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인관계 심리학 사회적 행동 사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대인관계 내에서의 사회적 행동
1.2. 타인의 영향에 따른 행동 양상
2. 동조
2.1. 동조의 정의
2.2. 동조의 원인
2.3. 동조의 사례
3. 순종
3.1. 순종의 정의
3.2. 순종의 특징
3.3. 순종의 사례
4. 복종
4.1. 복종의 정의
4.2. 복종의 특징
4.3. 복종의 사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대인관계 내에서의 사회적 행동
인간은 고유한 기질을 가지고 태어나 각기 다른 성격을 가진 자주적인 독립체이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것 처럼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 사람들과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곳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집단을 꾸리고 정서적인 사회적 관계를 맺기 위해 타인과 소통을 하며 살아간다. 그 과정에서 개인의 특성이나 주변의 상황에 따라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행동에 동조를 한다거나 혹은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가치관을 수용하여 순종하거나 다른 사람들의 명령에 복종하기도 한다. 사람들이 모인 집단에서는 눈에 보이진 않지만 강력한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집단 안에서 사회적 존재라는 사실은 주변인들의 시선과 행동에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1.2. 타인의 영향에 따른 행동 양상
타인의 영향에 따른 행동 양상은 크게 동조, 순종, 복종 등으로 나타난다"" 동조는 집단 내에서의 무의식적이고 자발적인 순응을 말한다"" 집단의 압력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더라도, 개인이 그 압력을 느끼기만 해도 동조가 일어난다"" 집단이 만장일치이거나 동질적이고 응집성이 클 경우 또는 자존감이 낮은 사람일 경우 동조가 잘 일어난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 권고를 따르는 현상은 집단적 동조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순종은 자신이 원하지 않더라도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는 타인의 요구나 압력에 따라 요청을 들어주는 행동을 말한다"" 순종은 특정 만족이나 내용에 대한 믿음이 아니라, 특정한 보상을 얻기를 바라거나 자신과의 반대 의견이나 벌을 회피하기 위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데이트 폭력의 경우 상대방을 통제하려는 가해자의 압력에 의해 피해자가 순종하는 행동을 보인다""
복종은 권위자의 명령에 따르는 행동을 말한다"" 복종은 명령하는 사람과 따르는 사람 사이의 역학관계가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복종은 책임의 소재를 명령을 내린 권력자에게 전가할 수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밀...
참고 자료
ㅇㅇㅇ, 대인관계심리학 교안 pp57-62
네이버, 위키백과, 동조, 순종, 복종 정의
이광자, 2002, 현대사회심리학, 아세아문화사
한규석, 2017, 사회심리학의 여행, 학지사.
정태연 외10명, 2016, 사회심리학, 학지사.
이영화, 2013,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20.7.8). [코로나19] 마스크 착용의 사회심리학 - 사람들이 마스크를 착용하는 이유. URL : https://hrcopinion.co.kr/archives/15994
함상우 & 이태식 (2015).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일시, 내면화, 순종의 조절효과. 기업경영연구, 22(1), 133-154.
Smith, M. J. (1982). Persuasion and human action : A review and critique of social influence theories. Belmont, CA: Wadsw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