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원동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해외직접투자
1.1.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1.2. 해외직접투자의 종류
1.3. 해외직접투자의 동기
1.3.1. 전략적 동기
1.3.2. 행태적 동기
1.3.3. 경제적 동기
1.4. 우리나라의 해외투자지원제도
1.4.1. 금융지원
1.4.2. 세제상 지원
1.4.3. 해외투자보험
2. 코로나 상황에서의 교육 문제와 해결방안
2.1. 학습 동기 유발 전략: 켈러(Keller)의 ARCS 이론
2.1.1. 주의력(A)
2.1.2. 관련성(R)
2.1.3. 자신감(C)
2.1.4. 만족감(S)
2.2. 학생들의 정신 건강 지원 방안
2.2.1. 청소년 사이버 상담센터 서비스 이용
2.2.2. 정신 건강을 위한 규칙적인 생활 지원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해외직접투자
1.1. 해외직접투자의 개념
직접투자(direct investment)란 어느 나라의 기업이 외국기업의 경영권을 실질적으로 취득하고 경영권을 행사하면서 생산 · 판매 그 밖의 기업활동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외국기업의 경영권의 취득은 자회사 또는 지점의 개설, 기존 외국기업의 매입이라고 하는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보통은 주식을 상당수 취득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직접투자가 간접투자와 본질적으로 다른 점은 모회사 또는 자회사의 지배 아래 있는 기업으로부터 생산기술, 마케팅기술 등 경영자원을 공급받아서 기업활동을 행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경영자원이란 기업이 기업활동을 통해서 축적 · 보유하는 기업 능력을 말하며 앞서 든 생산기술, 마케팅기술 외에 신용 등의 지명도, 자금조달능력 등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직접투자는 경영자원이 국경을 넘는 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직접투자는 경영자원의 이용 및 이동이 본질적이며 간접투자와 같이 자금의 이동 그 자체가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경영자원에는 자본조달능력도 포함되어 있으나 직접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본국에서 조달하는가 현지국에서 조달하는가는 투자기업이 상황에 따라 결정한다. 실제로 직접투자에 있어서는 자금의 상당부분이 국제금융시장이나 현지국의 금융시장에서 조달된다.
1.2. 해외직접투자의 종류
직접투자의 방법에는 지점의 개설, 자회사의 신규설립, 기존기업의 매수, 합작사업 방식의 네 종류가 있다"이다.
지점의 개설과 자회사의 신규설립에 있어서는 본점 또는 모회사로부터 경영자원이 공급되어 다른 생산요소와 결합된다. 기존기업의 매수와 합작사업 방식에서는 현지의 경영자원이 투자기업의 경영자원에 편입되며 다른 생산요소가 결합되어 생산이 행해진다. 생산요소는 현지에서 입수 가능한 것도 있고 본국 또는 제3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는 것도 있다.
직접투자의 또 다른 분류법으로는 모회사와 자회사와의 관계를 산업조직론적 입장에서 분류하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수직적 통합, 수평적 통합, 다각적 통합의 세 가지가 있다. 수직적 통합은 원료조달로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기업활동의 단계들을 통합하기 위해 직접투자를 행하는 것이며, 수평적 통합은 자회사가 모회사와 동종 또는 같은 가공도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이다. 다각적 통합은 직접 관련이 없는 산업에 속하는 기업을 흡수, 합병, 설립하는 것이다.
1.3. 해외직접투자의 동기
1.3.1. 전략적 동기
전략적 동기는 기업이 해외직접투자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로,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시장추구형(market seekers)은 해외진출국에서 생산하여 현지국의 수요에 충당하거나 본국 이외의 국가에 수출할 목적으로 진출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자동차 제조회사들이 유럽에서 자동차를 생산하여 현지에 판매하고 있는 것이 그 좋은 사례이다""
둘째, 원자재추구형(raw-material seekers)은 현지에서 원자재를 추출하여 해외에 수출하거나 본국에 수입하기 위하여 진출하는 경우로, 주로 석유, 광물, 농산물 및 삼림개발 등에 종사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셋째, 생산효율추구형(production-efficiency seekers)은 생산성(productivity) 보다 생산요소가격이 낮은 국가에 진출하여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예를 들어 미국, 일본 등의 기업이 노동가격이 싼 대만, 홍콩, 멕시코 등에서 전자부품을 노동집약적인 방식으로 조립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넷째, 지식추구형(knowledge seekers)은 기술이나 경영지식(managerial expertise)을 습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외직접투자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독일이나 일본의 기업들이 기술을 입수하기 위하여 미국의 반도체회사들을 매입...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https://blog.naver.com/tmvptmf2/221565397799 : 켈러(Keller)의 ARCS 이론
https://vkdlfl11.tistory.com/475 : 켈러의 이론 활용 - 교수학습전략
https://m.blog.naver.com/wjddusghk84/221258220579 : 켈러(Keller) 이론 활용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12282151025
: 코로나 블루
https://blog.naver.com/mohw2016/222148576211 : 코로나 정신건강 위한 규칙적인 생활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