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EDH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정의
1.2. 원인 및 병태생리
1.3. 임상증상
2. 진단
2.1. 건강력 및 신체검진
2.2. 영상진단
2.3. 기타 검사
3. 치료
3.1. 약물치료
3.2. 수술치료
4. 간호
4.1. 신경계 상태 관리
4.2. 뇌관류 장애 간호
4.3. 순환기계 간호
4.4. 기본적 간호
5. 합병증
6. 예방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정의
경막외 출혈은 낙상, 교통사고, 폭행 등 머리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과 함께 뇌와 경막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혈관이 파열되어 두부손상 후 두개골과 경막사이인 경막 외공간에 혈종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심한 두부손상의 약 10%에서 발생되며 기저골절과 측두개골 골절을 동반한다. 대부분 중뇌막동맥의 열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혈종이 빠르게 형성된다. 몇시간 내에 혈종이 형성되어 두개내압 상승 징후를 보이므로 외과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천막 탈출이 일어나 호흡정지에서 사망까지 이르게 된다.
1.2. 원인 및 병태생리
경막외 출혈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격에 의한 두부 외상이 주요 원인이다. 교통사고, 낙상, 폭행 등으로 머리에 직접적인 손상을 받은 경우 경막외 출혈이 발생한다. 중증 두부 외상 환자의 약 9%가 경막외 출혈로 진단되며, 다른 형태의 뇌출혈과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둘째, 두개골 골절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60~90%의 경우 두개골 골절이 함께 발생한다. 충격과 두개골 골절로 인해 경막에 혈류를 공급하는 중경막 동맥이 찢어지면서 출혈이 발생한다. 약 1/3의 환자에서는 동맥이 아니라 경막의 정맥과 커다란 정맥동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셋째, 출혈이 발생하면 경막이 두개골 내판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혈종이 커지고 두개내압이 높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뇌조직에 압박이 가해져 신경계 합병증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수분에서 수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는 의식명료기가 나타난 다음 바로 의식을 잃게 된다.
이처럼 경막외 출혈은 두개골 골절과 함께 중경막 동맥이나 정맥의 파열로 인해 발생하며, 출혈로 인한 혈종 형성과 두개내압 상승이 핵심적인 병태생리라고 할 수 있다.
1.3. 임상증상
경막외 출혈의 주된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두통, 구토, 이명 등의 뇌압 상승에 의한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사고 직후 의식을 잃었다가 회복되어 별 증상이 없는 듯하다가 갑자기 의식이 소실되거나 혼수 상태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이 관찰된다. 이를 "의식명료기(lucid interval)"라고 하는데, 이 시기에는 환자가 두통, 구역, 구토, 현기증, 불안, 정신 혼란 등을 호소하거나 간질 발작을 보일 수 있다.
출혈량이 많아져 뇌압이 높아지면 의식저하, 반신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혈종의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는데, 전두부에 있을 경우 대량의 혈종 형성에도 의식이 명료할 수 있지만, 후두부에 있을 경우 소량의 혈종으로도 의식 저하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출혈측의 동공이 산대되는 증상이 약 1/3의 환자에서 나타나며, 이는 측두엽 탈출에 의해 동안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한다. 혈종이 진행되면 양측 동공이 산대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불규칙한 호흡, 서맥, 혈압 상승 등의 Cushing 징후가 관찰되며, 수술 후 의식이 명료해지면 반신지각마비, 실어증, 동측성반맹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진단
2.1. 건강력 및 신체검진
대상자의 건강력 및 신체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현병력
대상자는 2016년 11월 12일 50km/h로 달리는 차안에서 할머니와 다툰 이후 뛰어내려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다. 주호소는 의식저하이며, 좌안의 결막하 출혈도 관찰되었다. 또한 대상자는 왼쪽 이마와 관자놀이 부위에 큰 상처가 있는 상태였다.
B. 과거력
대상자는 과거에 앓은 질병이나 입원 경험, 외상 경험, 수술 경험, 복용약물, 수혈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 가족력
특이 가족력은 없었다.
D. 신체검진
1) 일반검사
- 의식수준 평가: 반복적인 부름에 눈을 뜨고 물음에 답하지만 정확한 지남력이 떨어진 상태(Glasgow Coma Scale 13점)
- 활력징후: 110/70mmHg, 82회/분, 20회/분, 36.4℃
- 신체검진
- 눈: 좌안 결막하 출혈이 관찰되었으며, 안와부종으로 인해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는 모습이 관찰됨
- 두부 및 안면부: 왼쪽 이마와 관자놀이에 큰 상처가 있는 상태
- 근골격계: 걸음걸이가 불안하고 불편해 보이는 모습...
참고 자료
건강지식 백과사전. daum
대한민국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성인간호학」(퍼시픽출판사).
최정신 외「성인간호학」(정담).
「성인간호학」(수문사).
「병리학」(정문각)
「최신 병리학」(정담)
성인간호학Ⅱ / 수문사 / 김금순 외 공저 / 2016
Naver 지식백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86725&cid=50367&categoryId=50367
차영남 외, 2013. 0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서울 강남구 논현동
김금순 외, 2015. 01,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경기도 파주시 p1302 - p1304
김금순 외, 2015. 01,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경기도 파주시 p1251 - p1253
양선희 외, 2013. 03, 기본간호학 ⅠⅡ, 현문사, 서울 강남구, Chapter 17, 22, 28
성미혜 외, 2014. 08, 간호과정-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정문각, 서울 마포구
국제간호진단협회, 2013. 0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2-2014, 정담미디어, 서울 마포구
원종순 외, 2015. 0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서울 강남구 p184 - p299
2013,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도서출판 정담, p10 신경파트
조선대학교병원 33 신경외과 병동 관련 책자 5-6 pag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318&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뇌출혈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11&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경막외출혈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318&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뇌출혈
https://www.google.co.kr/search?q=%EA%B2%BD%EB%A7%89%EC%99%B8+%EC%B6%9C%ED%98%88&lr=&safe=strict&hl=ko&tbm=isch&tbo=u&source=univ&sa=X&ved=0ahUKEwixx9Gu3K_QAhWDFpQKHYi1DqAQsAQIJw&biw=1366bih=596#safe=strict&hl=ko&tbm=isch&q=%EB%87%8C%EC%B6%9C%ED%98%88&imgrc=Jy0MeGPzmo7TKM%3A 뇌출혈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711&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대학교병원] 경막외 출혈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42550&cid=55647&categoryId=56740 두개내압 항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7318&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뇌출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