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0세 관찰일지
1.1. 일상생활
1.1.1. 식사 습관
만0세 아동들의 식사 습관은 다음과 같다.
영유아들은 자신의 불편함이나 욕구를 언어로 표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주로 행동으로 표현한다. 관찰에 따르면 만0세 영아들은 음식을 먹기 싫으면 고개를 돌리거나 뱉어내는 등의 방식으로 거부감을 표현한다. 반면 좋아하는 음식을 먹을 때는 적극적으로 입을 벌리고 숟가락을 손으로 잡는 등 능동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려 한다. 이처럼 영아들은 자신의 의사를 주로 비언어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보육교사는 영아의 표정이나 행동의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하여 영아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만0세 영아들은 보편적으로 소근육 발달이 미숙하여 숟가락이나 포크 등의 식기를 능숙하게 다루기 어려워한다. 관찰 결과에 따르면 영아들은 음식을 숟가락으로 떠먹다 음식이 떨어지면 손으로 직접 집어 먹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는 영아가 스스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돕되, 영아의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천천히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어 숟가락에 음식을 조금씩 담아 천천히 먹도록 격려하거나, 식사 시 교사가 옆에서 함께 먹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음식 섭취를 돕는다.
또한 만0세 영아들은 편식하는 경향이 있어 선호하는 음식만 골라 먹으려 한다. 관찰 결과 어떤 영아는 밥은 거의 먹지 않고 국물만 먹거나, 다른 영아는 주된 반찬을 먹지 않고 다른 반찬만 골라 먹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교사는 영아의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음식을 소개하고 골고루 섭취하도록 지도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음식을 소개할 때는 영아의 선호도가 높은 음식과 함께 제공하거나, 영아가 거부하는 음식의 맛을 보완하여 제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점진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이처럼 만0세 영아들의 식사 습관은 발달단계에 따른 신체적 특성과 개인차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교사는 영아의 행동과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해하여, 영아의 요구와 필요에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지원해야 한다.
1.1.2. 수면 및 배변 습관
만0세 영아의 수면 및 배변 습관은 다음과 같다.
수면 습관 측면에서 살펴보면, 관찰 결과 OO는 낮잠시간 때 누워서 토닥여 주면 바로 잠이 든다고 한다. 그러나 OO는 기질적으로 예민한 편이어서 낮잠시간에 잘 자지 못하고 작은 소리에도 놀라 낮잠시간이 또래보다 짧은 편이라고 한다. 이처럼 만0세 영아의 경우 안정적이고 편안한 환경 속에서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개인차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있다.
배변 습관의 경우, OO는 배변의 의사를 표현할 줄 알고, 느낌을 알 수 있다고 한다. 관찰에 따르면 OO는 놀이하다가 멈춰서서 배에 힘을 주고 응가를 한다. 교사가 "OO 응가 했어?"라고 묻자 OO는 교사를 바라보며 "응가하고 있음"을 표현했다고 한다. 또한 기저귀 갈이 시에도 쉬했는지 물어보면 OO가 기저귀를 만지고 매트에 누워 기저귀 갈이를 하려 한다고 한다. 이처럼 만0세 영아의 경우 배변 시 느낌을 인지할 수 있고 의사표현을 할 수 있지만, 아직 배변 습관이 충분히 형성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만0세 영아의 수면과 배변 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편안한 환경 조성과 함께 영아의 반응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배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2. 신체운동
1.2.1. 기구 및 공간 활용
0세 영아들은 교실 내 개방적이고 안전한 공간에서 다양한 기구와 놀잇감을 활용하며 신체활동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영아들은 공원에 도착하자 놀이기구를 향해 달려가 계단을 오르고 터널을 통과해 미끄럼틀을 타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다. 교사는 영아가 미끄럼틀을 타려 할 때 "천천히 내려오세요"라고 말하며 관찰하고, 암벽을 올라가려 할 때는 영아와 함께 "영차 영차"하며 도와준다. 이처럼 안전하게 기구를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의 격려와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영아들은 블록, 끌차, 범보의자 등 다양한 기구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OO는 바닥에 널려있는 공을 손으로 잡아 그릇에 담아보거나 던지기도 하며, 끌차를 밀며 걸어다니기도 한다. 교사는 이러한 영아의 시도를 격려하며 "OO가 공을 그릇에 담아보네", "끌차를 밀며 걸어가네"라고 언어로 상호작용한다. 이를 통해 영아는 기구의 사용법을 익히고 신체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아들은 실외 공간에서도 다양한 기구와 자연물을 탐색하며 신체활동을 즐긴다. 예를 들어 OO는 야외 풀장에서 콩나물을 손으로 집어 만지고 냄새를 맡으며 오감을 활용하여 탐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