 존재한다.
1.2. 결혼 이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1.2.1. 교재의 선정 및 특징
한국이민재단의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1」교재는 한국에 막 이주하여 한국어를 기초부터 학습해야 하는 초급 학습자들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 교재는 학습자가 새롭게 소속된 지역 사회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일상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여러 예문을 포함하고 있다. 1장부터 19장까지 인사, 텔레비전, 열쇠, 과일, 취미, 물건 구매, 저녁 식사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예문이 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초급 학습자가 실생활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표현을 익힐 수 있다"는 점이 이 교재의 특징이다.
1.2.2. 교재의 장점과 단점
해당 교재의 장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생활에서 당장 마주하게 되는 여러 가지 상황 – 자기 소개, 물건 구매 등의 상황을 제시하여 의사 소통을 연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즉 언어의 실제성 내지 실질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수 목적을 가진 학습자의 의도를 고려하여 그러한 학습자가 실제 생활에서의 의사소통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예문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 이 교재의 장점이라고 생각된다. 언어의 실제성을 갖추지 못한 교재의 경우에는 특수목적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목적을 단기간에 성취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며, 특히 이민자의 경우에는 실용적인 목적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그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학습자는 한국 사회에 정착을 희망하고 있는 이민자이므로, ...
참고 자료
이란, 특수목적 한국어교육의 범위와 유형에 관한 연구-선교목적 한국어교육에서 대상자에 따른 유형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이미향(외), 이민자를 위한 특수 목적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분석 연구-상담의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어문논총, 2018
이정희,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초급1, 한국이민재단, 2015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개론 교안
한울 사이버 평생 교육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교안
서울대학교 한국어 문학 연구소, 국어교육연구소, 언어교육원 공편.‘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체’.p.471-510
국립국어원, ‘세종 한국어 2’,2021.01.07
국립국어원 편집부(2019),「세종한국어 2」,국립국어원
박영순(2004),「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도서출판 월인
이미지(2024),「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 – 한국어 교재 분석과 평가(Ⅰ,Ⅱ)」, 진흥원격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