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내담자의 기본정보
1.1. 신상정보
내담자의 신상정보는 다음과 같다.
고OO는 2학년 고등학생이며, 보건실 도우미로 활동하고 있다. 내담자는 코로나로 인해 가정환경이 변화하면서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에 대한 파악이 부족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내담자는 친구들과 관계가 좋은 편이지만, 반의 분위기에 따라 자신이 압도되는 느낌을 받는다고 한다. 가족관계에 있어서는 부모님과 사이가 좋으며, 첫째로서 집안일을 잘 도와준다. 내담자는 청소를 하면 스트레스가 풀린다고 말한다.
1.2. 주 호소 문제
학생은 진로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데, "코로나 여파로 아버지의 임금이 줄어들고, 어머님이 공공근로를 하는 중"이어서 "가정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혼란스러워하는 모습"이다. 또한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에 대한 파악이 부족하고, 코로나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어떻게 미래를 준비할지 고민"스러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려운 가정환경 속에서 자신의 진로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1.3. 상담의 맥락
상담의 맥락이란 상담 과정이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환경과 맥락을 의미한다. 제공된 문서에 따르면, 상담의 맥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 장소는 ○○대학교 학생상담센터이다. 학교 내 상담 센터에서 진로상담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상담 기간 및 시간은 2018년 06월 26일 ~ 07월 10일(총 3회기/ 회기당 60분)이다. 총 3회기에 걸쳐 1시간씩 상담이 진행되었다.
셋째, 내방 경위는 상담자의 권유로 진로 상담에 참여했다. 내담자가 자발적으로 방문한 것이 아니라 상담자의 권유로 상담에 참여하게 되었다.
넷째, 이전 상담 경험은 없다. 내담자는 처음으로 진로 상담을 받게 되었다.
이처럼 상담의 장소, 시간, 내방 경위, 이전 상담 경험 등이 상담의 전반적인 맥락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상담 맥락은 내담자와의 라포 형성, 상담 구조화, 개입 전략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4. 인상 및 행동관찰
통통한 체격에 안경을 쓰고, 머리를 단정하게 묶은 내담자는 교복을 줄이지 않고 단정하게 입으며 보건실 도우미로 활동하고 있어 자발적인 태도를 보인다""
시험을 볼 때면 성적에 대해서 걱정하는 모습이 보이며, 보건교사를 어떻게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이것저것 물어보는 등 관심과 열정을 보인다"".
1.5. 가족관계
내담자의 가족관계를 살펴보면, 내담자는 아버지, 어머니와의 관계가 좋고 가정이 화목한 편이다. 내담자는 부모님과 오랜 시간 대화를 나누며 부모님에게 의지하는 편이다. 또한 외할머니와 함께 살았던 경험이 있으며, 작은 아버지들과 이모들에게서도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받아왔다. 내담자는 아기 때부터 부모님께서 직업을 가지고 계셔 외할머니께서 돌보아 주셨다. 이후 초등학교 저학년 때까지 외할머니와 함께 살았다. 내담자의 가족들은 대체로 화목하며, 내담자에게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 편이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가족 내에서 받은 애정과 보살핌이 내담자의 성격과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2. 내담자 문제의 개념화
2.1. 심리검사 결과
2.1.1. 다중지능검사
다중지능검사는 인간의 지능을 다양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검사이다. 다중지능검사에 따르면 내담자의 강점지능은 자기성찰지능(68점), 인간친화지능(61점), 신체운동지능(61점)으로 나타났으며, 약점지능은 음악지능(0점), 공간지능(32점), 언어지능(39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 성찰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타인과 관계 맺는 능력과 신체적 활동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음악적 감수성, 공간지각력, 언어구사력 등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다중지능검사 결과는 내담자의 진로 적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진로 상담 및 진로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2.1.2. 성격 검사
내담자는 네오(NEO) 성격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내향성(E) 39.9, 개방성(O) 60.8, 친화성(A) 44.0, 성실성(C) 26.8, 신경증(N) 62.8로 나타났다.
내담자의 성격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향성(E) 지표가 낮게 나타나 내향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내담자가 자기주장을 잘하지 않으며 사회적 상호작용보다는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개방성(O)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