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산관리> - 1. 생산운영관리의 개념, 목표,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생산관리의 기본적인 목표
2.1. 원가
2.2. 품질
2.3. 납기
2.4. 유연성
3. 생산시스템의 구조
3.1. 투입(input)
3.2. 공정(process)
3.3. 산출(output)
3.4. 통제(control)
3.5. 피드백(feedback)
4. 생산관리의 전략적 차원
5. 생산관리의 시스템적 차원
6. 생산관리의 의사결정 차원
7. 생산관리와 혁신적 경영활동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생산이란, 인간의 필요와 욕구에 부응하는 효용 가치를 지닌 제품 및 서비스를 창조해 내는 과정이다. 그리고 시스템은 공통의 목적이나 목표의 달성을 위해 이상의 구성요소가 상호 관련되어 유기적으로 결합한 집합체를 의미한다. 생산시스템은 시스템의 개념을 생산의 영역에 적용한 것으로, 생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생산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투입물을 변환 과정을 통해 산출물로 전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과정은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자원을 가치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로 변환함으로써, 인간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 생산관리의 기본적인 목표
2.1. 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생산계획의 수립, 투입요소들의 선택에 대한 의사결정, 투입순서의 결정, 유틸리티의 사용과 변환과정의 관리 등은 모두 생산 원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생산운영자는 항상 제품 생산의 전과정에서 낭비적 요소를 최소로 함으로써 생산원가를 낮추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2.2. 품질
기업들의 생산능력 향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이 증대되고, 소비자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기업들 간에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통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값이 싸다든지, 양이 많다든지 하는 것이 더 이상 소비자들의 구매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들은 품질향상을 생산부문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고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하여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생산부문에서는 처음 제품을 만들 때부터 설계와 디자인을 고급화하고, 생산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품질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2.3. 납기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생산부문의 또 하나의 중요한 목표이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생산과정을 자동화하고 단순화해서, 낭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기업들이 신제품을 시장에 경쟁사보다 조금이라도 빨리 출시하려는 노력이나, 발 빠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이러한 시간의 중요성을 보여 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2.4. 유연성
유연성이란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사항에 대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만족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좋아서 생산량을 늘려야 할 때에는 생산라인이 확장될 수 있어야 한다. 반대로, 어떤 제품의 판매량이 갑자기 떨어져서 생산량을 줄이고, 새로운 신제품을 만들어야 할 경우에는 빠르게 생산라인을 변경할 ...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문일경 외(2016), 「생산 및 운영관리」, 생능.
이명호 외(2010), 「생산관리」, 박영사.
이상범 외(2019), 「현대 생산운영관리」, 명경사.
박재훈, 『생산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경영정보사, 2023.
김선영, "효율적인 생산관리 전략의 필요성," *경영학연구* 45, no. 2 (2023): 110-123.
이철수, "생산관리와 혁신적 경영활동," *산업경제저널* 29, no. 1 (2024): 7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