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1주 1강에서 모국어와 외국어, 제2언어에 대해 학습하였습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모국어와 외국어, 제2언어에 대해 정의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법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1.1. 문법교육에 대한 찬반론
1.2. 문법교육의 의의
1.2.1. 대조 분석적 의의
1.2.2. 오류 분석적 의의
2. 외국어 교수 이론별 문법 교육의 특징
2.1. 문법번역식 교수법과 문법 교육
2.2. 직접식 교수법과 문법 교육
2.3. 청각 구두 식 교수법과 문법 교육
2.4. 인지주의 교수법과 문법 교육
2.5. 의사소통식 교수법과 문법 교육
3. 문법 학습에 효과적인 교수 방법
3.1. 개인적 경험을 통한 교수 방법
3.2. 의사소통식 접근법의 문법 교육
4.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분석
4.1. 발음 오류
4.2. 문법 오류: 높임법 사용의 오류
4.3. 문법 오류와 문장 오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법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1.1. 문법교육에 대한 찬반론
문법교육에 대한 찬반론은 다음과 같다.
언어를 교수하는 과정에서 문법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유용론과 무용론으로 찬반의 논란이 있다. 문법 교육의 무용론을 주장하는 근거는 첫째, 문장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문장 제조기(sentence-making machine)'의 역할을 문법이 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고 올바르게 교정(fine-tuning)하는 수단으로서의 문법의 역할 때문이다. 셋째, 문법이 학습자 오류의 화석화(fossilization)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 언어 습득을 할 때 선행조직자(advance-organizer)의 역할을 들 수 있으며, 다섯째, 문법 항목을 개별적으로 교수하였을 때 더욱더 효율적인 학습과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여섯째, 문법은 그 자체로 조직적인 단계로 교육할 수 있게 하고 체계적인 평가를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 이유는 외국어 학습자가 가진 문법 학습에 대한 높은 기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문법 교육의 유용론을 주장하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언어 기능(skill)은 자전거 타기와 같이 학습을 통해서가 아니라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습득된다는 주장에 대해, 외국어 교육은 문법의 구조적인 규칙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의사 교육을 통한 자연스러운 습득 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인간이 문법을 학습하는 과정은 자연적 순서에 따라 교육 없이도 터득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문법보다는 관용어나 숙어, 구와 같은 어휘 뭉치(lexical chunks)를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며 학습자 스스로도 문법보다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실용적인 교육을 요구한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문법 교육은 의사소통 능력을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해서 언어의 형태, 의미, 기능의 균형적인 학습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학습자의 변인이 문법 교육의 중요성을 좌우한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학습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능숙도가 고급에 가까울수록, 교육을 잘 받은 학습자일수록 문법의 중요성이 커진다. 또한 성인 학습자의 경우 모국어 문법과의 대조를 통한 교육이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문법 교육은 유창성과 함께 정확성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유창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학습 성취 효과를 빠르게 낼 수 있다"라고 할 수 있다.
1.2. 문법교육의 의의
1.2.1. 대조 분석적 의의
대조 분석 가설은 모국어와 목표어 간의 대조 분석적 지식이 목표어 습득에 도움이 된다고 보는 것이다. 대조 분석은 학습자의 언어 습득을 설명하고 오류를 예측할 수 있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모국어와 목표어가 다를수록 목표어 습득이 어렵고 반대로 모국어와 목표어가 유사할수록 목표어 습득이 쉽다는 것도 대조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대조 분석 결과만으로 학습의 난이도를 예측하기는 어렵다. 또한 대조 분석은 언어 습득이 인지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음을 간과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에서는 여전히 대조 분석 가설을 전제로 학습자의 모국어와 한국어를 대조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1.2.2. 오류 분석적 의의
오류 분석은 외국어 학습자의 언어 사용 중에 나타나는 오류를 수집하여 자료화하고 조직적으로 분류, 분석하여 학습자 오류의 원인을 알아내고 오류의 빈도에 따라 난이도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오류 분석적 의의는 다음과...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 교육론, 문법의 개념과 문법 교육의 필요성, 2.문법 교육의 필요성, Ⅲ. 문법 교육의 의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 교육론, 한국어 교육문법 개념과 특징, 3. 한국어 교육문법과 국어 교육문법의 비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 교육론, 문볍교육의 흐름, Ⅱ. 외국어 교육이론 별 문법 교육의 위상
박덕제, 박성현, 『외국어 습득론과 한국어 교수』, 박이정, 2011.
허용, 김선정, 『대조언어학』, 소통, 201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2024, 허용, 강현화, 고명균, 김미옥, 김선정, 김재욱, 박동호, 도서출판 박이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의 이해』, 2022, 김경령, 한국문화사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 문법강의』, 2021, 이승왕, 한국문화사
『한국어 교육의 이해』, 2021, 국립국어원, 한국문화사.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국어정책 공모과제 연구보고서, 2002, 조철현, 문화관광부.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인식 조사 및 실제 오류 분석 연구」, 2018, 조윤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일본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반응 지도 방안 : 자모의 형태와 발음의 접목을 통하여」, 2003, 이윤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