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베트남의 이해
1.1. 국가 소개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사회주의국가로, 북쪽으로 중국, 서쪽으로 라오스 및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고 동쪽과 남쪽으로는 남중국해에 면해 있다. 베트남어로 표기되는 국명 "Vi?t Nam(월남, 越南)"은 오늘날 베트남 북부와 중국 남부를 지배하였던 옛 베트남 왕조 "Nam Vi?t(남월, 南越)"의 명칭을 거꾸로 쓴 것이다.
베트남은 행정구역상 5개의 중앙 직할시와 58개의 성을 포함한 총 63개의 행정구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토면적은 약 33만 997km2로 한반도 면적의 약 1.5배이다. 기후는 북부가 아열대 기후, 남부가 열대 몬순 기후를 나타내며, 수도는 721만 6천 명의 인구를 가진 하노이이다.
인구는 총 9,173만 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민족구성은 비엣(또는 낑)족이 약 85.7%를 차지하고 있고, 타이족, 화교, 크메르족 등 54개 민족이 공존하고 있다. 베트남의 공용어는 베트남어이며, 주요 종교로는 불교(43.5%), 가톨릭교(36.6%), 까오다이교(5.2%) 등이 있다. 정치체제는 1당 독재체제의 사회주의 공화제로, 단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2015년 기준 GDP는 약 2,159억 달러(1인당 GDP 약 2,306달러)이다.
1.2. 역사
1.2.1. 선사 시대
베트남에 인류가 살기 시작한 것은 약 50만~30만 년 전으로 추측된다. 기원전 7천 년경부터는 농사를 지었으며, 오늘날 베트남인의 조상은 기원전 4세기경에 나타났다. 고대 최초의 국가인 흥 왕조 이후 많은 나라들이 생겼다 사라졌는데, 특히 기원전 3세기경 흥 왕조 다음으로 들어선 어우락 왕조의 통치 기간 중에는 청동기 시대의 세련된 동썬 문화가 널리 퍼졌고, 이때 만들어진 청동기 작품들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1.2.2. 중국의 영향
중국의 영향은 베트남이 역사적으로 겪어온 중요한 과정 중 하나였다. 기원전 111년 중국 한나라의 침입으로 베트남 지역이 중국에 병합된 이후 939년까지 약 1,000년 동안 중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불교, 도교, 유교, 한자 등은 베트남의 사회·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중국의 지배에 대한 베트남 국민들의 끊임없는 투쟁이 나타났다. 40년에는 쯩 자매가 최초의 대규모 저항 운동을 일으켜 2년 정도 중국의 지배를 벗어나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 중국의 지속적인 지배로 베트남 지역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중국의 지배를 받지 않은 중남부 지역에서는 인도 문명의 영향을 많이 받은 독자적인 국가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이처럼 중국의 지배는 베트남 역사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베트남 문화 형성의 주요한 토대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3. 독립 왕조와 후레 왕조
중국의 지배를 받던 북부 지역에서는 끊임없이 독립 투쟁이 이어졌고, 결국 939년에 응오 꾸엔 장군이 중국을 물리치고 중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 왕조인 응오 왕조를 세운다. 이후 딘 왕조가 나라를 통일한 뒤 레 왕조와 리 왕조, 쩐 왕조까지 이어졌지만, 1406년 다시 중국의 속국이 되고 만다. 이후 1428년, 레 러이와 응웬 짜이가 다시 명나라를 몰아내고 후기 레 왕조를 세운다.
후기 레 왕조는 베트남 왕조 중 가장 오랫동안 집권하면서 정부 체제를 개혁하고, 법률과 문학에서 베트남만의 전통 문화를 만들어 냈으며, 군사 제도와 유교 제도를 정비한다. 또한 남부의 참파 왕국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현대화의 바탕을 마련하여 베트남의 황금기를 연다.
1.2.4. 응웬 왕조와 프랑스의 지배
응웬 왕조와 프랑스의 지배는 베트남의 역사 중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한다.
후레 왕조 후기, 북부의 찐 가문과 남부의 응웬 가문이 강력한 힘을 갖고 각자의 지역을 통치한다. 그러나 두 가문이 대립하면서 농민에 대한 착취가 심해지자 1771년, 베트남 최초의 농민 반란인 떠이 썬 반란이 일어난다. 떠이 썬 마을의 응웬 삼형제를 중심으로 한 이 반란에 의해 찐, 응웬 가문과 후레 왕조 모두 무너지고 떠이 썬 왕조가 세워진다. 그러나 그 뒤 남부 응웬 가문에서 살아남은 응웬 안 왕자가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 '비엣남'이라는 국호로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인 응웬 왕조를 연다.
응웬 왕조 초기에는 통일에 도움을 준 프랑스에 많은 상업적 이권을 주었으나, 이후에는 중국과 우호를 다지면서 프랑스를 등한시하게 된다. 결국 프랑스 선교사 박해 사건을 계기로 프랑스군이 베트남을 공격하기 시작하여, 1883년에는 아르망 조약으로 베트남 전 국토가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고 만다. 베트남 사람들은 중국의 지배에 끊임없이 항쟁하였던 것처럼, 프랑스의 식민지가 된 뒤에도 독립 운동을 계속한다.
1.2.5. 독립 운동
베트남 사람들은 중국의 지배에 끊임없이 항쟁하였던 것처럼, 프랑스의 식민지가 된 뒤에도 독립 운동을 계속하였다. 1930년에는 사회주의 성향의 민족주의자들이 베트남 공산당을 결성하였는데, 이 공산당을 이끈 사람이 바로 훗날 베트남의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친 호찌민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프랑스가 독일의 침공을 받아 세력이 약해지자, 베트남은 1940년 일본의 보호국이 된다. 그리고 1945년 전쟁이 끝나며 일본이 물러가자,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은 응웬 왕조를 무너뜨리고 호찌민을 주석으로 하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을 수립하여 독립을 선언한다. 그러나 프랑스는 계속하여 베트남을 포함한 인도차이나 지역의 지배권을 주장하였고, 1946년 두 나라는 인도차이나 전쟁을 시작한다. 8년간의 전쟁 끝에 1954년 베트남은 제네바 협정으로 공식적인 독립을 이룬다. 이로써 베트남은 중국의 지배와 프랑스의 식민지배에서 벗어나 자유를 쟁취하였다.
1.2.6. 베트남 전쟁과 통일
남북으로 분단된 뒤 호찌민의 북베트남은 조국의 통일을 원했지만, 남베트남은 분단된 상황을 유지하려 했다. 하지만 차츰 남베트남에서 공산당의 지지가 늘어나자, 미국은 이를 막기 위해 베트남 전쟁을 시작했다. 미국의 요청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필리핀,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도 파병하였지만, 전쟁이 장기화되자 미국 내에서 전쟁에 대한 지지가 떨어졌고, 1973년 파리 협정으로 미군은 철수한다. 1975년 북베트남의 지원으로 남베트남의 사이공이 점령되며 베트남 전쟁은 막을 내렸고, 다음 해 통일 국회를 구성하는 총선이 실시되어 하노이를 수도로, 사이공의 이름을 호찌민 시로 바꾸면서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이 탄생한다.역사적으로 베트남인들은 중국의 지배에 끊임없이 항쟁하였고,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