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연구 목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에 미치는 효과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가설
1.4. 연구의 윤리적 고려
2. 안면화상환자의 대인관계 경험
2.1. 연구의 목적
2.2. 연구의 필요성
2.3. 연구 가설
2.4. 연구의 윤리적 고려
3. 초등학생 딸을 둔 어머니의 HPV 예방접종 의도 영향요인
3.1. 연구의 목적
3.2. 연구의 필요성
3.3. 연구 가설
3.4. 연구의 윤리적 고려
4. 정신과 폐쇄병동 입원환자의 수면의 질
4.1. 연구의 필요성
4.2. 연구 목적
4.3. 연구 방법
4.4. 자료 분석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구강 냉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에 미치는 효과
1.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onis [3]의 구내염 발생 모델에 근거하여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냉요법이 구내염, 활성 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과정에서 초래되는 구내염을 예방하고 구강 불편감을 완화시키는 중재가 필요하며, 구내염 진행 과정에서 생리적 지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 전략이 요구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냉요법의 효과를 확인하여 구강 합병증 예방을 위한 중재로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1.2. 연구의 필요성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구내염을 예방하고 구강 불편감을 완화시키는 중재가 필요하며, 구내염 진행 과정에서 생리적 지표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 냉요법을 적용하여 구내염과 활성산소, 염증성 사이토카인, 구강 안위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구강 합병증 예방을 위한 중재로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1.3. 연구 가설
제1가설: 구강 냉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구강 냉요법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측정 시기에 따른 구내염의 점수가 낮을 것이다.
제2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활성산소 발생량이 적을 것이다.
제3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가 낮을 것이다.
제3-1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IL-6 수치가 낮을 것이다.
제3-2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TNF-α 수치가 낮을 것이다.
제4가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측정시기에 따른 구강 안위감의 점수가 낮을 것이다.
1.4. 연구의 윤리적 고려
해당 연구는 해당 병원의 임상시험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시 대상자에게 목적, 연구방법을 설명하고 설명서 및 동의서를 받았다"" 설문에 참여하여 제공되는 금전적인 보상은 없었으나 소정의 선물을 증정하였고, 구강 냉요법시 불편감을 느끼거나 대상자가 원하면 언제라도 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익명화된 설문지로 자료수집을 진행하여 대상자의 신원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임을 알려주었다""
2. 안면화상환자의 대인관계 경험
2.1.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화상환자의 대인관계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안면화상환자가 경험하는 대인관계의 의미를 탐색하고, 대인관계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다.
2.2. 연구의 필요성
외모가 사생활은 물론 사회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다른 질병보다 상흔이 오래 남는 화상은 대인관계에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을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보고하고 있다. 화상환자 중에서도 안면에 화상을 입은 환자는 상흔으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받을 영향은 더 심각할 수 있으나 안면화상환자의 대인관계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안면화상을 입은 환자의 대인관계 경험에 대한 심층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2.3. 연구 가설
안면화상환자의 대인관계 경험: 현상학적 연구에 따르면 "안면 화상이 환자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 가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외모가 사생활은 물론 사회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다른 질병보다 상흔이 오래 남는 화상은...
참고 자료
김은주, 박정화 and 성경미(2017). 숲산책 프로그램이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의 입원스트레스와 회복에 미치는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23(1), pp.86-95.
김경중,배안, and 조남현(1997).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치료환경에 대한 비교연구. 신경정신의학 36.4. pp.658-670.
박순영,강진상,윤보현,and 배안(1996).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에 입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증상 호전도의 비교. 신경정신의학 35.6. pp.1259-1267.
안병탁,한성희,and 이충경(1997). 만성정신분열병 환자가 지각한 병실환경과 삶의 질 : 개방병동과 폐쇄병동의 비교. 신경정신의학 36.6. pp.1055-1065.
이현정, 김선희(2016). 폐쇄병동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미술자기표현에 관한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심리치료 모델의 이론적 고찰. 심리치료 2016. Vol. 16(1). pp. 131-148.
서정석 외 6 인(2003). 정신과 폐쇄 병동 환경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변인: 치료의 질적 형성을 위한 예비적 연구. 건국의과학학술지 제 13 권. 서울.
김근태, 배효은, 배진곤 and 조용원(2020). 임신 중 수면의 질과 삶의 질. 대한신경과학회지, 38(3), pp.188-193.
정은자 and 이유미(2020). 간호대학생들의 피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관계. 문화기술의 융합, 6(4), pp.311-316.
서아름, 강성구, 신진희 and 송상욱(2009). 중년 남성에서 수면의 질과 주간 심박동변이.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9(4), pp.289-295.
신경림, 강윤희 and 신미경(2008). 남성 노인의 전립선 증상, 수면의 질,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8(4), pp.1041-1054.
오진욱, 고미애, 송후림, 홍민하, 김현수 and 김우정(2018).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정신신체의학, 26(1), pp.19-25.
김영선 and 오진주(2021). 교대근무자의 수면의 질 구조모형. 대한보건연구, 47(3), pp.45-58.
정숙경 and 소애영(2017). 정신병원 입원 환자의 수면의 질과 우울 영향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6(4), pp.374-381.
황지영(2017). 집단 미술치료가 폐쇄병동 정신 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김근향(2011). 정신과 입원환자의 적응기능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해인. 2021.코로나19백신 접종의도 설문조사 고찰 연구
강해주. 2021. 코로나19 백신접종 1등 국가보다 안전성이 우선돼야
김상훈, 정성호 2021. 코로나19백신, 크고작은 후유증 임상 접종자들“그래도 꼭 맞아야”
중국광동성질병예방통제센터. 2020.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COVID-19)의 예방과 치료
코로나19(SARS-CoV-2)백신 연구의 윤리
조순영, 김혜원, 서송화.2020. 간호장교의 두창백신 접종 경험
윤상원. 2017. 지역사회획득폐렴 환자에서 폐렴구균백신 접종에 따른 임상 양상의 차이
한지수.2017.지각된 사회적 파워가 독감예방접종행위에 미치는 영향
최장희. 2016.119 구급대원의 아나필락시스 환자에 대한 병원 전 응급처지 현황 및 개선방안
문일주,박혜정,김성렬 외.2015. 원저:알레르기; 단일 3차 의료 기관의 약물 유발 아나필락시스 발생 현황
박정은.2013. HPV백신 접종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 및 의미 구성에 대한 연구 :20대 미혼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