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진단: 폭력위험성(Risk for Other-directed Violence)
1.1. 간호사정
1.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사람들은 모두 죄인이라고 해요.", "죄인은 죽음으로 죗값을 치러야 합니다.", "다 죽어야 합니다."라고 말하며 사람들을 죄인이라 여기고 죽여야 한다는 망상적인 사고를 표현하고 있다"" 이는 피해망상과 과대망상이 동반된 증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소리가 들려서, 나도 모르게 듣고 있어요.", "계시가 내려올 때, 제가 심판을 해야합니다."라고 말하며 환청과 신성화된 사명감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정신병적 증상인 환청과 망상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1.2. 객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는 조현병(schizophrenia) 진단을 받았다. 종종 제자리에서 원을 그리거나 앞뒤로 끊임없이 걸어다니고 숨소리가 커지며 손톱을 물어뜯는 등 불안정, 초조한 행동 양상을 보였다. 둘째, 중얼중얼 속삭이듯 혼자 말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중간중간 욕설이 섞여 있었다. 셋째, 자세가 경직되어 있고, 주먹을 꽉 쥐었다 폈다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넷째, 입원 전 조용하다가도 집안에서 칼을 들고 돌아다니거나 가족에게 욕설을 하고 '다 죽어야 한다'는 등 위협적인 말을 자주 했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이 웃으면서 대화할 때 본인을 비웃는다고 생각하여 위협적으로 노려보고 욕설했다. 다섯째, 약물 치료를 거부하면서 흥분하며 물건을 부수거나 던지고, 공격적인 언어와 행동을 자주 보여 비자발적 입원(강제 입원)되었다. 여섯째, 최근 면담 기록 중 대상자가 본인이 사람들에게 벌을 주는 '심판 집행자'라고 믿는 망상을 갖고 있으며, 환청의 내용에 '지시'가 있다고 했다.
1.2. 간호진단
간호진단은 "망상적 사고, 환청과 관련된 폭력위험성(Risk for Other-directed Violence)"이다. 이는 NANDA 정의에 따르면 "타인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으로 상해를 입힐 수 있는 행위의 위험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상자는 조현병(schizophrenia) 진단을 받았으며, 때때로 제자리에서 원을 그리거나 앞뒤로 걸어다니며 숨소리가 커지고 손톱을 물어뜯는 등의 불안정하고 초조한 행동 양상을 보였다. 또한 중얼거리며 혼자 말하는 모습이 관찰되었고, 그 내용에는 욕설이 섞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자세가 경직되어 있고 주먹을 꽉 쥐었다 폈다 하는 등의 긴장된 모습을 보였으며, 입원 전에는 칼을 들고 돌아다니거나 가족에게 폭언을 하는 등 위협적인 행동을 보였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이 웃으면 자신을 비웃는다고 생각하여 공격적으로 대응하고, 약물 치료를 거부하면서 물건을 부수거나 던지는 등 공격적인 언행을 보였다. 최근 면담기록에 따르면 대상자가 자신을 '심판 집행자'라고 믿는 망상이 있었고, 환청의 내용에 '지시'가 있다고 하였다.
이를 종합해볼 때, 대상자는 망상적 사고와 환청으로 인해 타인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으로 상해를 입힐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망상적 사고, 환청과 관련된 폭력위험성"이 간호진단으로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1.3. 간호목표
1.3.1. 단기목표
단기목표는 3일 안에 대상자가 욕설 섞인 혼잣말을 하지 않고, 4일 안에 대상자의 행동이 차분하고 안정되어 있으며, 5일 안에 대상자가 1가지 이상 현실에 근거한 언어적 표현을 하고 환청의 횟수가 감소했다는 언어적 표현을 하며, 7일 동안 대상자가 타인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다"간호사는 이를 위해 3일간 15분마다 대상자의 언어적 표현과 행동양상을 관찰하고, 불안감 및 불안정한 정서 상태를 사정하며, 환청의 양상과 내용을 파악하고 있다. 또한 대상자가 3일 내 욕설을 하지 않고, 행동이 차분해지며, 현실에 근거한 언어적 표현과 환청 감소를 보이도록 노력하고 있다. 특히 대상자가 7일 동안 타인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하지 않도록 관찰과 중재를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불안정한 정신 증상과 폭력성을 사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3.2. 장기목표
장기목표 ① 입원기간동안 대상자는 타인에게 폭력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다.
조현병 환자의 경우 망상, 환청 등의 정신병적 증상으로 인해 자신이나 타인에게 폭력적 행동을 할 위험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간호사가 대상자의 언어적, 행동적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대상자의 망상, 환청 등 정신병적 증상을 사정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며, 환자에게 차분하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항정신병 약물 투여, 신체적 활동 격려 등 치료적 중재를 실시하여 증상 완화와 함께 폭력 행동을 예방한다.
교육적으로는 대상자에게 폭력이 용인되지 않음을 명확히 전달하고, 감정 조절 및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갖도록 지도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스스로 폭력을 억제하고 타인에게 해를 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장기목표이다.
이와 같은 총체적인 간호중재를 통해 조현병 환자의 폭력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타인과 자신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1.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1.4.1. 진단적 계획
진단적 계획에는 대상자의 폭력 위험성을 신중하게 사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첫째, 자주 순회하며(15분마다) 대상자의 언어적 표현, 행동 양상을 관찰하고 특히 폭력적인 징후에 유의한다"" 이는 폭력적 징후가 있을 때 적절한 중재가 즉시 제공될 수 있고 항상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면밀한 관찰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대상자가 불안, 흥분, 초조, 긴장 등 불안정한 감정 상태인지 사정한다"" 이는 증가한 불안, 흥분, 동요 등의 불안정한 감정 상태에서 공격적이거나 폭력적인 행동으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대상자의 폭력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이 있는지 사정한다"" 이를 통해 폭력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절한 중재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환청 증상의 유무와 환청의 양상, 횟수를 사정하며 환청에 대상자에게 지시하는 내용이 있다면 어떤 내용인지 정확하게 확인한다"" 조현병 대상자에게 환각과 같은 양성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급성기에 폭력 위험성이 더욱 증가하며, 특히 환청에 지시하는 내용이 있다면 대상자가 이를 따라 폭력이 행동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대상자의 망상 증상, 망상적 사고의 내용에 대해 사정한다"" 망상은 양성 정신병적 증상으로 조현병 대상자의 폭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며, 특히 병식이 없고 피해망상이 있는 경우 공격성, 적대적 태도 및 폭력적 행동 가능성이 더욱 증가하기 때문이다""
1.4.2. 치료적 계획
치료적 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